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ivation Analysis

검색결과 1,587건 처리시간 0.024초

산양삼 재배지의 입지, 토양 및 재배특성 분석 (An Analysis on Site, Soil and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Mountain Cultivated Ginseng (Panax ginseng) Field)

  • 권수덕;강정희;윤준혁;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81-88
    • /
    • 2011
  • 산양삼 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9개도 18 재배지를 대상으로 입지환경, 토양환경, 생육과정, 재배방법과 시기를 조사 분석하였다. 산양삼 재배 입지환경은 활엽수림, IV영급 기준 ha당 잔존본수 500~1,000본, 해발 500 m 미만, 경사 $25^{\circ}$ 이하, 재배사면은 북, 북동, 동, 북서방향에서 주로 재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은 유기물함량 3.43~24.07%, pH 3.8~5.7, 토성은 사토~사양 토로 재배지 간에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육과정은 발순, 개엽, 개화, 결실, 홍숙, 낙과, 낙엽까지 조사되어 평균 98일의 생육기간이 소요되었다. 재배방법은 파종과 이식 형태로 증식되고 있었으며, 파종은 개갑처리(발아촉진처리)와 직파형태로 파종하고 있으며 각각 70%, 30%로 처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직파 및 이식재배에 따른 생장해석 (Growth Analysis of Angelica gigas Nakai Affected by Cultivation Methods)

  • 남효운;최돈우;김길웅;권오흔;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8-228
    • /
    • 1999
  • 참당귀의 주산지인 경북북부지역에서 재배양식에 따른 참당귀의 생장해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요형질의 변화는 재배양식에 관계없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직파재배에서 파종시기가 빨라질수록 지상하부 형질은 크거나 많았으며, 이식재배에서는 지상부 형질은 관행 12개월묘보다 9개월이하 묘이식이 크거나 많은 반면 지하부 형질은 생장초기에는 묘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나 생장이 진전될수록 이러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각 기관별 건물중은 파종 및 이식 후 120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직파재배의 경우 지상부 생장이 지하부에 비해 왕성한 반면 이식재배는 지하부 생장이 상대적으로 왕성하였다. 생장기간이 단축될수록 광합성기관의 분배율이 증가하였고 RGR, NAR 등 일차생산성은 증가하였으나 생장일수의 제한 및 단위면적당 일차생산성을 나타내는 CGR이 9개월묘 이식과 3월31일 직파가 가장 빨라 군락상태에서의 일차생산성은 이들 재배양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당귀의 CGR과 LAI간에는 2차 다항식이 유의하게 존재하였으며 LAI시 1.97일 때 /$6.74\;g/m^/dat2$ 로 가장 빨랐다 RGR과 NAR은$23^{\circ}C$ 경에 가장 높았고 건엽중 및 건엽병중은 각각 $23,\;20^{\circ}$에서 순생산량인 가장 많았으며 건근중은 부의 관계를 보였다.

  • PDF

산양삼 생육특성과 입지환경 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Environment of Wild-simulat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김기윤;엄유리;정대희;김현준;김만조;전권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63-470
    • /
    • 2019
  • 본 연구는 고품질 산양삼 생산을 위한 표준재배기술 개발을 위해 산양삼의 생육특성과 재배지의 입지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국 9지역의 산양삼 재배지를 선정하여 13년생 산양삼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고, 각 재배지의 임상 및 토양 이화학성을 분석하여 입지환경과 산양삼 생육특성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총9개의 재배지 중에서 산양삼의 생육특성은 거창과 함양 재배지에서 다른 재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산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산양삼의 부피는 재배지 임상의 흉고직경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활엽수의 비율과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 침엽수의 비율과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침엽수의 비율이 100%로 확인된 영월 재배지의 산양삼 생육특성이 다른 재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이러한 결과는 침활혼효림에서 침엽수의 비율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재배지 토양의 pH, K, Ca, Mg과 생육특성 간의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산양삼의 생육특성과 입지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산양삼의 생육은 재배지 임상의 흉고직경이 크고, 침활혼효림에서 침엽수의 비율이 높으며, 토양의 pH, K, Ca, Mg 함량이 높지 않은 재배지에서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산양삼 재배에 적합한 재배적지의 입지환경 조건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산양삼은 7~20년 동안 무농약, 무비료의 청정환경에서 생산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산양삼의 예상재배지를 선정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PCC 온실가스 산정지침 변화에 따른 농촌지역 벼 재배부문 배출량 및 배출특성 분석 (Analysis of Changing for GHG Emissio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n Rice Cultivation by IPCC Guideline Improvements)

  • 박진선;정찬훈;정현철;김건엽;이종식;서교
    • 농촌계획
    • /
    • 제23권2호
    • /
    • pp.75-86
    • /
    • 2017
  • IPCC Guidelines have been updated after the first official announcement to get more precise estimation of GHG emission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lications of the IPCC Guidelines improvements including equations of country-specific parameter values for estimating GHG emissions for rice cultivation on the agricultural sector. In addition, we analyze the effects of emission factors associated with organic amendment 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GHG emissions of rice cultivation based on 1996 IPCC GL are 28% lower than those estimated by 2006 IPCC GL with the same year data; (2) GHGs can be reduced up to 60% through the assumption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s; (3) Jeonnam and Chungnam are the worst regions for GHG emissions on rice cultivation and Chungbuk shows the highest reduction rate of GHG emissions, about 40%.

