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tion environment

검색결과 1,664건 처리시간 0.027초

톱밥재배에 의한 목이의 자실체 생산 (Fruit-body Production of Auricularia auricula-judae by Sawdust Cultivation)

  • 조우식;황억금;강민진;최성용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7
    • /
    • 2010
  • Auricularia auricula-judae is an edible mushroom, which is known as wood ear, free ear, black ear mushroom, and free jelly fish. Pres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cultivation with oak sawdust of A. auricula-judae. The duration of mycelial growth and days of pinhead formation on oak sawdust bag (1.4 kg) were 29~32 days and 13~17 days, respectively. The yield of fresh fruit-body was 275~350 g.

Forecasting of plant disease and insect for an agricultural complex and farm in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of Rice (Oryza sativa L.)

  • Cha, K.H.;Oh, H.J.;Park, R.D.;Jung, W.J.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spc호
    • /
    • pp.123-126
    • /
    • 2011
  • To investigate the forecasting of plant disease and insect for an agricultural complex and farm in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of Ric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five complexs and five farms were selected in Youngam and Naju area, Jonnam, Korea. Preventation objects of plant disease and insect were leaf blast, neck blast, sheath blight, bacterial leaf blight, and hopper. Factors of sheath blight occurrence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complex were a fast transplanting time and a narrow planting density. Bacterial leaf blight in rice occurred severely in the area under water. Rice growth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complex was decreased heavy drying by hopper appearance.

Association of Grain Filling Duration and Leaf Activity with the Grain Yield in Field-Grown Temperate Japonica Rice

  • Yang, Woonho;Kang, Shingu;Park, Jeong-Hwa;Kim, Sukjin;Choi, Jong-Seo;Heu, Sungg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2호
    • /
    • pp.120-130
    • /
    • 2018
  • Improvement in rice grain yield has been approached by means of genetic amendment, cultural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Subjecting the plant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to an appropriate environment plays a key role in achieving a high grain yield in temperate ric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wo consecutive years with two planting times to assess the relations among grain filling traits, loss of leaf activity during the ripening period, and the grain yield of temperate japonica rice with wide environmental variation. Higher grain yields were attained in 2017 than in 2016 and with late planting than with early planting. The high grain yield accompanied a comparatively lesser increase in grain weight at the early filling stage but more gain in grain weight occurred during the late filling stage. Final grain weight correlated positively with grain filling duration but negatively with grain filling rate. Extended grain filling dura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cumulative temperature and cumulative solar radiation for an effective grain filling period. The reduction in SPAD value ${\times}$ leaf dry weight from heading to harve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inal grain dry weight in a positive manner. No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between grain filling duration and the decrease in SPAD value ${\times}$ leaf dry weight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at grain filling duration and loss of leaf activity during ripening independently contribute to environmentally induced yield improvement in temperate japonica rice.

산양삼 생육특성과 입지환경 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Environment of Wild-simulat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김기윤;엄유리;정대희;김현준;김만조;전권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63-470
    • /
    • 2019
  • 본 연구는 고품질 산양삼 생산을 위한 표준재배기술 개발을 위해 산양삼의 생육특성과 재배지의 입지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국 9지역의 산양삼 재배지를 선정하여 13년생 산양삼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고, 각 재배지의 임상 및 토양 이화학성을 분석하여 입지환경과 산양삼 생육특성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총9개의 재배지 중에서 산양삼의 생육특성은 거창과 함양 재배지에서 다른 재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산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산양삼의 부피는 재배지 임상의 흉고직경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활엽수의 비율과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 침엽수의 비율과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침엽수의 비율이 100%로 확인된 영월 재배지의 산양삼 생육특성이 다른 재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이러한 결과는 침활혼효림에서 침엽수의 비율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재배지 토양의 pH, K, Ca, Mg과 생육특성 간의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산양삼의 생육특성과 입지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산양삼의 생육은 재배지 임상의 흉고직경이 크고, 침활혼효림에서 침엽수의 비율이 높으며, 토양의 pH, K, Ca, Mg 함량이 높지 않은 재배지에서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산양삼 재배에 적합한 재배적지의 입지환경 조건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산양삼은 7~20년 동안 무농약, 무비료의 청정환경에서 생산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산양삼의 예상재배지를 선정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농작물 육성에 필요한 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Cultivation Environment of Crops)

