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for vocational high school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1초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교사와 산업체가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영역의 성과와 과제 분석 (Analysis of Outcomes and Challenges on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by Meister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al Workers)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948-96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y of outcomes and challenges of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al workers on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and what were outcomes and challenges of main factor by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al workers. Research subjects and region were teachers of Meister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do and industrial workers in Gyeonggido. The sample(N=147) was drawn from Meister high school' teachers(N=90),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N=25) and industrial workers(N=32),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using average, standard deviation, cross analysis, verification F.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biggest outcomes of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was change of educational direction for promoting core competency on specialized high school & Meister High School's students. The biggest positive ripple effects of the outcomes was also change of educational direction for promoting core competency on specialized high school & Meister High School's students. The biggest challenges of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was importance of challenges was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and lecture on the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Curriculum Operating Models for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오승균;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3-110
    • /
    • 2006
  • 급변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공업교육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특성화고등학교는 변화하는 산업 현장과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인력 조건을 분석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전통적인 산업사회에서 지식기반사회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변화해가고 있는데 비해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전통적인 산업 현장의 직무를 분석한 작업(Task)에 관한 교육과정만으로 학교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이제는 산업 현장의 직무를 분석한 교육과정과 국가수준에서 요구하는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는 교과 교육과정의 도입도 필요하다. 따라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3-type 교육과정'의 모형을 찾아보고, 현장의 직무내용을 분석한 교육과정과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과 교육과정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3-type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특성화고등학교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법과 공업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직업기초역량으로서의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보정 학습 프로그램 개발 (A Remedial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Mathematics Applying Abilities as one of Core Competencies)

  • 최승현;류현아;남금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55-674
    • /
    • 2013
  • 현재의 학업성취도 평가가 직업교육이 목적인 특성화고에 적절치 못하다는 현장의 요구를 수용하여 교육과학기술부(2012)는 2013년부터 특성화고 학생의 직업역량 강화를 위해 직업기초능력평가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이 평가의 결과는 인증서로 제공되어 취업 과정에 활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신장시키고 나아가 이후 학생들이 직업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수학학습 지원 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수학 기초학력 부족으로 직업기초능력평가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여, 이 학생들의 잠재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수학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수학과 교육과정 지도 내용에서 이후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수리 활용 능력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내용 영역별 단계 및 하위 레벨을 구성하고, 해당 학습 요소를 구성하여 내용 영역별 학습 요소를 체계화하여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리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특성화고 화공계열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Chemical Engineering Field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이규녀;이광복;김소연;한수경;이영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2-91
    • /
    • 2015
  • 이 연구는 특성화고 화공계열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화공계열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화공계열 학교(과) 대상의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교육과정 및 학과명, 그리고 취득 자격증의 상호간에 적합성을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공계열이 화공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산업 현장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화공에서 파생된 응용화학공업, 나노화학공업, 환경화공, 에너지환경화공, 융합신소재화공, 세라믹화공, 생명화공, 식품생명화공 등 응용학문의 학과를 개설하고, 학과별 교육목표에 따른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한다. 둘째, 화공계열의 기준학과별로 관련 자격증을 다양화하고, 취업 가능성 제고에 따른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하여 산업수요와 직업의 변화를 고려한 인력 양성 목표와 인재상을 명확하게 수립해야 한다. 셋째, 화공계열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중등 직업교육이 '알기만 하는 교육(지식)'에서 '할 줄 아는 교육(능력)'으로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화공 산업체 - 화공 직업교육 - 화공 자격'이 일체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가사ㆍ실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의 체제 개편 모델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A Model of System Reformation for Specialization in Home Economics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JellaNamdo)

