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reating Social Value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2초

ICT 기반 지역 공유경제형 사회적 기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ICT and the Region-based Sharing Economy of a Start-up Social Enterprise)

  • 노태협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57-175
    • /
    • 2016
  • 시장 경제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부의 불평등, 재분배 기능의 한계, 자본의 흐름에 따른 비효율적 과대생산과 과대소비, 인간 존엄성과 자유의 제한 등의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조정하기 위하여 새로운 공생의 가치 마련이 요구되고 있으며, 개별 기업 단위에서도 사회적 책임과 공유가치에 대한 요구가 강조되고 있다. 기업의 사적 영리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고자 하는 사회적 경제 또는 사회적 기업의 형태가 사회공유 가치창출의 대안으로 제시되어, 그 가능성과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기술적인 면에서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은 대중 참여의 공유경제 확산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정보통신 플랫폼과 빅테이터 분석과 같은 초고속 네트워크 통신 및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달은 개인 대 개인, 기업 대 개인 간의 소통이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광범위한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해 주어 공유 시장을 확대함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지역 협력적 소비를 바탕으로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을 활용하여 자전거 관련 공유경제 시스템을 구축, 사회적 기업으로 창업한 (주)푸른바이크쉐어링의 사례를 살펴본다. 푸른바이크쉐어링은 공유, 공생, 공헌의 사회적 책임을 사업 모형 속에 접목하여, 지역 내의 다양한 협력 주체들과의 협업을 통한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사례 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핵심적 요인으로 지역 사회 네트워크 활용이 가능하며, 사회적 기업과 공유경제의 융합 사업 모형을 통해 사회적 기업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검토하였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른 기술적 환경 변화가 어떻게 공유경제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이고자 하였다. 선행적 이론 정리를 위하여,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현황,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선행 연구의 내용을 살피고, 공유경제의 개념과 특징, 기업의 공유가치 확대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였다.

수산부산물의 발생·처리 실태 및 산업화 방향 (Directions for Eco-friendly Uti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Fishery By-products)

  • 김대영;이정삼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2호
    • /
    • pp.566-575
    • /
    • 2015
  •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generation and treatment of fishery by-products in Korea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their eco-friendly uti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First, the study focuses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generation and their treatment in Korea since merely few study were conducted and they did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regarding the overall generation and treatment at the national level. According to the estimation, Korea generates 800 thousand to 1,200 thousand tones of fishery by-product every year. The fishery by-products generated at large seafood markets and processing facilities are used or processed as fish meal and feed, but those generated from households and small seafood restaurants are currently treated as food waste. In addition, inadequately treated fishery by-products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spoiling urban landscape, creating odor and incubating pest. After identifying the generation and treatment of fishery by-products, the study suggests directions for the formulation of infrastructure for transition into resource circulation society, minimization of dumped waste and their eco-friendly recycling as resources, diversification of recycled goods and development into a high-value added industry. Finally, the study suggests detailed strategies for the directions such as establish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separation of fishery by-products from wastes, development of technology tailored for commercialization, introduction of pilot projects for industrialization and cultivation of social enterprises.

Visualizations of Relational Capital for Shared Vision

  • Russell, Martha G.;Still, Kaisa;Huhtamaki, Jukka;Rubens, Neil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5권1호
    • /
    • pp.47-60
    • /
    • 2016
  • In today's digital non-linear global business environment, innovation initiatives are influenced by inter-organizational, political, economic, environmental, technological systems, as well as by decisions made individually by key actors in these systems. Network-based structures emerge from social linkages and collaborations among various actors, creating innovation ecosystems, complex adaptive systems in which entities co-create value. A shared vision of value co-creation allows people operating individually to arrive together at the same future. Yet, relationships are difficult to see, continually changing and challenging to manage. The Innovation Ecosystem Transformation Framework construct includes three core components to make innovation relationships visible and articulate networks of relational capital for the wellbeing, sustainability and business success of innovation ecosystems: data-driven visualizations, storytelling and shared vision. Access to data facilitates building evidence-based visualizations using relational data. This has dramatically altered the way leaders can use data-driven analysis to develop insights and provide ongoing feedback needed to orchestrate relational capital and build shared vision for high quality decisions about innovation. Enabled by a shared vision, relational capital can guide decisions that catalyze, support and sustain an ecosystemic milieu conducive to innovation for business growth.