  • 안우영;이현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167-2171
    • /
    • 2016
  • 농작물의 재배 목적이 생산량의 목적에서 품질향상으로 변화되어져 왔다. 실외 환경을 농작물 재배에 대해 영향을 줄이기 위해 농가들이 비닐하우스 재배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 가운데, 버섯은 고영양이면서, 풍부한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건강식품으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버섯 산업은 새로운 유망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위해 버섯에 대한 재배방식은 단순한 수공 재배모드에서 자동화된 공장화된 재배모드로 발전해오고 있다. 이와 같이 버섯의 생산 과정에서 요구되는 생육환경제어는 버섯의 산출량 및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농가 비닐하우스 안에 온도를 수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지금은 대부분 농가들 여전히 온도계로 온도를 측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 온도 조절 환경 구축해서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농가 생산효율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Analysis of Nationwide Soil Chemical Trait for the Application of Standard Nitrogen Level in Rice Cultivation

  • Jinseok Lee;Jong-Seo Choi;Shingu Kang;Dae-Woo Lee;Woonho Ya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1-121
    • /
    • 2022
  • When 7 kg·10a-1, which is less than the nitrogen standard application amount of 9 kg·10a-1, is applied, the protein content is lowered and the palatibility is improved.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nitrogen fertilization of 7 kg·10a-1 nationwid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40 paddy fields in 8 provinces in 2021, and the organic matter content, effective phosphoric acid, and effective silicic acid were analyzed for each sample. As a result of one-way ANOVA analysis between samples collected for each provi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effective phosphoric acid, and effective silicic acid except for some provinces.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was higher than the appropriate level(25 ~ 30 g·kg-1) except for Gyeongsangbuk-do, the effective phosphoric acid was higher than the appropriate level(80~120 mg·kg-1) in all provinces, and the effective silicic acid was lower than the appropriate level(157 ~ 180 mg·kg-1) except for Gyeonggi-do, Jeollanam-do and Gyeongsangnam-d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commended fertilization amount based on the nitrogen application amount of 7 kg·10a-1, 68.3% ofthe 240 samples were able to give nitrogen fertilizer less than 7.5 kg·10a-1, and the rest had to be given more than that to satisfy the standard fertilization amount. As a result of this study, 68.3% of rice paddies nationwide can be cultivated with a standard fertilization amount of 7 kg·10a-1, however it was thought that continuous nutrient management would be required for other paddies.

  • PDF

번식방법과 재배시스템에 따른 딸기의 생장, 생산성, 품질 (Growth,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trawberry as Affected by Propagation Method and Cultivation System)

  • 강동일;호강도;리야리;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26-336
    • /
    • 2020
  • 이 연구는 번식방법과 재배시스템별 딸기 '설향' 품종의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삽목법과 유인법으로 번식된 이식묘를 토경과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진주의 딸기 재배농가에서 2018년 9월12일부터 한 작기 동안 재배하였다. 과실 수확은 2018년 12월 20일에 시작하여 작기가 끝날 때까지 4-5일 간격으로 계속하였다. 전 수확기간 동안 생육, 과실 생산성 및 품질을 측정하였다. 번식방법이 크라운 직경, 엽장 및 엽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재배시스템은 크라운 직경, 엽장, 엽폭, 엽록소 함량 및 엽수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전 수확기간 동안 포기 당 총 과실 수량과 과실 당 평균 과중은 토경재배 시스템에서 유의미하게 낮았다. 시장성이 없는 총 과일 비율은 수경재배 보다 토경재배 시스템에서 현저하게 더 높았다. 시장성이 없는 과일 토경에서는 주로 작은 과일인데 인데 반해 수경재배에서는 주로 기형 과일이었다. 전반적인 고품질 과실은 2월에 수확되었고, 수경재배 시스템에서 토경에 비해 과실의 품질이 더 높았다. 삽목번식이 유인번식 보다 더 좋았고, '설향'의 과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경재배가 토경재배 보다 더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호두나무 재배지역 변화 예측 (Predicting the Changes in Cultivation Areas of Walnut Trees (Juglans sinensis) in Korea Due to Climate Change Impacts)

