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emulsion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17초

오일-물-오일 에멜젼막의 Disjoining Pressure에 관한 연구 (Disjoining Process Isotherms for oil-water-oil Emulsion Films)

  • 조완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1-96
    • /
    • 1997
  • We have used a novel liquid surface forces apparatus to determine the variation of disjoining pressure with film thickness for dodecane-water-dodecane emulsion films. The LSFA allows measurement of film thicknesses in the range 5-100 nm and disjoining pressure from 0-1500 Pa. Disjoining pressure isotherms are given for films stabilised by the nonionic surfactnat n-dodecyl pentaoxyethylene glycol ether$(C_{12}E_5)$ and n-decyl-$\beta$-D-glucopyranoside($C_{10}- $\beta$-Glu)$ and the anionic surfactant sodium bis(2-ethylhexyl) sulphosuccinate(AOT) in the presense of added electrolyte. For $C_{12}E_5$ and AOT, the emulsion films are indefinitely stable even fo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aCl tested (136.7 Nm) whereas the $C_{10}-{eta}-Glu$ film shows coalescence at this salt concentration. For film thicknesses greater than approximately 20 nm with all three surfactants, the disjoining pressure isotherms are reasonably well described in terms of electrostatic and van der Waals, forces. For the nonionic surfactant emulsion films, the charge properties of the monolayers are qualitatively similar to those seen for foam films. For AOT emulsion films, the monolayer surface potentials estimated by fitting the isotherms are similar to the values of the zeta potential measured for AOT stabilised emulsion droplets. For thin emulsion films certain systems showed isotherms which suggested the presence of an additional repulsive force with a range of approximately 20 nm.

  • PDF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한 emulsion의 제조 (Preparation f emulsion by Microfluidizer)

  • 백승석;한창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7-138
    • /
    • 1993
  • 고압유화 장치인 Microflridizer를 이용하여 4성분계의 emulsion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조건을 알아보았다. Oil은 squalane, isopropyl myristate, PPG-15 stearyl benzoate ester를 사용하였으며, surfactant는 POE(20) sorbitan monolaurate, POE(20) sorbitan monopalmitate, POE(20) sorbitan monostearate를, cosuractant는 glycerine을 사용하여 Micro-fluidizer의 작업압력 및 순환횟수, oil의 종류 및 농도, cosurfactant의 농도에 따른 eumlsion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입자의 크기는 작업압력 및 순환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율이 점점 둔화되었으며 이 때의 적정압력은 1400bar 정도, 순환횟수는 4회 정도임을 알았다. 또한 cosurfactant인 glycerine의 농도가 30wt.%일 때 가장 작은 emulsion입자를 얻을 수 있었고, oi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는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 PDF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에서 보습효과 (Moisturizing Effect in Emulsion Body Cleansing System)

  • 신문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41-45
    • /
    • 2010
  • 최근 불용성의 결정성 수산화 왁스, 불용성의 결정성 계면활성제 구조, 캡슐 입자, 스멕타이트 점토를 이용하여 고함량의 친유성 보습제를 함유할 수 있는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유화제형 바디클렌징 시스템에서 바세린,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다양한 밀폐제의 보습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설험결과에 따르면, 유화제형 바디클렌저에서 바세린이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비하여 보습력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로션, 크림과 같은 "바르는" 제형에서는 바세린이 최고의 보습력을 가지지만 본 연구의 "씻어내는" 유화바디클렌정 제형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고함량의 음이온 양성이온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유화제형 바디클렌징시스템에서, 바세린은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비해 용해도가 커서, 헴굼과정에서 피부로의 부착량이 떨어짐으로 인해, 보습력이 부족함을 밝혀내었다.

피부장벽에 대한 Bio-Mimic Liquid Crystal Emulsion (BLCE)의 긍정적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eneficial effect of Bio-Mimic Liquid Crystal Emulsion (BLCE) on Skin Barrier Function)

  • 안영훈;배순민;정진교;황정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7-230
    • /
    • 2007
  • 최근 기능성화장품과 피부관련 의약품 분야에서 multi-lamellar와 liquid crystal의 구조가 커다란 관심을 끌고 있다. 결합수와 고정된 유상을 함유하는 multi-lamellar 구조는 피부의 세포간지질의 lamellar 구조의 재건과 보습을 유지하는 작용으로써 보습기능이나 장벽기능의 복구에 우수하며, 이 지질들은 각질층에 침투하여 유지된다. 본 연구에서 고급 지방 알코올, 레시틴, 콜레스테롤을 사용하여 제조한 bio-mimic liquid crystal emulsion (BLCE)의 피부장벽 기능을 측정하였고 일반적인 계면활성제와 세포독성을 비교하였다.