  • 유명의;서리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24
    • /
    • 2002
  • This study was to propose a basic model of specialization in home economics for vocational high school development in JellaNamdo.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changes in economic environment into service industry and national educational policy and local vocational educational Policy, it may be good time to socially discuss special vocational high school in home economics in JellaNamdo in the light of meeting local students' demand. Secondly, considering local students' preference and the conditions of local economy and industry. Thirdly, the system for specialization in home economics of vacational high school may be suggested. The basic model was organized plans of system reformation by stages, a substantial plans, and academic or employment course development. System reformation plans was that the high school-concentrated district should be first selected by area and department and one high school should be selected as special high school in home economics. Then specific method should proceed school name, the measure to recruit students, specific method for reorganizing department. and curriculum. Finally, the annual plan to establish new department and to recruit students should be Prepared. Substantial plans were to actually forward such methods to reorganize system and to enhance the qualify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the method for making substantial should be studied further It may include: the methods to ensure special teachers, training room, and facilities. the prospect and direction of career development, employment, or initiation, special research, and the application to educational environment. Employment courses were developed SOHO establishment in small capital and special store management. And academic courses was to enter a collage or university in conjunction with major departments.

  • PDF

특성화 고등학교의 섬유·의류 전문 교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Proposal of the Textiles and Clothing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이지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3-129
    • /
    • 2022
  •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섬유·의류 전문 교과 교육과정 중 의류 관련 학과의 교과목 개설 현황을 바탕으로 의류 관련 학과 교육과정 및 내용을 분석하고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자료와 문헌을 분석하고, 의류 관련 학과 전공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 과목으로는 '패션 디자인의 기초' 또는 '의복 구성의 기초'가 개설된 학교 수가 많았다. 이는 특성화 고등학교 의류 관련 학과에서 기술 교육이 우선시 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론 교과목에 대한 보다 현실적이고 교육 가능한 부분에 대한 논의와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무 과목에서도 기초 과목의 선택 결과와 비슷하게 2~3과목에 편중되어 개설된 현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반면, 많은 기자재와 높은 기술력의 필요한 '니트 의류 생산' 교과목과 '가죽·모피 디자인 생산'의 교과목에 대해서는 교육부 차원에서의 교사 연구 기회 확대 및 기자재 확충 사업이 구성되기를 희망한다. 셋째, 실무 과목 내의 NCS 능력 단위 편제의 경우 실습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이 수업을 진행하는 데 용이하거나, 각각의 학과에서 제시한 인력 양성 유형과 밀접한 능력 단위에 집중되어 있었다. 넷째, 의류 교사들의 설문과 FGI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직업 탐색을 고려한 선택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기술 교육이 진행되기 위한 산업체와 연계된 교사 연수와 기자재 및 실습 부자재 지원이 학교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차기 섬유·의류 전문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의류 관련 학과의 교과 교직 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특성화 고등학교 현장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를 기대한다. 또한, 학생들에게는 전공 관련 교과목의 선택권을 확대함으로써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는 시점에서 의류과 관련 교과목 개발 및 안착에도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수산·해운계고 교육과정의 중점과 발전적 방향 (Developing Direction and Subject Matter of Curriculum in the Fisheries Marine Science High School)

