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e Arts Support System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정부의 시각예술 지원정책 (Government Visual Arts Support Policy)

  • 현영란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60권
    • /
    • pp.402-412
    • /
    • 2017
  • 1990년대 이후 정부역할은 거버넌스로 이행되었다. 거버넌스는 네트워크를 통한 정부와 민간기구의 협력체계를 강조한다. 정부의 시각예술지원 정책은 문화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지역문화재단과의 협력체계를 통해 다각적으로 이루어졌다. 1990년대 정부의 시각예술 지원은 이전보다 전시지원 건수가 많아졌으며, 2000년대 시각예술지원의 특성은 장르별 지원체계에서 장르를 통합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창작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창작지원, 신진미술가들, 다원예술지원, 융복합지원사업이 증가하였고 작품제작비를 지원해 주는 방식이 늘어났다. 2010년 이후에는 장르별 통합한 '시각예술'사업지원이 시행되었으며, 2013년 협업을 통한 융복합 공동기획 프로젝트로 지원이 이루어졌다. 또한 해외레지던스프로그램 국제교류를 통해 보다 많은 전시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005년 이후 독일뿐만 아니라 인도, 이란, 아시아 국가와의 협력으로 확대되었다. 지방정부의 비엔날레지원 외에도, 지역문화재단을 통한 창작공간지원과 지역협력형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Features Of Pedagogical Support Of Digital Competence Formation In Educational Activity

  • Kharkivsky, Valeriy;Romanyshyn, Ruslana;Broiako, Nadiia;Kochetkova, Iryna;Khlystu, Olena;Kobyzhcha, Natalya;Poplaska, Ali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276-280
    • /
    • 2021
  • The article presents the concept of ICT - competence,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professional competence, which includes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omponents: motivational-value (orientation of the individual to the development of his ITC-competence in future professional activities); technological (complex of skills and abilities of ICT activities); cognitive (a system of knowledge of modern technologies of future professional activity);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agogical support of the formation of ICT competence of future specialists is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process training, due to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needs and the specifics of a regional university, providing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process.

Digitization Of Education: Current Challenges Of Education

  • Osaula, Vadym;Parfeniuk, Ihor;Lysyniuk, Maryna;Haludzina-Horobets, Viktoriia;Shyber, Oksana;Levchenko, Oks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1호
    • /
    • pp.368-372
    • /
    • 2021
  • The article identifies the features of the digital culture of modern society in the dynamics of its impact on the education sector, identifies the main directions of digitalization education, an objective analysis is presented, the possibilities of examination as a scientific assessment are determined "Digital reforms" of education, the role of traditional values of educational culture in expertise and improvement digital innovations in the education system, identified the main contradictions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culture, to determine the directions of its improvement. The article describes the three main compon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a complex of hardware, software and a system of organizational and methodological support; the description of analog and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ies is presented. The authors list the most common multifunctional office applications and IT tools; the advantages of using IT in the educational process are highlighted.

우리나라 다목적 공연장의 탄생배경에 관한 소고 (A Brief Review of Backgrounds behind "Multi-Purpose Performance Halls" in South Korea)

