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du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학습동기유형 분석을 통한 e러닝 시장의 개척과 확산 방안에 관한 연구 : 크레듀 사례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development of e-Learning Market through Analysis of the Type of Learning Motives : Focused on the Case of Credu)

  • 김남국;이준기;정창욱;김종혁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7-193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e러닝 시장을 개척한 기업인 크레듀가 어떻게 시장 진입 기회를 포착하였으며 핵심역량 강화와 함께 어떻게 다각화를 추진하였는가를 실제 사례와 함께 학습자의 e러닝 학습동기유형을 분석하여 살펴보고 기업 차원에서 여러 가지 e러닝 기법들이 어떻게 발전해왔고, 또한 이것을 적용하는 방식에서 어떠한 대응이 필요했는지를 조사하였다. e러닝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크레듀는 핵심역량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해 고객과 적극적인 의사소통 채널을 만들어 핵심 사업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단행하면서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동기유형에 대한 모델을 만들어 보다 모험적이고 실험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해 e러닝 발전에 기여했으며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e러닝 학습동기유형을 분류한 선도적인 연구일 뿐만 아니라 성공한 e러닝 기업의 사례를 통한 e러닝 시장의 개척과 확산 방안에 관한 기법을 소개함으로써 실무적인 측면에서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Smart Devices에서 LTI(Learning Tool Interoperability)를 활용한 협력학습 도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Learning Tool Using LTI in Smart Devices)

  • 장근원;박상윤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D)
    • /
    • pp.28-31
    • /
    • 2011
  • 최근 이러닝의 연구방향의 변화는 기존의 Courseware를 중심으로 한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기반의 학습관리 위주의 기능에서 학습자의 학습행위를 보조하고 지원하기 위한 학습 환경의 제공으로 관심이 옮겨지고 있다. 기존 LMS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는데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 수의 부족, 이종의 시스템간의 콘텐츠 재활용의 불가, 콘텐츠 단가의 하락으로 인한 고급의 콘텐츠 부재, 학습몰입도의 저하 등이 핵심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학습도구를 제공하고 더불어 기반 플랫폼에 상관없이 이종의 시스템에서 모두 실행이 가능한 LTI 기반의 학습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학습계획과 교육 분야를 선택할 수 있어 스마트한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

A Schema Approach to Cognitive Resonance and Its Decision-making Performance

  • Lee Kun Chang;Chung Namho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931-939
    • /
    • 2003
  • This paper is aimed at proposing a new framework to predict decision performance, by Investigating decision maker's cognitive resonance. We assume that every decision maker has two kinds of schema­emotional schema and rational schema. Cognitive resonance is believ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wo schemata and decision performance. In literature on decision performance there is no study' seeking relationship among the two schemata ana cognitive resonance. Therefore, our research purposes are twofold: (1)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proposed framework describing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wo schemata, cognitive resonance, and decision Performance, and (2) to empirically prove its validity applying to. Internet shopping Situation. Based on the questionnaires from 13S- respondents, we used a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o extract valid construc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calculate path coefficients and prove the statistical validity of our proposed research model. Experimental results supported our research model with some further research issues.

  • PDF

기계학습 기반의 웹 마이닝을 이용한 고객 세분화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Customer Segmentation Sttrategies by Using Machine Learning-Oriented Web-mining Technique)

  • 이건창;정남호
    • 산업공학
    • /
    • 제16권1호
    • /
    • pp.54-62
    • /
    • 2003
  • With the ubiquitous use of the Internet in daily business activities, most of modern firms are keenly interested in customer's behaviors on the Internet. That is because a wide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customer's intention about the target web site can be revealed from IP address, reference address, cookie files, duration time, all of which are expressing customer's behaviors on the Internet. In this sense, this paper aims to accomplish an objective of analyzing a set of exemplar web log files extracted from a specific P2P site, anti identifying information about customer segmentation strategies. Major web mining technique we adopted includes a machine learning like C5.0.

A Study 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based Dynamic Smart On/Off-line Learner Tracking System

  • Lim, Hyung-Min;Jang, Kun-Won;Kim, Byung-Gi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4호
    • /
    • pp.609-620
    • /
    • 2010
  • In order to provide a tailored education for learners with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it is critical to undertake an analysis of the learning activities of learners. For this purpose, SCORM (Sharable Contents Object Reference Model), IMS LD (Instructional Management System Learning Design) and other standards provide learning design support functions, such as, progress checks. However, in order to apply these types of standards, contents packaging is required, and due to the complicated standard dimensions, the facilitation level is lower than the work volume when developing the contents and this requires additional work when revision becomes necessary. In addition, since the learning results are managed by the server there is the problem of the OS being unable to save data when the network is cut off. In this study, a system is realized to manage the actions of learners through the event interception of a web-browser by using event hooking. Through this technique, all HTMLbased contents can be facilitated again without additional work and saving and analysis of learning results are available to improve the problems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standards. Furthermore, the ubiquitous learning environment can be supported by tracking down learning results when the network is cut off.

직무 불만족과 창의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issatisfaction and Creativity)

  • 김정훈;이신자;백기복;신제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1호
    • /
    • pp.107-128
    • /
    • 2011
  • 본 연구는 고용인들의 직무 불만족과 그들의 창의성이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고용인들은 직무 불만족에 대한 반응으로 4가지의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첫째, 직무와 관련되지 않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주위를 기울이며 자신이 맡은 직무를 전혀 하지 않을 수도 있고(무시), 더 나은 상황에서 일할 수 있도록 노력할 수도 있다.(의사표현). 또 다른 직장을 찾거나 현재 하고 있는 자신의 일을 그만 둘 수도 있고(이탈), 변화와 향상에 대한 노력없이 조직에 머물러 있을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직무 불만족에 대한 고용인의 반응 중에서 의사표현(Voice)이 창의성으로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직무 불만족과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용인의 직무 불만족이 창의성으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창의성에 대한 인지된 조직지원과 동료의 도움과 지원을 고용인이 인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의사표현이라는 것은 고용인이 조직을 이탈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에 머물러 있으며 이는 지속적 몰입과도 관련이 있음을 이론적으로 밝혀 보았다. 문헌 검증을 통해 실증 분석을 실시하여 본 결과 직무 불만족과 창의성은 매우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 불만족과 지속적 몰입과의 상호작용이 창의성과 유의한 관계를 가질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그리고 직무 불만조고가 지속적 몰입의 상호작용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창의성에 대한 인지된 조직지원이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또 직무 불만족과 지속적 몰입의 상호작용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동료의 도움과 지원이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 역시 지지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많은 가설들이 지지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