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heritage Industry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5초

기념사업으로 본 '5·18'의 의미 변용 민주성지, 문화도시, 인권도시를 중심으로 (Change of Meaning for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Memorial Projects Focusing on a Holy Ground for Democracy, a Cultural City and a Human Rights City)

  • 정호기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1권
    • /
    • pp.52-74
    • /
    • 2015
  • 한국전쟁 이후에 발생했던 수많은 사건들 가운데 '$5{\cdot}18$' 만큼 사회적 기억의 편차가 컸던 경우는 드물 것이다. $5{\cdot}18$은 다른 민주화운동 관련 사건들에 비해 의미의 변용이 다양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도 특별하다. 그래서 이 글은 먼저 기념사업을 중심으로 $5{\cdot}18$의 의미가 변용되었던 배경과 논리를 파악하고, 이것이 $5{\cdot}18$기념사업의 관점과 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고찰한다. $5{\cdot}18$기념사업에 관한 인식과 형태는 2000년을 전후하여 크게 달라졌다. 이전 시기의 기념사업은 사회 운동 논리가 제도화의 논리로 일정하게 수렴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시기에는 민주성지와 성역화의 담론이 중심을 이루었고, 기억투쟁의 성격을 띠었다. 반면 이후의 시기에는 $5{\cdot}18$의 의미가 문화도시와 인권도시를 조성하는 역사적 자원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5{\cdot}18$의 의미는 때로는 지역 발전 담론으로 전유되었고, 때로는 도시차별화 전략의 소재로 채택되었다. 이에 맞추어 기념사업이 추진되었던 형태도 기억투쟁형에서 유산산업형으로 달라졌다.

  • PDF

전통 고도(古都) 교토(京都)의 문화기술 융합 콘텐츠 연구 - 비와코(琵琶湖) 운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Culture and Technology Contents of Traditional Old Capital, Kyoto - Focused on the Lake Biwa Canal -)

  • 박은수;김지은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16권
    • /
    • pp.157-169
    • /
    • 2014
  • 비와코 운하는 당시 물 공급 이상의 교토시민들의 열정과 혁신을 떠올릴 수 있는 과학기술이 결집된 꿈의 사업이었다. 대규모 토목공사를 통해 주운(舟運)을 개시함과 동시에 일본 최초의 수력발전소로 전력을 공급하고, 독특한 방식의 수로운송을 채택하여 지형적 한계를 극복한 공학적인 지식과 과학기술이 집결된 근대화 프로젝트이다. 1200년 고도 교토의 전통공간으로써 유무형 문화유산 가치를 지닌 비와코 운하는 과학기술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호관계를 통해 얽혀있는 문화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비와코 운하는 교토지역의 정원, 사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지리적·환경적 배경, 시대상, 지역 발전 정책, 정치 상황, 종교 등 다양한 콘텐츠가 복합적으로 인과관계를 나타내며 이루어진 문화적 산물이다. 본 연구는 교토의 근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비와코 운하 건설을 중심으로, 그 시대가 추구하고자 한 세계관을 통해서 문화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을 융합하여 비와코 운하의 가치를 다각적으로 해석해보고자 한다.

현대미술 개념의 보존 (Conservation in Contemporary Art)

  • 김겸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
    • pp.154-159
    • /
    • 2005
  • The most common conception of a work of art is as a unique object. In conservation the prevalent notion of authenticity is based on physical integrity, this guides judgements about loss. For the majority of traditional art objects, minimising change to the physical work means minimising loss, where loss is understood as compromising the (physical) integrity of a unique object, and this forms the focus of conservation. Fundamental to conservators' approach to the conservation of contemporary art is the notion that the artist's intent should guide conservators' practice. Since most of the artists creating installation art are living, it is possible to interview them about the details of the installation, attitudes to changing technology, parameters of acceptable change and their views about what aspects of the installation are essential to preserve. Conservation is no longer focused on intervening to repair the art object but has become concerned with documentation and determining what change is acceptable and managing those changes. In order to accurately install work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broaden our focus to include elements of an installation that affect the viewer's experience. This might mean documenting the space, the acoustics, the balance of the different channels of sound, the light levels and the way one enters and leaves the installation. These are as important as the more tangible or material elements in the conservation of the work. It is also necessary to work with industry and specialists outside the field of conservation to develop new skills to preserve and manage new types of objects in our care. We can also document the less tangible details of an installation such as the light levels, the character of the sound etc. This is a new area of conservation and as a profession ou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will deepen with time. All of these strategies work together to help to limit the risk of not being able to accurately install these works in the future. Deciding what can be changed and how to best care for any element of an installation will depend on its meaning and role. For both contemporary and traditional objects such decisions are documented by conservators and although the focus of the conservator may have moved away from the material object, the approach is still rooted in traditional notions of collection care.