  • 김경아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5-38
    • /
    • 2020
  • 이 연구는 군사정권의 권력 전개양상에서 드러나는 문화정책이념이 '다목적 공연장'의 개념형성으로 발현되는 과정을 살펴보는데 있다. 한국의 공연장 현황은 우리나라 공연문화와 깊은 관계가 있다.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그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회관(문예회관)을 중심으로 한국의 공연문화와 향유문화가 깊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문예회관들은 다목적홀로 운영되고 있으며 운영주체는 절대다수 정부와 지방정부 또는 출자출연기관의 재단법인 등 공공영역에서 운영한다. 따라서 정부와 지방정부의 문화예술정책의 대상이며 제도적 측면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가지게 된다. 박정희 정권은 초헌법적인 유신을 공포하고 우리나라 문화예술법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문화예술진흥법」(1972.9)을 제정한다. 이법을 근거로 「문예중흥5개년계획」(1973)을 수립하고 문화시설들을 짓기 시작했다. 전국의 '문화예술'회관, 또는 '문화'회관이 다목적홀로 지어진 데에는 문화예술진흥법의 "문화예술"에 대한 정의를 "문학, 미술, 음악, 연예 및 출판에 관한 사항"으로 명시함으로써 지금의 '다목적'개념의 근거가 된다. 한편, 문화공보부의 조직직제는 "문화와 예술"을 관장함을 명시하고 대중문화와 예술진흥을 구분 짓는 문화행정체계를 갖춘다. 그러나 이시기 대통령의 연설에 나타난 박정희의 화법은 '문화예술=예술'로 인식하고 있다. 예술은 문화에 포함되는 개념이지만 문화예술=예술로 인식함으로써 정치적 시국이나 시행부서에 따라 그 해석을 달리하였고, 이러한 모호성은 예술이 이데올로기적 활용에 정책적으로 동원되는 기제가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문화예술진흥법에 근거하고 문화공보부의 관장 하에 1978년 다목적 공연장인 세종문화회관이 개관한다. 그러나 제도상의 문화예술=다목적과 설립을 추진했던 정부조직의 문화≠예술, 권력이 인식했던 문화예술=예술은 대중음악의 대관문제를 두고 가치충돌로 표출된다. 1979년 12·12사태로 정권을 장악한 신군부는 민족문화를 앞세운 국풍81을 통해 저항세력을 체제 안으로 끌어들이고자 했다. 정권의 의도는 실패하였고, 저항과 지지의 양축에서 국민적 지지를 확보하는 방안으로 국민의 문화향유 기회확대 정책에 방점을 둔다. 이는 앞 정권의 문화예술에 관한 인식의 전환이며 박정희 정권과의 차별화를 추구한 것이다. 전두환 정권에 있어 앞 정권과의 차별성은 곧 정권의 정당성 확보를 의미하는 것이었고 향유기회의 확대는 문화영역의 분배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따라서 장기적인 안목의 예술발전으로 자리매김 되지 못했고 하드웨어의 상징성으로 정권의 정당성 확보를 실현하려고 하였다. 오늘날 다목적 공연장의 개념은 유신체제하에 만들어진 법체계의 "문화예술"의 정의에 기인한 것이며 이를 근거하여 공공 공연장의 운영목적으로 '다목적'의 개념이 탄생한다. 군사정권을 이은 전두환 정권은 프로시니엄 구조의 다목적 공연장을 정권의 정당성 확보의 수단으로 표출하였고, 전국적으로 재생산 되어 오늘날 한국의 공연문화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문화예술지원사업 추진상의 쟁점과 정책방향 - 시각예술창작산실 공간·전시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Controversial Issues and Policy Alternatives in Promotion of Arts and Culture Grant Program: Focusing on Space and Exhibition Support Project of Visual Arts)

  • 고정민;장신정;장윤정
    • 예술경영연구
    • /
    • 제52호
    • /
    • pp.39-73
    • /
    • 2019
  • 본 연구는 시각예술창작산실 공간·전시지원 사업 추진상의 쟁점과 대안 모색을 하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 지원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고찰 후, 지원사업 관련 직접 수혜자 집단과 지원사업 담당자, 그리고 시각예술 전문가 집단의 FGI 및 심층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 지원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원심의와 선정이 실제 지원시기보다 충분히 여유를 두고 실행되어야 하며, 비영리전시공간과 사립미술관의 사회적 역할과 차별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두 사업으로 구분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공유하였다. 지원 방법과 평가에 관해서는 지원사업의 효과성을 고려한 장기지원이 요구되며, 지원 주체와 수혜자 사이의 신뢰성을 회복하는 건강한 파트너십 형성의 필요성, 그리고 평가기준과 e나라도움 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 구축되어야 하며, 해당 지원사업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예산의 효율적 배분 및 항목의 유연성, 그리고 예산부족에 대한 쟁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시각예술지원사업의 특수성 이해, 지속가능한 시각예술창작 산실 정책의 수립, 예산활용이 자율성 부여 및 예산확충 등의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더 나아가 문화예술지원사업은 통제보다 효율성을 중시하는 방향성, 공급자 보다 수요자 입장을 고려한 방향성, 단기적 관점이 아닌 장기적 관점의 사업기획을 해야 한다는 방향성이 도출될 수 있었다.

Methods of Organ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 Popova, Alla;Sinenko, Oksana;Prokopenko, liudmyla;Dorofieieva Veronika;Broiako, Nadiia;Danylenko, Olha;Vitkalov, Serh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4호
    • /
    • pp.140-144
    • /
    • 2021
  • The article considers aspect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training of specialists based on the use of moder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the use of teaching methods and, as a result, an increase in the creative and intellectual component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tegration of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activities (educational, research, etc.); adapt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raining to individu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ensuring continuity and consistency in learning;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distance learning; improving the software and methodological support of educational process.

