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atorial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19초

석조문화재의 생물학적 손상과 보존방안 (The biodeterioration and conservation of stone historical monuments)

  • 정용재;서민석;이규식;한성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4호
    • /
    • pp.5-28
    • /
    • 2003
  • Stone has been one of the most intensely studied materials in conservation. Understanding the deterioration of stone needs various knowledge in different minera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ts weathering response under different climate and environment. The alteration and weathering of stone is affected by natural or artificial elements whether they are physical, chemical or biological damaging factors. It can be said that the bio deterioration of stone is coupled with every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nduce decomposition of stone structur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as a form of catalysis. Many elements contribute to the deterioration of stone monuments and other objects of cultural value such as pagoda, stature of Buddha, etc. This report concentrates on the action of biodeteriorative factorsincluding bacteria, algae and higher plants. Preventive and remedial methods and a selection of chemical treatments are also described.

  • PDF

목조건조물 상량문의 보존처리 및 실례 (The conservation Treatment and examples of Sangyangmun in a wooden building)

  • 이혜윤;정용재;이규식;한성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3호
    • /
    • pp.179-196
    • /
    • 2002
  • Sangyangmun is a written record which inform the date, time, history and reason of constructing a wooden building. We have conserved Sangyangmun which was discovered during the repairment and restoration of wooden building. From 1998 to 2002, We have completed the conservation of 27 pieces of 13 cases, for example Daeung-jeon, Bongjeonsa-Temple. First We investigated the material or damage condition of Sangyangmun, and carried out fumigation in order to prevent insects and fungi. Then Sangyangmun must be sealed hermetically using escal film in order to prevent the second damage.

  • PDF

군산 십이동파도 해저출토 목재와 초본류의 수종분석 연구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Materials and Grasses Excavated Seabed from Sibidongpado, Gunsan)

  • 윤용희;양순석;문환석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7호
    • /
    • pp.63-82
    • /
    • 2006
  • We conducted species identification on the wooden materials of 10 pieces and grasses which come out from the seabed relics in Sibidongpado, Gunsan. This site is presumed to date from the Goryeo's relics. Species identification show that pieces of ship are pinus(4 pieces), ulmus(1 piece), platcarya(1 piece). Lepidobalanus(2 pieces), platcarya(2 pieces) came out from the others. Grasses are located between ceramics that were piled up. Grasses are supposed to be Phragmites Trin.

  • PDF

사비백제시기 사찰지 출토 치미 특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 (A Scientific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idge-end Tiles from the Temple Sites in the Period of the Sabi Baekje)

  • 이민희;황현성;신연홍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30-439
    • /
    • 2019
  • 본 연구는 사비백제시기 사찰지에서 출토된 치미를 대상으로 화학적, 광물학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화학적 특성에서 군수리사지 출토 치미 1점을 제외한 대부분의 치미는 유사한 희토류 원소 분포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동일한 기반암에서 생성된 점토를 사용하였음이 확인된다. 하지만 주성분 및 미량원소 조성양상이 달라 동일 기반암이라 할지라도 차별화된 풍화과정을 겪었거나 제작과정에서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광물학적 특성은 3개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Fe2O3-TiO2의 도식에서 Fe2O3이 5 wt% 이상 검출되는 시료가 상대적으로 높은 소성온도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그룹과 동일한 양상이 확인된다. 따라서 출토지에 따른 동질성은 낮으나 시료 간의 군집 경향이 확인되어 사용처에 따른 제작이 이루어졌다고 보다는 사용시점에 따른 제작이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대형 옹관의 보존처리 과정과 이를 활용한 개방형 수장고의 운용 (Use of Visible Storage for Display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a Large-sized Jar Coffin)

