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the Curriculum of Chemical Engineering Field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특성화고 화공계열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 분석

  • Received : 2015.08.08
  • Accepted : 2015.09.25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urriculum and career path of chemical engineering field in specialized high school, and seeking for a curriculum improvement plan for activation by means of identity establishment of chemical engineering field. This study surveyed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department) regarding chemical engineering, and analyzed an adequacy among the curriculum, department name and acquired licen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the chemical engineering field to maintain the identity of chemical engineering and accept the changes in the industrial site, it is desirable for the department name to use the name of applied science, such as Applied Chemical Industry, Nano Chemical Industry, Environmental Chemical Industry, Energy Chemical Industry, Convergence Materials Science and Chemical Engineering, Ceramic Chemical Engineering, Biomolecular and Chemical Engineering, and Food Bio-chemical Engineering, which are derived from chemical engineering, and the revision of curriculum should be includ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relevant licenses by standard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field, and clarify the purpose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 image of talented, considering the future course of graduates and the demand of industr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chool-leveled curriculum to raise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Thirdl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paradigm that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s changed from 'just-to-know education (knowledge)' to 'can-do education (capabilit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erformance ability-centered curriculum in which 'chemical engineering industry - chemical engineering vocational education - chemical engineering qualification' are integrated.

이 연구는 특성화고 화공계열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화공계열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화공계열 학교(과) 대상의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교육과정 및 학과명, 그리고 취득 자격증의 상호간에 적합성을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공계열이 화공의 정체성을 유지하며 산업 현장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화공에서 파생된 응용화학공업, 나노화학공업, 환경화공, 에너지환경화공, 융합신소재화공, 세라믹화공, 생명화공, 식품생명화공 등 응용학문의 학과를 개설하고, 학과별 교육목표에 따른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한다. 둘째, 화공계열의 기준학과별로 관련 자격증을 다양화하고, 취업 가능성 제고에 따른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하여 산업수요와 직업의 변화를 고려한 인력 양성 목표와 인재상을 명확하게 수립해야 한다. 셋째, 화공계열 교육과정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중등 직업교육이 '알기만 하는 교육(지식)'에서 '할 줄 아는 교육(능력)'으로 변화하는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화공 산업체 - 화공 직업교육 - 화공 자격'이 일체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4.9.24.). (보도자료)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저자.
  2. 김창구(2007). 고등학교 화학공학 교재 분석 및 교육 내용 개선(안). NICE, 25(2), 156-162.
  3. 박동열 외(2012a). 특성화고 학과-직업 길라잡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박동열 외(2012b). 특성화고 학과-자격증 길라잡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박종성, 김상진, 구재영(2006). 고등학교 공업계열 전문교과(화공.인쇄 영역)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우상호(2009).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의 자체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7. 이규녀, 김소연, 양선주(2012). 특성화고 화공계열분야 변화 요인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직업교육연구, 31(4), 269-290.
  8. 이무근, 김재식, 김판욱(2000). 실기교육방법론(개정판). 서울: 교육과학사.
  9. 이병욱(2002). 공업계 고등학교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0. 장명희 외(2014).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 및 전문교과 교원자격임용양성체제 개선방안 공청회 자료집.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조규진(1983). 공업고등학교 화공과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조승호(2006). 중등 교원임용시험 '화공․섬유'과목의 실태분석. 직업교육연구, 26(1), 97-116.
  13. Committee on Critical Technologies(1992). Critical Technologies: The Role of Chemistry and Chemical Engineering.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p.3.
  14.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http://www.ncs.go.kr/.
  15. 학교정보알리미 홈페이지. http://www.schoolinf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