황금(黃芩)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용 한방화장품 제형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smetic Emulsion Cream for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using Scutellaria Baicalensis)

  • 박찬익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7-53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Scutellaria baicalensis can be used in cosmetic emulsion cream for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s :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was obtained with the use of butylene glycol through the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PSE). The antioxidative activity was assessed through SOD-like activity measurement and skin irritating potential was tested using human patch test. Antimicrobial activity was measured by the clear zone formed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and the rheological effects on the emulsion creams were examined using oscillation test. Results : The SOD-like activity increased dose-dependently and was about 90% at 1,000ppm of Scutellaria baicalesis extract. And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did not show any potential to be irritating to the human skin, but it could not be used as an antimicrobial agent for its po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The complex modulus decreased by 1,000 pascals and the loss angle also decreased by 20% with the addition of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into the cosmetic emulsion creams, that is, the extract can confer more elastic property on the vehicle. Conclusion : From those results,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ntioxidant and reinforces the elastic skincare film formed by the application of cream for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 PDF

화장품 에멀젼: 입자에 의한 안정화 (Cosmetic Emulsions: Stabilization by Particles)

  • 조완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6
    • /
    • 2010
  • 본 총설에서는 나노미터 크기의 고체 입자가 오일-물 계면에 흡착됨으로써 안정화된 에멀젼의 제조와 성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에멀젼을 Pickering 에멀젼이라 하며 이 에멀젼을 계면활성제로 안정화된 일반적인 에멀젼과 비교하였다. Pickering 에멀젼의 독특한 성질은 입자의 계면 흡착 에너지가 큰 점에 기인하며 일반 에멀젼과 주요한 차이점은 고체 입자가 비가역적으로 계면에 흡착한다는 사실이다. Pickering 에멀젼의 전상은 w/o (water-in-oil) 타입에서 o/w (oil-in-water)로 수상의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한다. 친수성의 입자는 o/w 에멀젼을 형성하는 경향을 보이고 친유성 입자는 w/o 에멀젼을 형성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고체 입자의 오일-물 계면에서의 접촉각에 따른다. Pickering 에멀젼의 안정성은 많은 부분에서 일반적인 에멀젼과는 다른 거동을 보였다. 저자는 또한 Pickering 에멀젼의 화장품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유화제로서 실리카를 이용한 유중수형 에멀젼의 안정성에 미치는 수상부 조성의 영향 (Effect of Aqueous Phase Composition on the Stability of a Silica-stabilized Water-in-oil Emulsion)

  • 김진황;김송이;경기열;이은주;윤명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53-359
    • /
    • 2004
  • 실리카 입자의 표면이 실란올(silanol, SiOH)그룹과 트리메틸실록실$(trimethylsiloxyl,{\;}-OSi(CH_3)_3)$그룹으로 이루어진 양친 매성 고체입자를 이용하여 유중수형(water-in-oil, W/O)의 에멀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안정한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서 수상에서의 pH, 전해질 화합물, 고분자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에멀젼의 안정성은 실리카의 응집(flocculation)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수상의 pH 조절 및 전해질 화합물 첨가를 통해 에멀젼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70\%$의 내상을 가지는 W/O 에멀젼을 제조하였을 때, 실리카 입자의 함량이 $1\%$까지 증가함에 따라 에멀젼 입자의 크기는 감소하였으나, 너무 높은 농도의 실리카는 오히려 유상의 점도를 상승시켜 작은 유화입자의 형성을 방해하였다. 제조된 에멀젼의 입자 크기를 이용하여 이론적으로 계산해 볼 때, 많은 양의 실리카 입자가 외상인 유상에 존재함을 알 수 있으며, 에멀젼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실리카 입자를 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내상인 수상부에 전해질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내상의 pH가 증가할수록 실리카 입자의 (-)전하가 증가하여 입자간 응집 촉진에 의해 에멀젼의 안정성이 증가하였다. 산성 및 중성 pH에서 전해질 $화합물(0.083\;mol\;dm^{-3}\;MgSO_4)$의 첨가는 에멀전의 안정성을 증가시킨 반면, 알칼리성 pH에서 전해질 화합물의 첨가는 에멀젼의 안정성을 저하시켰다.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에멀젼의 물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전해질 화합물 첨가시 내상인 수상의 pH에 관계없이 산성 및 알칼리성에서 모두 에멀젼의 탄성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는 수상의 pH가 알칼리성인 경우 더욱 현저하였음을 볼 때, 알칼리에 의해 더욱 음전하를 띄게 된 실리카 입자와 전해질 화합물의 양이온간의 전기적 결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수용성 고분자인 잔탄검의 첨가에 의해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약 2.8 um인 안정한 에멀전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고내상의 안정한 W/O 에멀젼을 제조하여 보다 피부에 안전한 유화물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Study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Amphiphilic Multi-Emulsion Sipstick

  • Kim, Tae-Weon;Lee, Ki-Yong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8-133
    • /
    • 1997
  • In manufacturing emulsion lipstick in the past, heat and emulsifyoil phase made with oil, wax and lipophilic emulsifier with water phase together; and then mold above-mentioned materials, so-called lipophilic emulsified lipstick production method has been used. However it is hard to manufacture products using the above said method and furthermore, weak in moisturizing effect, lip care and stability.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about multi-emulsion lipstick complementing already existing emulsion lipstick in terms of stability, giving moisturing effect of lip, and outstanding protection effectiveness of skin by safely gelatinating the state between amphiphilic lipid and water in sta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