  • PDF

A Creative Economy Development Strategy: The Case of Trenggalek Creative Network for Trenggalek Regency, Indonesia

  • AGUSTINA, Yuli;WINARNO, Agung;PRATIKTO, Heri;NARMADITYA, Bagus Shandy;FILIANTI, Filiant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1111-112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creative economy sector of rural communities in Trenggalek Regency, East Java, Indonesia by mapping the creative economy sub-sectors in Trenggalek Regency. The creative economy industr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GDP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In urban areas, the creative economy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such that it is unlikely to evolve in rural communities. However, the rural environmental landscape, which not only has a wealth of creative human capital but also a cultural heritage, also encourages the growth of the creative economy sector in rural areas.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for 60 working days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discussions, observation and literature review. More precisely, first, it identified the potential of the creative economy both sectorally and regionally. Second, it identified the leading creative economy subsectors and compiled a creative economic development road map. After defining and mapping the potential of the creative economy, four of the sixteen sub-sectors of the creative economy were identified to be developed through a strategic plan for the growth of the creative economy using urban branding, innovative industrial centers and renewable resources.

21세기 영상 패션 커뮤니케이션 - 프라다 패션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 (21 Century Video Image Fashion Communication - Focusing on Prada Fashion Animation -)

  • 장라윤;양숙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6호
    • /
    • pp.1318-1330
    • /
    • 2010
  • The 21st century is the age when a sensational image has more explanatory power and can deliver a more powerful message than a message consisting of logical thinking. Powerful visual images create a big impact on many people throughout the world, overcoming linguistic barriers and even replacing languag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fashion field, the concept and power of visual images within the new multimedia of the 21st century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recent years, other than the above methods, videos, movies and animation features have been produced directly to enhance visual effects and attempts are increasing to use these new tools as communication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animation cont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fashion industry to overcome prejudice of luxury international brands that feature images that emphasize value, quality and heri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specific character of fashion animation in order to overview the concept of 21st video fashion communication and to show how the collection concept that includes color and detail places an emphasis on visual images.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y on Prada fashion animation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common features of two different Prada fashion animation show that both animation have the following features in common : realism, dramatic impact and convergence for expression methods, and creativeness, hybrid and a happy ending for contents. Beginning with this study, I believe that various angles of interest and concern about communication in the fashion world, which is a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that changes rapidly, can be will be looked at and learned from.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사회화 주관자와 무용개입 및 무용성취노력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ance Accomplishment Effort and Intervention, Dance Socialization Agent Dance Major College Student)

  • 백순기;김현태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07-116
    • /
    • 2021
  • 본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의 무용사회화 주관자, 무용개입, 무용노력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도 소재 무용전공 대학생으로 하였으며 유의표집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사회화 주관자는 무용개입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무용사회화 주관자는 무용성취노력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무용개입은 무용성취노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무용인들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세월이 흘러 후손들에게 전해줄 수 있는 문화유산을 위해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비롯해 산·학을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마련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패션 큐레이션의 서비스 품질이 사용자 만족, 신뢰,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ality of Curation Service on User Satisfaction, Trust, and Persistence Usage)

  • 김서영;김은혜;이진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62-776
    • /
    • 2020
  •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attributes of the curation on the satisfaction, trust, and intention to continuous use of consumers in that curation services are derived in various forms and being greatly activated, there are not many academic discussions centered on them. Besides, differences between curation services by each service provider were also verifi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one month in August 2019, with 373 men and women in their 20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variables that mak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of curation service, it was identified that satisfaction has increased when figures of fulfillment, responsiveness, personalization, design, ease of use, and safety were higher. Second, among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reliability of the curation service, trust increases when user satisfaction, design, ease of use, and safety are higher. Third,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both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use.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the curation services divided by Curating subject,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ubiquitous connectivity, and responsive quality were measured higher in the business operator service than in the user curation service.