  • 김삼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54-165
    • /
    • 2003
  • Fisheries and shipping industry as national basic industry need continuous growth and bas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r international compet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investigating of the related literature and reports. The purpose of study for developing direction and subject matter of curriculum in the fisheries marine science high school was as follows. Recently, reforms of vocational high school will expand professionalization and specialization. Therefore systematic curriculum of basic knowledge, basic skill and technical is required more and more in field work of fishery and merchant marine. The other important factors of curriculum improvement were cooperative role between school and local industry, adaptation of basic ability, job analysis, various curriculum opening. Above all, teachers of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require advanced consciousness and must participate in revising curriculum. And the textbook of fisheries and merchant marine high school is useful to improve the level of learning ability degree and must be written by the related teacher, and the textbook contents must be studied by the expert group under professors leading to advanced discipline and skill of field work.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중요도 및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job performance competency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 함승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9-8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과 하위 요소를 도출하고 이들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공업계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 능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인 지역의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10개교를 선정하여 전문교과 교사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의 영역으로 교과 지도 영역, 생활 지도 영역, 학급 경영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등 5개 영역과 총 34개의 하위 요소가 도출되었다. 둘째, 직무수행능력 영역별 중요도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생활 지도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적 요구는 교과 지도 영역, 대외 활동 영역, 행정 업무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수행능력의 하위 요소 중에서 NCS 학습모듈의 교수 학습 자료 제작 및 교재 재구성, NCS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노동법과 신자격법 등의 법규 지도 및 취업 지도, 생활 기록부 관리, NCS 관련 교사 연구 활동, NCS 관련 현장 실무 능력 향상 연수, NCS 연계 사업 업무 등의 중요도나 교육적 요구가 높았다. 넷째, NCS 관련 활동 경험의 유무에 따라 교과 지도 영역과 생활 지도 영역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NCS 관련 활동 경험이 있는 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에 비하여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와 교육적 요구를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의 역량 분석 (Analysis of Competency of Nursing Teacher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윤인경;장명희;곽미선;박지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3호
    • /
    • pp.85-111
    • /
    • 2018
  • 이 연구는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태도를 도출하여 역량군과 하위역량을 검증하고,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특성화고 간호과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3명을 전문가 패널로 선정하여 델파이와 계층화분석(AHP) 기법을 적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군과 하위역량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역량군은 교수 학습 지도, 학생지도,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학교 경영 지원, 산학 및 대외협력, 자기계발 및 전문성 향상으로 총 6개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역량은 담당교과 관련 전공 지식 및 기술, 수업계획 및 준비, 수업 운영, 실험 실습 지도, 수업평가, 교수 학습매체 개발 및 활용, 수업환경 조성, 교과 외 학생 교육활동 지도, 진로 지도, 생활 지도, 학급 경영, 기술 및 자격취득 지도, 학교 교육과정 개발 지원, 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현장실습 계획 및 운영, 업무기획, 학교경영업무 지원, 교사 평가 및 인사관리 지원, 학습지원(실습실 및 기자재) 관리, 산학협력 구축 및 운영, 지역사회 협력 강화, 학교(학과) 홍보, 교육활동 개선을 위한 현장연구, 학회 및 연수 참여, 최신 지식과 기술의 탐구와 정보활용, 동료 교사 장학으로 총 26개로 도출되었다. 상대적 중요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역량군은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이었으며, 역량군별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온 하위역량은 실험 실습 지도, 기술 및 자격취득 지도, 현장실습 계획 및 운영, 학습지원(실습실 및 기자재), 관리와 업무 기획, 산학협력 구축 및 운영, 최신 지식과 기술의 탐구와 정보 활용이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역량 체계는 향후 특성화고 간호과 교사의 양성교육 및 연수 그리고 교원 평가에 적용하고,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성화고등학교 현장실습 사고와 건강문제 예방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Prevention of Acci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최은희;이미경;홍진의;정혜선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4-202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on field practice safety based on existing field practice data and accident cases regarding vocational high schools and apply them to identify their impact. Methods: The existing data, accumulated since 2010, on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analyzed, and educational materials regarding field practices were developed by six experts. 195 students in three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being taught with the materials. The survey asked about their knowledge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nd attitudes toward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harmful environments for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physical, chemical, ergonomic, and emotional labor, and the consequences were accidents, death by overwork, musculoskeletal diseases, etc. The materials covered students' rights and how to respond to workplace accidents in the 1st round, how to organize a workshop in the 2nd round, workplace safety and health signs in the 3rd round,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s in the 4th round, management of physical risk factors in 5th round,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in 6th round, wearing and managing protective equipment in 7th round, first aid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the 8th round, CPR and defibrillator in the 9th round, sexual harassment in the 10th round, and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in the 11th round.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 their knowledge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6.52 points to 7.01 poi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first, to statistically organize the data on accidents that have occurred during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second, to develop a systematic curriculum for high school 1st to 3rd graders on accidents that may happen during field practices of vocational high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