  • 이상혁;이상훈;이솔애;지승용;최재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9-4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호두나무에 대하여 단기임산물 재배적 지도를 바탕으로 기후변화를 고려한 전국의 재배가능지역을 MaxEnt 모델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RCP 4.5 및 8.5 시나리오와 HadGEM2-AO모델을 이용하여 2050년대와 2070년대의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지역 변화를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미래의 재배적지면적을 현재 수치와 비교하였을 때, RCP 4.5에서는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에 이르는 우리나라 서쪽 지역이 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RCP 8.5에서는 경상북도, 경상남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평균고도가 600m 이상으로 높은 지역인 강원도는 2070년대 RCP 4.5에서 18.3%, RCP 8.5에서 56.6%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 기후변화의 영향 정도에 따라 전국적으로 재배가능지역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호두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분석한 결과 공주시, 김천시, 영동군은 2070년대에는 RCP 8.5에서 재배지역의 감소가 클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공주시는 RCP 4.5에서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주군과 천안시는 현재의 재배가능지역이 모든 시나리오에서 유지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예상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쟁력 있는 임산물 생산을 위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석회안정화 방법을 이용한 돈사분뇨공공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탈수슬러지의 퇴비화 (Composting using the Lime Stabilization of Dewatering Sludge from Centralized Swin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황인수;민경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87-694
    • /
    • 2006
  • Dewatering sludge using inorganic chemicals with polymer has been evaded for reuse on account of the risks of high heavy metals contained and soil acidification. Composting feasibility of coagulation & dewatering sludges produced from livestock waste treatment plant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analysis prove that dewatering sludge is valuable matter with suitable elements for composting if high quality ferric chloride ($FeCl_3$) is used for coagulation & dewatering process. In pot-cultivation of harvestes, using effects of dewatering sludge improved with lime treatment was very effective. The results of pot-cultivation proved that harms of crops according to different acid tolerances were not detected. But it was not applied to crops with weak acid tolerance or greenhouse for free from gas damage. Also, Further studies and monitorings are necessary to use sludges because results of pot-cultivation were generated differently by characteristics of soil, nutrient demand of plants, mature degree of sludge, consecutive cultivation and etc.

중국 단동 지역에서 국내 벼 품종의 출수 반응과 적응 출수생태 특성 (The Heading Response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daptable Heading Ecotypes of Korean Rice Varieties in Dandong, China)

  • 양운호;;김정주;한아름;양정욱;김은영;강신구;이대우;채미진;신명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3호
    • /
    • pp.106-113
    • /
    • 2023
  • 북한 서북부 지역 적용을 위하여 인접한 중국 단동 지역시험포장에서 2021-2022 2년간 5월 6일과 5월 16일에 이앙하여 벼 품종의 출수기를 조사하고, 단동 지역의 벼 재배기간에 적응하는 출수생태 특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재배기간에 단동 지역의 평균기온은 북한의 신의주보다 약간 낮게, 수풍보다는 약간 높게 경과하였으며, 이들 세 지역의 일장 변화는 거의 동일하였다. 2. 시험 연도와 이앙시기에서 공통적으로 단동 지역의 안전출수한계기와 현지 품종 중 가장 늦은 출수기까지 출수한 국내 품종은 조생종 8개(진부올, 백일미, 조운, 진옥, 조평, 진부, 산호미, 오대)였으며, 북한 품종은 5개(올벼2, 선봉9, 온포1, 길주1, 평도15)였다. 3. 국내 13품종과 북한 7품종의 기본영양생장성은 12~43일, 감광성은 3~56일, 감온성은 15~33일 범위였는데, 국내 중생 및 중만생 3품종(선품, 신보, 소비)과 북한 평양 21은 감광성이 33~56일로 컸고, 다른 3품종(아세미, 진미, 평도5)은 기본영양생장성이 40~43일로 큰 특징을 보였다. 4. 단동 시험포장에서 나타난 벼 품종의 출수기는 감광성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감광성이 컸던 중생과 중만생 3품종을 제외하면 기본영양생장성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5. 단동 지역의 벼 재배기간에 적응하는 품종은 기본영양생장성 35일 이하와 감광성 25일 이하를 모두 충족하는 출수생태 특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