조선시대 공신 초상(功臣肖像)의 관복(제2기) 고찰 (A Study on the Official Uniform (2nd period) of Meritorious Vassals' Portraits in the Joseon Dynasty)

  • 김미경;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42-163
    • /
    • 2020
  • 조선 전기 적개공신(1467, 1476 초상 제작)과 정국(1506)·정난공신(1507), 위사공신(1545) 초상까지를 아청색 흑단령 차림이 등장하여 정착하는 '관복 제2기' 공신 초상으로 규정하고 적개공신 손소, 오자치, 장말손 초상 3점, 그리고 정국·정난공신 유순정과 홍경주, 정국공신 이우와 유홍의 초상 4점, 총 7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예복 흑단령' 차림의 적개공신 초상의 사모는 성종 초 높아졌던 모체가 다시 낮아졌고 모정은 둥글게 표현되었다. 너비가 넓은 타원형의 사모 양각에 무늬는 표현되지 않았다. 아청색 단령과 답호, 철릭에도 무늬가 표현되지 않았다. 단답호와 철릭의 색상이 각각 녹색과 홍색으로 통일되었으며 단령과 답호의 무는 '안팎주름무'로, 신발은 백화로 표현되었다. 적개공신 초상은 책록 시의 품계가 아닌, 초상 제작 시의 품계로 그려졌음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시복 흑단령' 차림의 정국·정난공신 초상은 사모의 경우, 적개공신 초상에서 낮아진 사모 모체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모정 부분이 조금 좁아지고 앞으로 휜 형태로 변하였으며 사모 양각은 전체적으로 너비가 균일한 타원형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전 시기와 마찬가지로 사모 양각에도 무늬가 표현되지 않았다. 당하관 초상의 복식에는 무늬가 표현되지 않았으나 당상관 초상의 복식에는 운문(雲紋) 등이 표현되기 시작하였다. 또 단령은 안감 없는 홑단령으로 표현되었다. 당상관 초상에서는 홍색 답호와 녹색 철릭을, 당하관 초상에서는 녹색 답호와 남색 철릭이 표현되었다. 따라서 당상·당하 신분에 따라 받침옷의 색상이 구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단령과 답호에는 '안팎주름무'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신발은 흑화로 표현되었으며 흉배와 품대는 공신 책록 당시의 품계가 반영되어 있었다. 한편 위사공신 초상은 확인할 수 없었으나 명종대의 기록화를 통해 중종대의 단령 제도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살펴 본 제2기 적개공신 공신 초상을 통해 흑단령 차림을 공신 초상의 관복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는 점, 공신 초상 제작 시기의 품계를 초상에 반영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국공신 초상 이후 복식에 무늬가 표현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흑단령의 무늬 유무로 당상·당하를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표현된 관복 모습은 당시의 관복 규정이나 관행과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공신초상(功臣肖像)의 관복(제1기) 고찰 (A Study of the Gwanbok (1st period) of Meritorious Vassals' Portraits in the Joseon Dynasty)

