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competency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2초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조사연구 (Research on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박주영;정남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3-120
    • /
    • 202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s between five sub-elements of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2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February 12, 2020, to February 28, 2020. A Google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through SNS; 16 data with insufficient responses were excluded, and 116 data were final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1.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 mean scores for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of th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is as follows: Creative ability 3.12±.58, creative personality 3.29±.55, creative leadership 3.50±.53, convergent thinking 3.23±.57, confluent value creation 3.04±.59.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creative leadership competence was highest, and confluent value creation competence was lowest. The average score of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was 3.12±.58, and the Cronbach' α value of the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was .97, which was very reliabl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ive sub-elements of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Conclusion : The data in this study are related to efforts to improve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creative confluence competency and prepare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 competency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창의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역량중심 비교과과정 개발 및 운영체계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and its Operating System for developing creative-convergent talent)

  • 김영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987-1993
    • /
    • 2016
  • 창의융합교육의 핵심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실제로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 의교육과정에 사회와 기업이 원하는 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선정하고, 선정된 역량에 기반 하여 역량중심 비교과과정 체계 및 운영체계를 개발 하였다. 창의 융합 형 인재를 '협업 형 창의융합인재, 브리꼴레르'로 정의하고, 이러한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TX역량으로 규정하였다. T역량은 인문소양, 분야별 전문성으로 구성하였고, X역량은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합적 사고력, 자기주도 학습역량, 협력적 리더십으로 구성하였다. 비교과영역의 과정 개발을 통하여 학습자 역량 개발을 위한 과정을 적극 제공하고 관리를 체계화하여 학생들의 교내외 활동의 참여정도 및 성과에 대하여 마일리지점수를 부여하는 운영시스템을 체계화 하였다. 본 연구는 교과영역의 제한된 틀을 넘어 학습자의 다원적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기반 비교과과정 및 그 운영체계의 시한적 모델이 될 수 있으리라 본다.

대학생의 협동학습역량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Personality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ity)

  • 김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46-75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협동학습역량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창의성의 인지적인 측면인 창의적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인 창의적 성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2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의 Model 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첫째, 협동학습역량과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향, 인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협동학습역량은 인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능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성향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향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인성을 함양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게 보고된 창의성 변인을 인지적 능력인 창의적 능력과 정의적 특성인 창의적 성향으로 세분화하여 인성이 함양되는 순차적인 매개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논의와 시사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창의역량 함양을 위한 SW교과목 운영 효과 검증 (Development of Software Course Model and Verification of its Effects to Foster Creativ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 오미자;김미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5-26
    • /
    • 2018
  • 최근 초 중등의 SW교육 필수화, SW중심대학 사업 등 SW교육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함께 역량 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교육을 통해 창의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주 분량의 창의역량 초점을 둔 SW교육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설계된 수업으로 15주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1주차에는 사전검사를, 15주차에는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의역량 평균값이 사후 검사 때 0.31점 높게 나타났으며 p값도 0.002점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창의역량의 4가지 세부 요인(융통성, 독창성, 개방성, 창의적 실행능력)의 p값도 0.05보다 낮게 나타나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SW교육에서 단순 프로그래밍 교육뿐만 아니라 수업 방법 변화를 통해서도 창의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창의적 사고에 기반한 패션디자인 창의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Creative Thinking-Based Fashion Design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n Creativity Improvement)

  • 임소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3호
    • /
    • pp.150-165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fashion design creativity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creative thinking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to create a creative fashion design in the fashion education field, an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is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in improving creativity. To this end, a fashion design creative convergence program combining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ce thinking was designed, and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fashion design department. Creativit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evaluating students' creative ability and creativity of fashion design results. In addition, an open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learners' opinions on the suitability of the program and the convergence process of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k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ashion design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creative thinking improves the creative competency of major learners of fashion design and is the learning performance competenc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reative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is a basic study that proposes a fashion design education program to foster the creative competency of fashion design majors, and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e educational field.

