•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reconstruction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연구 -교과서 재구성을 중심으로- (Teaching the Concept of Rate and Ratio - Focused on Using the Reconstructed Textbook -)

  • 김수현;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309-33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와 비율의 교수 학습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현행 초등학교 교과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 고찰과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교과서를 새롭게 재구성하였으며, 재구성된 교과서를 활용하여 실제 교수 학습을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재구성 교과서의 적절성과 한계, 학생들의 비와 비율 개념화 과정 등을 확인하였다. 현행 교과서와 다르게, 본 연구의 재구성 교과서에서는 비율, 백분율과 비의 값, 비로 지도 순서를 바꾸었으며, 이는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재구성 교과서에서는 상대 비교와 절대 비교, 가법적 사고와 승법적 사고 등을 다루었으며, 이는 학생들의 비와 비율 개념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재구성 교과서에 제시된 다양한 맥락들 중에서 일부 맥락은 학생들의 인지적 혼란을 야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입자와 에너지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전류와 전지 단원의 문제점 (Analysis of 'Electric Current' and 'Battery' Uni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n the Basis of Particle and Energy Concepts)

  • 유성이;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32-442
    • /
    • 2000
  •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와 중학교 8종 과학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전류'와 '전지'에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 진술이나 교육과정 구성에서 현재까지 이루어진 학습자의 오개념 연구 결과와 관련지을 수 있는 문제점이 많이 발견되었다. 이 단원의 내용은 물리학과 화학 분야에서 모두 다루고 있는데, 특히 물리학 분야에서는 입자 관점의 부족으로 인해, 그리고 화학 영역에서는 에너지 관점의 부족으로 인해 전체적인 개념 획득이 어렵도록 내용이 구성되어 있었다. 물리와 화학에서 제시하는 개념의 시각 차이뿐 아니라, 같은 학문 안에서도 단원에 따라 다른 시각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대적 입자와 에너지 관점으로 통합하여 전류와 전지 단원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진술 방식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학문간의 괴리를 줄이고 조화를 이루기 위한 노력이 매우 필요하다.

  • PDF

4차 산업혁명 시대 사범대학 예비교사의 교육패러다임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 Paradig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48-259
    • /
    • 2018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패러다임과 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53명이 한 학기 동안 팀 토의 중심 수업으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자료인 토의 보고서는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교육은 정보통신기술, 윤리관, 융합교육, 창의성, 인성교육, 협업으로 예비교사는 이와 같은 교육을 위해 융합교육, 지역연계학습, 거꾸로 학습, 혼합학습 등의 학습자 중심 학습과 평가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교사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은 융합적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정보처리 역량, 공감 및 이해 역량, 창의적 교수 및 교수설계 역량, 협업 및 의사소통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예비교사양성을 위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창의·인성교육의 현장 실천도 및 효과성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Teachers' Recognition on Field Practice and Effectivenes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 원효헌;박소영;임성민;오정숙;박종운;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096-110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recognition on field practice and effectivenes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used post tes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 training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on 451 teach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in satisfaction of teacher training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as 4.65 for elementary teachers and 4.35 for secondary teachers in summer, and 4.55 for elementary teachers and 4.42 for secondary teachers in winter. Secondly, effectiveness of teacher training o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as showed highly as more than 4.0 and was higher in winter than in summer. Thirdly, in the case of field practice and effectiveness of teacher training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average of elementary teachers(3,66) was higher in respec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han that of secondary teachers(3.20) and the averages of elementary teachers and secondary teachers were 3.85 and 3.42 in respect of subject activity, respectively. In practising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t was analyzed that both elementary(ave. 3.89) and secondary(ave. 3.84) teachers went through some difficulties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program development, and human and physical supports.

피라미드를 소재로 한 수학 학습 프로젝트 개발 (Developing Mathematical Learning Project Using Pyramid)

  • 김상룡;홍성민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45-263
    • /
    • 2013
  • 수학과에서도 통합을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하여 해결하는 과정을 강조한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삼각형'을 중심에 둔 '피라미드의 비밀' 프로젝트를 구현한 실제를 소개함으로써, 수학과 프로젝트 학습이 어떠한 의의를 갖는지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115시간의 주제 중심의 프로젝트의 과정 중 수학과 도형 탐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 24시간만 발췌하여 수학적 의미를 재해석한 연구이다. 프로젝트로 삼각형을 탐구한 결과 문제 해결의 과정으로서 측정, 작도, 각 등의 기하적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자율적으로 활동에 참여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려는 태도가 자연스럽게 길러졌다. 각, 삼각형 등 평면도형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입체도형에 대한 이해도 높아졌다. 프로젝트 학습은 주어진 문제나 내용만의 학습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확장된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 PDF

구강재건을 위한 족배동맥피판의 해부학적 고찰 (Anatomical review of dorsalis pedis artery flap for the oral cavity reconstruction)