Air-lift 및 Jar Fermenter에 의한 Hericium erinaceum 심부배양의 배양특성 및 Scale-up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cale-up for Submerged Cultivation of Hericium erinaceum Through Air-lift and Jar Fermenter System)

  • 정재현;이근억;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03-109
    • /
    • 2006
  • H. erinaceum의 기능성 소재화 연구의 일환으로, 지금까지 체계적으로 연구된 바 없는 H. erinaceum의 액체배양을 시도하고. 이 버섯의 서로 다른 생물반응기하의 액체배양 특성을 규명하고 대량생산을 검토하였다. 5 L 용량의 jar fermenter와 air-lift fermenter에서의 액체배양의 비교실험을 통해 air-lift fermenter의 사용이 종균 배양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태 분석을 통해 적정 크기($2{\sim}4mm$)의 pellet 형태의 유지가 대량 생산의 중요인자인 것을 규명하였다. Air-lift fermenter 하의 배양을 종균으로 하고, 적정 크기의 pellet을 유지하는 500 L까지의 jar fermenter를 사용한 회분 배양의 scale-up 실험결과, 30 및 500 L에서의 교반 및 통기속도는 각각 200 rpm, 1 vvm 및 150 rpm, 1 vvm이었다. 이 조건하에서 배양의 전 기간 중 적정 pellet을 유지하였으며, 최대 균사체량은 약 $13{\sim}14g/L$이었다.

시설 재배 농가 관리를 위한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비상 알림 스마트팜 서비스 모델 설계 (Design of Emergency Notification Smart Farm Service Model based on Data Service for Facility Cultivation Farms Management)

  • 방찬우;이병권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1권1호
    • /
    • pp.1-6
    • /
    • 2022
  • 2015년부터 정부에서는 한국형 스마트팜 보급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 및 현행 재배 연구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 대규모 시설 채소 농가에만 보급이 국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작물 생육 및 재배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IT 기술의 단순 적용으로 도입 비용 대비 효율성과 신뢰성이 낮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공 및 외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수행하고 이를 시설 재배 농가의 실정에 맞는 데이터 기반의 타깃형 스마트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농장 위험 정보 알림 서비스를 개발하고, 적정 비료 시비를 위한 광환경지도를 제공하며, 시설 농장의 온습도 정보를 활용한 재배 작기별 병해 예측 모델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스마트팜 센서 데이터와의 연계, 활용으로 스마트팜 데이터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며, 데이터 활용에 경제적 효율성 및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식물공장 재배 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Economic Analysis on the Automation System of the Cultivation Process in the Plant Factory)

  • 정민철;김한돈;김지민;최정민;장현승;조소운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57-64
    • /
    • 2022
  • 식물공장은 통제된 공간에서 인공적인 환경을 조성과 자동화 설비를 통해 식물을 계획적으로 생산하는 시설이다. 하지만 식물공장은 내부 환경 제어 기술에 비해 재배 과정의 자동화 도입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는 다수의 근로자 투입으로 인한 운영비용 상승의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물공장의 재배 과정에 자동화 도입 전후를 비교하여 경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첫째, 자동화 도입이 필요한 작업을 선정하기 위해 식물공장의 작업 과정을 파악하였다. 파악된 작업 과정은 재배 식물의 생육 과정을 중심으로 나열하고 자동화를 도입할 작업을 선정하였다. 둘째, 선정된 작업에 방안별 투입과 산출을 비교할 경제성 평가 방법을 설정하였다. 셋째, 방안별 소요비용의 계산에 필요한 변수를 설정하였다. 넷째, 방안별 소요비용의 산정을 위한 계산 식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작업별 손익분기점을 분석하고 전체 작업에 대한 손익분기점을 통해 운영 기간에 따른 자동화 도입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식물 재배를 위한 6가지 작업에 자동화를 도입할 경우 손익분기점은 3.4년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상 식물공장을 3.4년 이상 운영할 경우 자동화 도입은 경제성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식물공장에 자동화 도입에 따른 손익분기점을 분석함으로써 국내외 다양한 식물공장의 자동화 도입에 따른 경제성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수행될 연구는 자동화 도입에 적절한 식물공장의 기준을 선정하고 효율적인 자동화 도입 방안을 수립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농촌 부문 공기업의 공익적 가치 인식 연구 - 한국농어촌공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ublic Value from Public Corporation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 The Case of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 임채환;범진우;안동환;유도일
    • 농촌계획
    • /
    • 제27권4호
    • /
    • pp.83-96
    • /
    • 2021
  •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of public value created by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 representative public corporation in the agricultural and rural sector. We categorize agricultural and rural public values as 'stable food supply,' 'conservation of national environment and nature,' 'formation and cultivation of water resources,' 'prevention of soil loss and flooding,' 'conservation of ecological system,' 'conservation of rural tradition and culture.'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we apply content analysis. An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we use topic modeling an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nalysis which is used widely in the field of text-mining. Results show that internal perception for value suppliers are mainly created for 'stable food supply,' 'formation and cultivation of water resources,' and 'conservation of rural tradition and culture.' External perception for value demanders are created for all public values, but its evaluation and demand include various aspects includ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계지복령환(桂枝茯笭丸)의 HeLa Cell 증식억제(增殖抑制)와 사멸효과(死滅效果) (Inhibitory Effects of Gaejibokryunghwan on Cell Proliferation in HeLa Cells)