Model Of Formation Of Digital Competence On The Basis Of Pedagogical Proceedings At The Present Stage Of Development Of Digitalization Of Society

  • Lytvyn, Valentyna;Khlystun, Olena;Prykhodkina, Nataliia;Poluboiaryna, Iryna;Bevz, Maryna;Kopeliuk, Ole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219-223
    • /
    • 2021
  • The article discusses the pedagogical support for the formation of ICT competence assumes the individualization of students' training, due to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needs and interests, and the provision of the necessary conditions and means to implement this process. A theoretical analysis is carried out and an analysis of experimental work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ed model for the formation of ICT competence is generalized specialists on the basis of pedagogical support.

Digital Tools for Optimizing the Educational Process of a Modern University under Quarantine Restrictions

  • Nadiia A. Bachynska;Oksana Z. Klymenko;Tetiana V. Novalska;Halyna V. Salata;Vladyslav V. Kasian;Maryna M. Tsily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1호
    • /
    • pp.133-139
    • /
    • 2024
  • The educational situation, which resulted from the announced self-isolation regime, intensified the forced decisions on the organization of the distance educational process. The study is topical because of the provision of distance learning based on the experience of Kyiv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e and Arts.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Systemic, socio-communicative, competence approaches, sociological method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hosen as methodological tool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a survey of teachers and entrants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topic "Using social networks and digital platforms for online classes under the conditions of quarantine restrictions" allowed to scientifically substantiate the need for deeper knowledge of such tools as Google Meet (79%), Zoom (13.78%) and Google Classroom (11.62%), which are preferred by entrants. Almost a third of entrants (34.26%) noted the lack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support for learning the subjects. The study showed high efficiency of messengers in distance education. The study found that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communication in the student-teacher system,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priority of Telegram on the basis of which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chatbot for convenient and effective exchange of information about the educational process.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use of Telegram. The effectiveness of using chatbots should also be considered. Chatbots can be used to automate routine components of the learning process.

만화애니메이션 교육 강사의 전문직종화를 위한 지원모델 연구 - 만화애니메이션 강사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 (Policy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he Arts Educator in the field of the Comic & Animation Education)

  • 임학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1호
    • /
    • pp.11-28
    • /
    • 2007
  • 이 연구는 문화관광부에서 2005년부터 예술 강사 지원 사업으로 실시하고 있는 만화애니메이션 강사 지원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고, 만화애니메이션 강사를 전문 직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지원 모델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만화애니메이션 강사지원에 참여하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강사지원사업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조사내용은 정부지원 사업이 만화애니메이션강사에 미친 영향, 강사 지원 사업 관련 사항에 대한 평가, 그리고 전문 직종 및 재교육 방향에 관한 것이다. 분석결과, 강사들의 참여의지, 직무교육수요, 역량개발수요, 미래 전문 직종 인식 등은 높게 나타났지만, 근무환경과 고용의 안정성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정책지원 방안으로 만화애니메이션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이론적 기반강화, 만화 애니메이션 문화예술교육 전문 인력 양성 체계 구축 및 직무연수교육의 다양화, 만화애니메이션교육 종합지식정보시스템구축, 지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와의 연계를 통한 지원 사업 거버넌스 구축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PDF

공연예술산업의 유통부문 지원 개선방안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of Public Support for Performing Arts Industry's Distribution)

  • 김선영;이의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76-186
    • /
    • 2017
  • 본 연구는 지원에 상당부분 의지하여야 하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는 공연예술산업의 문제점들을 타개할 방안 또는 개선점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창제작-유통-소비 등으로 이루어진 공연예술산업의 가치사슬 중 유통부문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음을 인식하고 유통 부문 발전 및 개선점을 찾기 위한 방안을 모색코자 하였다. 특히 정부 지원 중 공연 유통의 메인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는 공연장 중심의 지원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유통 부문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공연예술산업과 동 산업의 가치사슬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공연예술산업 유통의 구조와 주체, 현황을 분석한 이후, 정부 등 공공의 유통부문 지원 규모와 지원 사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건전한 공연예술 생태계가 되기 위해서는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각 주체의 균형 발전과 공진화가 필요하고, 2014년 기준 2.7%에 불과한 정부 및 공공의 유통 매개분야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함을 논하였다. 또한 기획사와 같은 유통 주체의 양성과 전문성 향상이 제고되어야 한다. 더불어 공연 영상 등 공연장 이외의 플랫폼 확대를 비롯한 유통의 다각화를 지원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