  • 김미경;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180-203
    • /
    • 2020
  • 연구는 공신초상의 관복 제1기를 하향뿔의 사모와 잡색 단령 시기로 규정하고 성종 7년(1476) 이전에 그려진 조선 초 개국공신(1392)에서 성종 초 좌리공신(1471)까지의 공신초상 관복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관복 제1기에 속하는 공신초상(이모본) 중 이제(개국), 이천우(정사·좌명), 마천목(좌명), 신숙주(정난), 설계조(정난), 그리고 이숭원(좌리) 공신초상 등 관복 표현이 비교적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6점을 선정하고 관복 구성품별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조선 초 삼공신(개국·정사·좌명)의 사모는 모체는 낮고 모정은 둥글며, 사모의 하향각(下向角)은 좁고 짧은 형태였으나 단종대 이후 정난·좌리공신 사모는 모체가 높아지고 사모의 하향각도 두 배 정도로 길어졌다. 그리고 관복 제1기 공신초상의 사모뿔에는 무늬가 표현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국 초에는 단령의 색상 규정이 없었으나 대체로 옅은 색의 단령으로 표현되었다. 세종대 이후 예복용 흑단령 제도가 시작되었으나 공신초상 관복에는 흑단령 제도가 반영되지 않았으며 단종대 이후에는 담홍색 단령으로 표현되었다. 단령 겉감에는 무늬가 표현되지 않았으며, 옆트임에는 '안주름무'가 표현되었다. 단령 받침옷 답호와 철릭 역시 통일된 색상은 없었으나 정난공신 이후에는 청색 답호와 초록색 철릭을 착용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품대는 공신의 품계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였다. 단종대 이후 흉배제도가 제정되었으나 제1기 공신초상 중에는 정난공신 신숙주 초상에서만 유일하게 흉배가 표현되었다. 단령에 신는 화자는 조선 초 삼공신 초상에서는 흑화가 확인되었으나 단종대 이후 정난·좌리공신 초상에서는 백화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일부 공신초상의 흑화와 백화 솔기선 부분에 연금사로 장식한 휘(揮)가 확인되었는데 휘 장식의 화자는 3품 이상이 신던 협금화를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 속 등장인물의 복식 고찰 (Analysis of Clothing in a Painting Album of a 60th Wedding Anniversary Feast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76-98
    • /
    • 2023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덕수6375)에 묘사된 남녀 등장인물의 복식을 분석하고 《회혼례도첩》의 제작 시기를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인공 노신랑은 <전안례도>와 <교배례도>에서는 평소 관원으로 착용하던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그 외 <헌수례도>와 <접빈도>, <중뢰연도>에서는 패영 없는 자립에 옥색 포, 홍색 세조대를 둘렀다. 기럭아범은 자립에 귀 옆에 묶은 패영을 달고 흉배를 부착한 무문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성인 남자 자손과 하객들은 도포 등 당시의 대표적인 포 종류를 착용하였는데 특히 무관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은 철릭, 직령을 착용하고 붉은 색 띠와 청색 계통의 띠를 신분에 맞추어 착용하였다. 징씨(徵氏) 등 안내자는 중치막과 홍단령을 착용하였으며 어린 동자들과 시동(侍童)은 중치막을 착용하였다. 술을 따르고 음식을 나르는 총각들은 땋은 머리에 소창의(小氅衣)를 입고 성인들은 전립(氈笠)에 소창의를 착용하였다. 군영 소속의 세악수들은 소색 소창의에 흑색 전복, 그리고 허리에 남색 포대 등 군복을 착용하였다. 둘째, 노신부는 <교배례도>에서는 거두미와 초록원삼 차림을 하였고 <헌수연도>에서는 남치마·옥색저고리 차림이 확인되었다. 여자 자손들은 어여머리에 비녀와 반자, 진주댕기 등의 칠보장식을 하였고 다양한 색상의 저고리에 남색과 홍색, 옥색 등의 치마를 입었다. 남치마에 초록 장옷을 입은 부인도 확인되었다. 홍치마에 초록색 회장저고리를 입은 <교배례도>의 동녀(童女) 4명은 낭자머리에 비녀 꽂고 도다익 댕기를 길게 드리웠으며 칠보족두리를 썼다. 비자(婢子)들은 어여머리에 가리마를 썼으며 양반 부인들과 유사한 치마·저고리를 착용하였으나 색상이 연했고 치마의 길이가 짧았으며 치마의 부풀림 정도가 약하였다. 기녀는 양반 부인과 비슷한 모습이었으나 색상이 덜 화려하였으며 어여머리에는 칠보장식이 없었다. 셋째, 주인공의 자립 착용, 철릭과 직령을 입은 하객들, 군영 소속 세악수 참여 등에 근거하여 회혼례의 주인공이 병조나 군영과 관련된 인물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군영 악대의 전복의 소매 길이와 잠화 사용, 어여머리의 형태와 댕기, 저고리의 길이와 치마의 부풀린 형태 등에 근거하여 《회혼례도첩》의 제작 시기를 1760년대~1780년대로 추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