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industry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27초

경옥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화장품 제형 응용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adeite Powder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 Formulations)

  • 김경미;김용우;홍인기;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9권1호
    • /
    • pp.81-9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소재인 경옥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함유한 워시오프 팩과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또한 이들 제형을 대상으로 각 제형이 주는 효과와 사용자 관능 평가,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워시오프 팩 중의 경옥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 값이 증가하였고, 경옥가루를 3% 함유한 제품에서는 피부 적용 시 피부 온도가 약 $0.5^{\circ}C$ 상승하였다. 경옥가루를 첨가한 리퀴드 파운데이션은 피부 본래의 색을 더욱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는 채도를 나타냈다. 경옥가루를 첨가한 워시오프 팩과 리퀴드 파운데이션은 각각의 수분 보유량이 최대 5.0% 및 63.0%로 나타났다. 사용자 관능 평가에서 경옥가루를 함유한 워시오프 팩 제형은 피부친화력, 밀착력, 가려움 및 촉촉함을 개선시켰다. 경옥가루를 함유한 리퀴드 파운데이션도 대조군 제형과 비교했을 때 커버력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 경옥가루 함유 제형에 대해 8주간 안정성 평가를 한 결과 육안상으로 변색이나 분리현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pH는 8주까지, 점도는 4주까지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 안전성 평가에서 경옥가루 함유 제형은 모두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경옥가루는 무기안료로써 안정성과 안전성이 확보된 새로운 다기능 소재로써 화장품에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하수오 추출물, 분획물 및 주성분의 항산화, 세포 보호 및 항균 활성에 관한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nt, Cytoprotective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Polygoni multiflori Radix Extract, Fractions and Its Major Constituent)

  • 신혁수;김민우;송제리;이준석;하윤정;전영희;김지웅;이윤주;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07-41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하수오를 이용하여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조하고,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세포 보호 및 항균 효능을 평가하여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수오에 주요하게 존재하는 성분의 활성도 검증하였다. HPLC-DAD, LC-EIS-MS를 통해 분석한 결과, 하수오의 주성분은 2, 3, 5, 4'-tetrahydroxystilbene 2-O-${\beta}$-D-glucoside (THSG)이었다. 페놀류 및 THSG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에탄올 추출물 보다 각각 11.1 및 3.0배 높게 나타났다. DPPH 자유 라디칼 및 $Fe^{3+}-EDTA/H_2O_2$ 시스템에서 생성된 ROS에 대한 소거 활성 평가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에탄올 추출물 보다 뛰어난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특히 ROS 소거 활성 평가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과 THSG은 L-ascorbic acid와 동등한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행된 광증감 반응으로 유도된 적혈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세포 보호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에탄올 추출물, THSG 순서로 나타났으며, 모든 실험군이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alpha}$-tocopherol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항균 활성 평가는 S. aureus, E. coli, P. aeruginosa, C. albicans 균주를 대상으로, disc diffusion assay와 broth microdilution assay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 분획물 및 THSG 모두 모든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그람 양성균인 S. aureus에 대해 methyl paraben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수오가 항산화, 세포 보호 및 항균력에 관한 천연 소재로의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쑥으로부터 유래된 나노입자의 화장품 제품 응용 (Application of Nanoparticles Derived from Artemisia princeps for Cosmetic Products)

  • 정소영;강해란;유한준;최형;허효진;차병선;;이소민;여혜림;강서정;이대엽;곽병문;이미기;빈범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65-271
    • /
    • 2021
  • 나노입자(nanoparticles)는 그 크기가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보다 작다. 따라서 세포막을 통과하고 약물 또는 유전자를 전달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에 매우 적합하며 특정 성분을 피부 속에 전달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쑥으로부터 나노입자를 추출하여 dynamic light scattering (DLS)를 통해 100 nm 전후 크기의 입자를 얻었음을 확인하였고, MTT assay를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cell viability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진시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quantitative real time PCR 분석법을 통해서 COL1A1 mRNA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IL-6 mRNA 발현량은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세포실험뿐 아니라 화장품 제형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최근 화장품 산업 동향에서 화학 성분을 배제하고 식물 유래 성분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반면, 식물에서 유래된 나노입자의 응용분야를 제시하는 연구 결과가 거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의 화장품 산업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견주어 쑥으로부터 유래된 나노입자를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클러스터 분석을 이용한 황련 추출물 항산화 활성 최적화 추출공정 (Optimization of the Extraction Proces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Coptis chinensis Franch Extract through Cluster Analysis)