공간디자인의 협업적 매니지먼트 활용에 관한 연구 - 기업과 디자이너의 협업(collaboration) 현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of Space Design - Focus on current extant of collaboration of Corporations with Designers -)

  • 이병욱;허범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200-207
    • /
    • 2012
  • This paper is analyzed the successful fundamentals of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strategy from case of corporates such as, Louis Vuitton, H&M, MINI, Black Berry, Chanel, and Prada.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contributes creating cultural life and concurrently achieving corporate purpose through new vision and value creations which is a combination of rationality and originality as interacting design area and management area.In addition,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has been emerged in order to create new business model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It should be horizontal intercourse in order to increase social value and positive effects of each others to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new partner to build an effective business model. These case studies established the successful design strategy which is well structuring the systematic design network and efficiently managing the brand image from analyzing the user's needs and their life styles as an element of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This research is presented the mean of collaborative design management as a managing element to build a successful business model and proposed an appropriate application plan through the case studies.

  • PDF

중국 동북 지역의 당대 회화 중의 유머 감각의 표현 분석 (Analysis of the Expression of Humor in Contemporary Painting in Northeast China)

  • 장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431-435
    • /
    • 2024
  • 유머 감각은 중국 동북 지역의 현대 회화 작품 중 하나의 뚜렷한 특징이며, 중국 동북 지역의 현대 예술가는 심각하고 심각한 문제를 유머의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예술가는 삶에 대한 깨달음과 사회문제에 대한 비판을 통해 회화를 통해 관객이 감동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내며 유머를 느끼면서도 작품의 이면에 담긴 의미를 되새기기도 한다. 이 글은 동북의 대표적인 예술가인 궁리룽, 왕싱웨이, 친치의 작품을 분석하여 세 예술가가 각자의 작품에서 유머 감각에 대해 서로 다른 이해와 표현을 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이들 세 예술가의 작품에서 유머감각이 생기는 이유와 작품이 전달하는 사상적 함의를 정리함으로써 회화 작품에서 유머감각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논의하고, 회화 창작에 대한 연구자의 사고를 유발한다.

선진통합형 디지털 엔지니어링 및 경영 도구의 필요성 연구 (Study of Necessity of Advanced Integrated Digit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Tools)

  • 김양욱;이경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27-3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최근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최신 ICT 기술을 접목하여 대한민국의 항만, 해운, 조선 및 기자재 산업이 물샐틈없는 완벽 공조를 통한 가치 사슬, Seamless Value Chain이 Smart Seamless Value Chain 성공적인 구축을 위한 산업 간의 협력관계를 정의하고, 이들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요소가 무엇인지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오늘날 디지털화를 통한 탈탄소화를 실현하여 ESG 경영 달성을 위한 방향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특히 중소기업의 관점에서 미래시장을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디지털화의 중요성과, 특히 중소 기자재 업체가 실현하는 디지털 화가 산업계 전반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산업 간의 연계 상태와 가치 사슬이 원활한 관계를 반드시 유지해야할 필요 사유를 동시에 보여준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산업에서 얻은 실패 사례를 통한 교훈으로 발판 삼아 향후 지능형 연결의 전략적 통로를 만드는 초석을 구축하는 방향성도 제시하였다.