초등학생을 위한 기후변화대응 환경디자인 STEAM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Design STEAM Program in Coping with Climate Chang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윤희;이명아;한혜련;반자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5-22
    • /
    • 2016
  • Recent changes in the Korean education policies are promoting th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cultivating people of convergence talent.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 educational program is Korean styled convergence program for creative competent human resources. Therefor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developing convergence hand-on educational program coping with climate chang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development of the program, we investigated the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about the climate change, and allocated in the creative learning standard frame. Also, we selected themes related the climate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learning activity. For more effective program to build the convergence competency, we analyzed the program based on creative problem based learning process and 4 core competency(creativity, communication, convergence, caring) elements. In conclusion, the STEAM program needs to develop by school curriculum and leaner's abi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EAM program consists with creative problem based learning process. And the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 would analyze by the creative PBL process and convergence competency elements. So, this developing program has brought the promotion of the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t talented person for the future global environment.

Relationship among necessity, importance of creative teaching methods, and strengthening core competencies

  • Choi, Hye-Jung;Park, Jung-Hyun;Kim, Min-Je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169-176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창의적 교수법의 필요도와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핵심역량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네이버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142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창의적 교수법의 중요도, 핵심역량의 하위요인인 현장실무역량, 문제해결역량, 융복합역량, 의사소통역량, 직업윤리, 공동체의식과 창의적 교수법 필요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육은 현장에서 실제 할 수 있는 능력인 핵심역량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액션러닝, PBL 등과 같은 창의적 교수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지역대학 간 특화영역을 연계한 대학연합-융합전공 모형개발 (Model Development of Convergence Curriculum by Specialization Area Linkage between Local Universities)

  • 경종수;김종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51-258
    • /
    • 2018
  • 최근 들어 대학들은 학사구조의 다변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다전공 과정(연계전공, 융합전공, 자율전공, 자기설계전공 등) 도입으로 전공 및 학과 간 상호연계를 기반으로 융합인재양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권 4개 대학이 연합으로 추진한 '글로벌 창의융합전공'의 설계 운영과정의 단계별 주요요소를 도출하고, 주요특징을 바탕으로 운영모델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융합전공 운영모델은 대학 간 특화영역 연계를 통한 교육체계(인재상, 교육목표, 역량요소, 교육과정)의 구성하고, 역량요소(창의역량, 융합역량, 문제해결역량, 글로벌역량)를 기반으로 교과 및 비교과프로그램의 연계를 설계하였다. 융합전공 운영모델은 과정 및 단계에 따라 주요활동을 체계화함으로써 운영되고 있으며, 프로젝트 기반의 성과중심 지원프로세스를 구축함으로써 국내외 대회 참가, 국제발명대회 참가, 글로벌 역량강화를 지원하여 창의융합 인재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존중감, 창의융합역량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esteem,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on Professional Self-concept in Nursing Students)

  • 양혜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61-17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존중감, 창의융합역량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학과 3, 4학년 재학생 32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2020년 7월1일부터 7월 3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SPSS19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ANOVA, Cronbach's-α 계수,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5점 만점에 3.39±0.02, 자아존중감은 5점 만점에 3.46±0.03, 창의융합역량은 5점 만점에 3.33±0.02, 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3.07±0.02이었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비판적 사고성향(r=.748, p<.001), 자아존중감(r=.642, p<.001), 창의융합역량(r=.707,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전문적 자아개념에 대한 주요영향 변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존중감, 창의융합역량으로 67.8%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비판적 사고성향, 자아존중감 및 창의융합역량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창조경제 IT인재 선발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 연구 (Study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Selection of Creative Economy IT Talented Person)

  • 조준범;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0-252
    • /
    • 2015
  • 창조경제를 내세운 박근혜 정부는 인력채용에 있어서도 학벌, 스펙 위주의 인재선발을 지양한다. 따라서 공공기관이나 기업이 창조경제를 뒷받침할 만한 인재선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입한 방식이 국가직무능력표준 이다. 특히 IT분야는 전 공공기관에서 인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가직무능력표준의 IT인재 부문을 연구하고,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한 IT인재 선발에 대해 분석한다. 본 논문은 국가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창조 경제를 발휘하는 기업에서 필요한 IT인재상에 대한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