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Study of the Formal Feature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Two Ridge-end Tiles Excavated the Geumgangsa Temple Site

금강사지 치미의 형태적 특징 및 제작기법 비교 연구

  • Shin, Yeonhong (Curatorial Affairs Division, Buyeo National Museum) ;
  • Hwang, Hyunsung (Curatorial Affairs Division, Buyeo National Museum) ;
  • Shin, Myeonghee (Curatorial Affairs Division, Buyeo National Museum) ;
  • Huh, Ilkwon (Curatorial Affairs Division, Jinju National Museum)
  • 신연홍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
  • 황현성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
  • 신명희 (국립부여박물관 학예연구실) ;
  • 허일권 (국립진주박물관 학예연구실)
  • Received : 2018.08.14
  • Accepted : 2018.11.20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e Geumganasa Temple site two Ridege-end tiles at the Buyeo National Museum(The Buyeo2150-1 and 215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2150-1 and 2150-2) were excavated the Geumgangsa Temple site. They provide important materials for investigating the shape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ridge-end tiles of the time since their lower portions remain relatively int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whether the two ridge-end tiles were identical. Conservation treatment, including removal of foreign substances, was conducted in preparation for observation with the naked eye to compare the formal feature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two exampl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se ridge-end tiles shared formal features such as surface color, clay composition, shape, size, and decoration; however, they differed in terms of production technique. The 2150-1 tile was made by assembling a separately-made body and wing and has no hole through the back, while the 2150-2 tile had its body and wing made as a single unit using long clay plates and features circular holes in the back. It was revealed that one portion of the body of both tiles was intentionally tilt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금강사지 치미 2점(부여2150-1, 부여2150-2, 이하 2150-1, 2150-2라 한다)은 금강사지 사역에서 발견된 것으로 잔존하는 하부가 비교적 완형의 형태를 갖추고 있어 치미의 형태와 제작기법을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이물질 제거 등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육안관찰을 실시하여 금강사지 치미의 형태적 특징과 제작기법을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치미 2점은 표면 색상, 태토, 형태, 크기, 장식된 문양 등 외형적 특징이 매우 유사하였으나 제작기법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2150-1은 몸통과 날개를 각각 제작하고 등대 내부에 구멍을 마련하지 않은 반면, 2150-2는 점토판을 길게 조성하여 몸통과 날개를 동시에 제작하였으며 등대 내부에 원형의 구멍을 제작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치미 2점 모두 몸통 제작과정에서 의도적으로 한쪽 몸통의 형태를 기울어지도록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원창, 부여 금강사의 축조시기와 당탑지 기단구조의 특성, 한국문화사학회, 문화사학 36, p24, (2011).
  2. 국립박물관, 금강사 , p2-4, 국립박물관, 서울, (1969).
  3. 박소희, 통일신라시대 치미제작법 연구-경주지역 출토품을 중심으로, 경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과, 석사학위논문, p1-3, (2008).
  4. 황현성, 신연홍, 이민희, 금강사 출토 치미의 조성성분 및 제작연대 추정과 국내 출토 치미의 조형성 비교연구, 한국기와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 (2018).
  5. 이승강, 조성연, 허일권, 원주 법천사지 토제 치미의 보존과 제작기법,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집 46, p39-40, (2017).
  6. 김유식, 한국 고대 치미 조각의 고찰,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7, (1993).
  7. 윤나영, 고려와 조선의 마루장식 기와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13-115, (2011).
  8. 황현성, 신연홍, 이민희, 금강사 출토 치미의 조성성분 및 제작연대 추정과 국내 출토 치미의 조형성 비교연구, 한국기와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 p96-104,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