  • 황덕상;조정훈;장준복;이경섭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3-35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Gaejibokryunghwan on cell proliferation in HeLa cells. Methods : Human uterine cervical carcinoma HeLa cells were cultured in the 1%, 5% and 10% concentration of Gaejibokryunghwan extract solution. All three were cultured for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each,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s of Gaejibokryunghwan. Afterwards, we drew out the effect of Gaejibokryunghwan extract solution by making 5 analysis. First analysis was to measure the proliferation rate of cells. Second was FACS analysis. Third was to estimate the activity or caspase-3. Fourth, we used XTT assay to analyze the activation or cells. Ana lastly, a molecular biological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activation of MAP kinase in the HeLa cells. Results : After 24, 48 and 72 hours cultivation, the proliferation of HeLa cells showed the dose-dependent decrease in all Gaejibokryunghwan extract solution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FACS analysis, Gaejibokryunghwan extract solution groups showed increased caspase ex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the group for 48 and 72 hours in 1 % concentrate. Caspase-3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all, except tile group cultured for 24 hours in 5% concentrate and the groups cultured for 48 hours in 1% and 5% concentrate. In the XTT study, 1% Gaejibokryunghwan extract solution groups showed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other Gaejibokryunghwan extract solution containing group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after 24, 48 and 72 hours of cultivation. The expressions of MAP kinase were decreased in all Gaejibokryunghwan extract solution containing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24, 48 and 72 hours of cultivation. Conclusions : From this study, we could suggest that Gaejibokryunghwan be available to the inhibition of proliferation of human cervical carcinoma cell line, HeLa cells in vitro.

  • PDF

목재펠릿 도입에 따른 시설재배의 경제적.환경적 타당성 분석 -목재펠릿과 경유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Feasibility of Cultivation under Structure Due to the Introduction of Bio-energy -Comparative Analysis of Wood Pellets and Diesel-)

  • 양정수;윤성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5-350
    • /
    • 2013
  • With the efforts to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nd increasing awareness to environmental issues, the usage of wood pallets has been increasing every year since the introduction of wood pallet technology to the domestic market. until 2009, majority usage of pellet boiler was in the residential houses. In an effort to increase the distribution of wood pellet boiler to cultivation facilities with high usage of fuels,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has launched a distribution project of wood pellet boiler for fuel usage as a part of the agricultural and fishery energy efficiency projects. Although only small number of farms with a heat-culturing facility have replaced from conventional boiler to pellet boiler. Although part of reason for low usage of pallet boiler is lack of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f it, the main reasons are high initial cost and uncertainty of its cost efficiency. Also, most people from agricultural industry don't realize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environmental benefit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in 'resource circulation' and 'adopting to climate change'. In this study, first, we did a cost-efficiency analysis of the farm which uses a diesel boiler to grow cucumber, tomato, paprika. Then we replaced the diesel boiler to a pallet boiler and measured its cost-efficiency again. By comparing the cost-efficiency of the diesel boiler with the pellet boiler, we analyzed the economic viability of pellet boiler. Then we analyzed viability of pallet boiler usage in terms of 'resource circulation' and 'adopting to climate change'. As a result of our analysis, we have found out that under the current system of government support, the energy usage varies depends of the types crops grown and the higher the energy use, the more cost efficient it is to use the pallet boiler. Also, it is economically viable to use the pallet boiler in terms of 'resource circulation' and 'adopting to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