  • 부민민;현송화;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9권5호
    • /
    • pp.604-612
    • /
    • 2018
  • 황련은 여러 가지 질병 치료에 사용되는 효과적인 전통약용식물이다. 하지만 황련 추출물의 생리활성성분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 및 생리활성성분과 항산화 효능의 상관관계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용매, 온도 및 추출 시간이 황련 추출물의 생리 활성성분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클라스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35^{\circ}C$에서 추출시간 30 min인 에탄올(50% 에탄올 : 50% 물) 조건으로 추출 시, 생리활성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제일 높으므로 공장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추출조건임을 확인하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DPPH소거 활성에 기여하였으며 총 알칼로이드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FRAP활성에 기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황련의 추출 조건이 생리 활성 화합물의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을 조절가능하며, 이는 공업적인 응용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Web-based Alternative Non-animal Method Database for Safety Cosmetic Evaluations

  • Kim, Seung Won;Kim, Bae-Hwa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59-267
    • /
    • 2016
  • Animal testing was used traditionally in the cosmetics industry to confirm product safety, but has begun to be banned; alternative methods to replace animal experiments are either in development, or are being validated, worldwide. Research data related to test substances are critical for developing novel alternative tests. Moreover, safety information on cosmetic materials has neither been collected in a database nor shared among researcher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build and share a database of safety information on toxicological mechanisms and pathways collected through in vivo, in vitro, and in silico methods. We developed the CAMSEC database (named after the research team; the Consortium of Alternative Methods for Safety Evaluation of Cosmetics) to fulfill this purpose. On the same website, our aim is to provide updates on current alternative research methods in Korea. The database will not be used directly to conduct safety evaluations, but researchers or regulatory individuals can use it to facilitate their work in formulating safety evaluations for cosmetic materials. We hope this database will help establish new alternative research methods to conduct efficient safety evaluations of cosmetic materials.

분리배출이 용이한 크림제형용 화장품 패키징 개발 (Development of Cosmetic Packaging for Cream Formulation with Easy Separation and Discharge)

  • 유상규;강호상;오재영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3-78
    • /
    • 2023
  • The cosmetics industry faces a significant challenge in addressing the decreased recycling rate of cosmetic containers due to the composite materials used to meet consumers' aesthetic satisfaction. To address thees issues, eco-friendly packaging solutions such as refill packaging and single-material use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 market for eco-friendly cosmetics packaging requires a product that meets consumers' demands for aesthetics, sensitivity, and eco-friendliness while also performing as well as existing products. This study presents a solution to the challenge of the decreased recycling rate of cosmetic containers by developing a new cosmetic packaging product for cream formulations. The product features an easily separable and dischargeable internal refill container, while maintaining the design aesthetics of the external container. Through various tests, the product was shown to be of equivalent quality and performance to existing cream cosmetic packaging, with no leakage or defects observed. Furthermore, the use of a single-material polypropylene refill contain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lastic recycling rate.

산업폐수처리장 방류수의 내분비계 장애작용 평가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of the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s Discharged from the Treatment Plant)

  • 오승민;김기서;유병택;장형석;이희성;정규혁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4호
    • /
    • pp.375-382
    • /
    • 200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otential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of several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s discharged from cosmetic, plaiting, paint, textile industry using EROD bioassay and E-Screen assay. The results of E-screen assay showed that textile industrial wastewater could act as a full agonist and cosmetics and plaiting industrial wastewater could act as a partial agonist. On the contrary,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paint industry did not show any estrogenic effect. Estrogenic activity in the effluents of cosmetic and paint industrial wastewater was lower than that in the influents indicating that th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minimized the effects of discharges on water quality. Despite of these results, it was recognized that wastewater treatment was not always minimize toxic impact. In this study, increased estrogenic effect was observed in the effluents of plating and textile wastewater, and EROD 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effluents of cosmetic and plating wastewater.

유채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apeseed Meal)

  • 김선미;나명순
    • KSBB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92-98
    • /
    • 2013
  •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apeseed meal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Seventeen kinds of amino acid at rapeseed meal were found and glutamic aci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28.4 mg/g), followed by glycine, proline, arginine, isoleucine, and aspartic acid. Among various vitamins, cloline content was the highest (459.1 mg/kg), followed by niacin, tocopherol, and pantothenic acid. Among various fatty acids of rapeseed meal, oleic acid was the highest (36.7%), followed by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ethanol and acetone extract of rapeseed meal at 2.0 mg/mL were 80.4 and 78.9%, respectively. The methanol and acetone extracts of rapeseed meal were a stable at the range of pH 3-9 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maximum reducing powers of methanol and acetone extract of rapeseed meal at 4.0 mg/mL were 0.7 and 0.68 OD 700 nm, respectively. The maximum superoxide inhibition activities of hot water, acetone, and methanol extract of rapeseed meal were 70.2, 75.2, and 81.4%,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ethanol and acetone extract of rapeseed meal can be used as a new source of functional cosmetic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