  • 곽은경;이혜진;유소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9권
    • /
    • pp.41-52
    • /
    • 2018
  • 이 논문은 국립나주박물관에서 진행했던 대형 옹관의 복원과 활용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처리 대상 소장품은 나주 복암리 3호분에서 출토된 것으로, 높이 194cm, 구연부 지름 108cm의 중량급 옹관이다. 복원 전에는 약 40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된 상태였고, 복원 기간 동안 유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용 지지대를 제작했다. 복원 기간은 2018년 2월 5일부터 2월 27일까지 약 3주 간 보이는 옹관 수장고에서 진행했다. 이 기간 중 약 2주 동안 진행 과정을 관람객이 직접 볼 수 있도록 상설전시의 하나로 공개했다. 이를 통해 일반 관람객에게 '옹관'이라는 대형 유물과 이를 복원하는 작업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유발하고자 했다. 또한 보존과학 업무홍보에 대한 국외사례를 조사하여, 보존과학센터 설립과 맞물린 홍보 방안을 고민해 보았다.

영동 영국사 출토 금동여래입상, 동제여래입상 분석 및 보존처리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Gilt-bronze Standing Buddha and Bronze Standing Buddha Statues Excavated from Yeongguksa Temple in Yeongdong)

  • 유자영;양슬기;이민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9권
    • /
    • pp.69-82
    • /
    • 2018
  •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충북 영동 영국사 출토 금동여래입상과 동제여래입상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를 하였다. 성분분석 결과, 금동여래입상은 구리, 주석, 납의 삼원계, 동제여래입상은 구리, 주석의 이원계 합금으로 확인되었다. 동제여래입상 성분분석 결과 금이 확인되어 금동여래입상으로 명칭이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금동여래입상은 국내에서 생산된 납을 원료로 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고, 표면에 존재하는 개금을 위한 접착제로 보이는 물질은 분석을 통해 옻으로 추정되었다. 보존처리는 상태를 확인하여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최소한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안정화처리 및 보호 코팅의 과정을 거쳤다.

완도 관음사 목조보살좌상의 제작 방법 (Production Method of Wooden Seated Bodhisattva from Gwaneumsa Temple, Wando)

  • 곽은경;이혜진;유소현;손종민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77-92
    • /
    • 2017
  • 이 연구는 전남대학교박물관 소장 완도 관음사 목조보살좌상의 제작 방법에 대해 과학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찰한 것이다. 전체 형태를 이루는 목부재의 X선 투과 촬영과 표면층 시편의 성분 분석 및 미세 관찰을 통하여 제작 방법 상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관음사 목조보살좌상은 발원문을 통해 조선 전기인 16세기에 제작된 것임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 유물을 X선 투과 촬영한 결과, 오른손을 제외한 부분을 하나의 나무로 제작한 '일목조'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연적으로 박락된 표면층 시편을 분석한 결과, 제작 당시의 개금층을 후대에 황동 재질로 보수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특징을 통하여 관련 연구에 대한 흥미로운 사례를 추가할 수 있었고, 해당 유물의 학술적 가치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금강사지 치미의 형태적 특징 및 제작기법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Formal Feature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Two Ridge-end Tiles Excavated the Geumgangsa Temple Site)

  • 신연홍;황현성;신명희;허일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0권
    • /
    • pp.31-48
    • /
    • 2018
  •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금강사지 치미 2점(부여2150-1, 부여2150-2, 이하 2150-1, 2150-2라 한다)은 금강사지 사역에서 발견된 것으로 잔존하는 하부가 비교적 완형의 형태를 갖추고 있어 치미의 형태와 제작기법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이물질 제거 등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육안관찰을 실시하여 금강사지 치미의 형태적 특징과 제작기법을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치미 2점은 표면 색상, 태토, 형태, 크기, 장식된 문양 등 외형적 특징이 매우 유사하였으나 제작기법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2150-1은 몸통과 날개를 각각 제작하고 등대 내부에 구멍을 마련하지 않은 반면, 2150-2는 점토판을 길게 조성하여 몸통과 날개를 동시에 제작하였으며 등대 내부에 원형의 구멍을 제작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치미 2점 모두 몸통 제작과정에서 의도적으로 한쪽 몸통의 형태를 기울어지도록 한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