BSC 도입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 지표와 기업가치의 관련성 (A Study on the Relevance of the BSC Adoption Firm's CSV index to the Firm Value)

  • 배병한;김현아;이채리;왕 옌;김민정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4호
    • /
    • pp.491-516
    • /
    • 2012
  • 최근의 급격한 환경변화는 BSC 도입기업에서 사용하는 핵심성과지표(KPI)의 수정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BSC의 네 가지 관점 중 기업의 성과를 나타내는 재무적 관점의 KPI는 기업의 단기적 성과를 대표하는 재무적 지표로만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표로는 현재의 기업환경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은 사회적 책임(CSR)과 지속가능경영을 대변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무적 관점의 KPI로 사용하고 있는 이익 기반의 성과지표를 보완할 수 있는 공유가치창출(CSV)지표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CSV의 타당성은 지속가능경영 및 CSR과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통해 검증하였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를 연구 기간으로 KEJI를 공시하고 있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BSC 도입기업이든, 미도입기업이든 CSV가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서 기업가치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SC 도입기업의 기업가치는 BSC 미도입기업의 기업가치보다 낮았으나 두 비교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CSV지수 측정치의 구성 요소 간에 단위가 다르다는 본질적인 문제로 인해 비율척도로 나타낼 수 없어 좀 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경영환경에 맞추어 BSC 관점의 새로운 성과측정지표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공헌점이라 할 수 있다.

  • PDF

질적-양적 연구방법론의 혼합에 의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탄력성 및 소진위험성 척도개발 연구 (Creating and Validating Scale of Resilience to Burnout and Scale of Burnout Risk with Mixed Methods)

  • 최명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245-272
    • /
    • 2007
  • 본 연구는 혼합방법론의 탐색설계 중 척도개발모델에 의거하여 소진탄력성척도와 소진위험성척도를 개발하고 그 과정에서 산출된 자료들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척도개발모델 1단계에서는 선행 질적연구를 통해 도출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 보호 및 위험요인에 기반을 두고 각 척도의 내용을 구성하였고, 2단계 양적 연구 단계에서는 의료사회복지사 185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척도들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요인 31문항의 소진탄력성척도와 6요인 27문항의 소진위험성척도의 구성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두 척도의 신뢰도는 소진탄력성 0.92, 소진위험성 0.90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각 척도 및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소진탄력성과 소진위험성의 속성 및 관계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에 의한 조사 결과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혼합방법론에 의한 척도개발과정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하면서 수량적으로도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척도를 개발할 수 있었다.

  • PDF

노인의 SNS 활동을 통한 소통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연구 (An Evaluative Study on Communication Enhancement Program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of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 신지원;권지성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8호
    • /
    • pp.151-17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SNS 활동을 통한 소통증진 프로그램을 평가하려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소통교육, SNS 활동가 만남, SNS 교육과 실습, SNS 활동과 홍보, 시연회, SNS 활동가 발대식, 오프라인 모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 참여자들로부터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과정과 성과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활용을 통한 사회참여의 기회 확대, SNS 활성화를 통한 소통증진, 노인복지의 새로운 대안문화 창출, 세대 간의 긍정적인 인식변화 등 본 프로그램이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SNS 활동을통한 소통증진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다.

인공지능: 그 문화적 상상력과 사회적 시스템 (Artificial Intelligence: Cultural Imagination and Social System)

  • 송영현;이혜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95-203
    • /
    • 2019
  • 이 글은 인공지능과 인간이 함께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가는 작업이 중요하게 대두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생활과 연관된 문화와 제도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I와 관련된 현상들이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주목하는 접근 방법은 이 연구의 기초를 이룬다. 이에 "AI 현상"을 사회 문화의 일부로 수렴하면서 그 의미를 밝히기 위해 다양한 문헌 자료를 활용, 윤리나 기술평등 같은 가치를 연계시켜 AI의 사회 제도적 면을 짚어 보고자 하였다. 사회의 구성원들이 함께 할 수 있는 AI와 접목된 기술 문화를 추론하는 일도 기능적인 면에서의 기술적 이해 못지않게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이 연구가 문화적 상상력과 사회적 시스템이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새로운 문화, 즉 "인공지능 문화"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렇기에 이 글은 하나의 시론적인 성격도 더불어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