  • 김성민;강지영;어미영;명훈;이석근;이종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3호
    • /
    • pp.184-194
    • /
    • 2011
  • The dorsalis pedis artery (DPA) was renamed from the anterior tibialis artery after it passed under the extensor retinaculum, and DPA travels between the extensor hallucis longus and extensor digitorum longus muscle along the dorsum of the foot. After giving off the proximal and distal tarsal, arcuate and medial tarsal branches, DPA enters the proximal first intermetatarsal space via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FDMA), which courses over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FDIM). For detailed knowledge of the neurovascular anatomy of a dorsalis pedis artery flap (DPAF) as a routine reconstructive procedure after the resection of oral malignant tumors, the precise neurovascular anatomy of DPAF must be studied along the DPA courses as above. In this first review article in the Korean language, the anatomical basis of DPAF is summarized and discussed after a delicate investigation of more than 35 recent articles and atlas textbooks. Many advantages of DPAF, such as a consistent flap vascular anatomy, acceptable donor site morbidity, and the ability to perform simultaneous flap harvest using oral cancer ablation procedures, and additional important risks with the pitfalls of DPAF were emphasized. This article will be helpful, particularly for young doctors during the special curriculum periods for the Korean National Board of Specialists in the field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plastic surgery, otolaryngology, orthopedic surgery, etc.

담론적 관점에서 그래프 해석에 대한 분석틀 재구성 및 적용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와 미국 CMP 교과서 중심으로- (Re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an analytic framework for discursive approach to interpretations of graph -The case of a Korean textbook and CMP-)

  • 김원;최상호;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4호
    • /
    • pp.433-45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discursive approach to textbook analysis that complementarily combines a communicational approach to cognition and social semiotics. For this purpose, we reconstructed an analytic framework for discursive approach to written discourses of Korean textbook and CMP, and applied it to our analysis. Results show that several characteristics in meanings were developed by the use of words and visual mediators. First, in the case of ideational meaning, there we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ifferences between vocabularies used and between information addressed by visual mediators. Second, in the case of structural meaning, an offer and application of procedure was emphasized in a Korean textbook, whereas expectation and selection experiences of diverse possibilities for problem solving was underlined in CMP. In the case interpersonal meaning of student-author, imperative instructions were paid attentions in a Korean textbook. In contrast, students' interdependence and active participation were stressed in CMP. Therefore, this study addressed ideas about how to analyze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integrated meanings developed by the use of words and visual mediators. In addition, it distribute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of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through the analytic framework of both mathematical meanings and interpersonal meanings of student-author.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 연구 (Research on Reconstruction of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 김연화;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0-5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2025년 고교학점제의 전면도입에 직면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변화 방향을 탐색하고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하여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교육 전문가 델파이 조사, 현장지구과학 교사설문 조사, 전문가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에서 고려해야 할 점으로 지구과학소양 함양, 학생 진로와 연계, 지구과학 자체의 재미, 학생선택률과 대학입시라는 4가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구체적인 재구조화(안)으로 지구과학 소양을 강조하는 지구시스템과학, 그리고 교과내 진로 연계를 강화한 고체지구과학, 대기·해양과학, 우주과학의 총 4개 과목을 구성하였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지구과학 과목의 선택률이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를 해소하려면,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진로 연계성을 높이는 등 지구과학 교과의 위상 재정립을 필요로 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명칭과 핵심개념 등에 대한 정교화와 공론화가 필요하다.

초점집단 면담을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체험학습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Using Focus Group Interview)

  • 권혁재;강헌태;성혜진;전상일;권난주;신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2권2호
    • /
    • pp.182-19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학교 현장의 분위기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과학 체험학습의 활동 경험이 풍부한 5명의 초등교사와 초점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체험학습의 운영실태, 과학체험학습의 운영, 계획 수립 및 진행, 평가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예산에 대한 고민을 가장 먼저 꼽았으며,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체험학습을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여 부담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과학 체험학습시 과학지식에 대한 전문적 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과학교과 전담 교사가 있을 경우 협업의 어려움을 꼽았다. 전체적으로 과학체험학습의 교육적 효과보다 예산이나 장소, 행정적 편의성 등을 먼저 고려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체험학습 주제 선정과 방법, 교육적 기대효과, 고민사항을 확인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예비과학교사의 수업 실행에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이 반성 분야와 반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flective Thinking Facilitation Program on Reflection Areas and Level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 김현정;홍훈기;홍지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87-110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기간 중 수업 실행에서 보이는 반성의 분야와 수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두 7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4명의 예비과학교사는 반성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가로 제공받았다.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성은 주로 수업 운영에 관련된 분야인 주의 집중 및 동기 유발 방식, 교수 활동에 대한 반성과 개선, 상호작용 등에서 나타났으며, 과학과 교육과정의 이해 및 재구성과 차시 예고에 대한 반성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예비과학교사들은 일반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과학교사들에 비해 반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예비과학교사들이 반성을 보인 글들은 대부분 기술적 반성에 해당했으며,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예비과학교사들은 기술적 반성 뿐 아니라 높은 수준의 반성인 대화적 반성도 많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전 교육프로그램과 반성저널쓰기, 교사들의 수업평가 및 피드백은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성의 빈도와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