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tic Oil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5초

겔 작용에 의한 쿼터늄-18 헥토라이트를 사용한 Water-in-Oil 에멀젼의 안정화 기술 (Stabilizing Technology of water-in-Oil Emulsification with Quaternium-18 Hectorite by Gelling Action)

  • 김인영;조춘구;이주동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5-150
    • /
    • 2003
  • This study is described the stabilizing technology of water-in-oil (w/o) emulsion and the mechanism of emulsification with quaternium-18 hectorite (Q-18 HTRT) by swelling action. When Q-18 HTRT is dispersed in oil, it swells and constructs card-house structure adding ethanol, and formation of water phase is caused by hydrogen bonding. The gelling activities of Q-18 HTRT were excellent such as mineral oil, squalane, cetostearyl isononanoate, isostearic acid, cetyl octanoate, octyl dodecanol and so on. Especially, when oil gel containing Q-18 HTRT passed one to three times by Roll mill. It made the W/O emulsion cream (W/O-ECRM) having 2.0 w/w% of Q-18 HTRT and also produced the control sample (control) including 3.0 w/w% of cetyl PEG/PPG- l0/l dimethicone. The stability of after 24 weeks, Hardness of W/O-ECRM dropped 7.48%, whereas hardness of control went down 57 71%. As a result of these test emulsification of W/O-ECRM is superior compared with control. In cosmetic, 0-18 HTRT can use as suspending agent, oil adsorbent, emulsifying agent, dispersing agent, viscosifier and pigment.

Enhancing the Moisturizing Ability of the Skin Softener using Nanoemulsion Based on Phospholipid Liposome

  • Lee, Jinseo;Park, Su In;Heo, Soo Hyeon;Kim, Miok;Shin, Moon Sa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236-242
    • /
    • 2020
  •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improvement in low moisturizing ability and stability that existing skin softeners have due to the low oil content, by developing skin softener using nanoemulsion of phospholipid liposome, based on the properties of nanoemulsion in cosmetic formulation. In this study, two types of oil; dimethicone (DC 200/6cs) or medium chain triglyceride (MCT), and two kinds of lecithin; unsaturated or saturated were respectively applied to produce nanoemulsion. In the particle size analysis of nanoemulsion, the droplet size of nanoemulsion containing DC200/6cs and unsaturated lecithin was the smallest, and all nanoemulsion showed high stability in the measurement of zeta potential. Therefore, with the smallest particle size and high stability, moisture contents and trans epidermal water loss(TEWL) were measured using the skin softener of DC200/6cs and unsaturated lecithin contained nanoemulsion, and the measurement was compared with the non-oil skin softener and the skin softener with only small amount of oi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softener using nanoemulsion increased greatly than other two skin softeners, showing high hydration ability and water retention capacity, and TEWL decreased greatly, therefore preventing the evaporation of moisture from the skin. As a result, the oil content and stability of the skin softener was improved by utilizing nanoemulson based of phospholipid liposome,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in cosmetic industry.

Emulsion stability of cosmetic creams based on water-in-oil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 Park, Chan-Ik;Cho, Wan-Gu;Lee, Seong-Jae
    •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125-130
    • /
    • 2003
  • The emulsion stability of cosmetic creams based on the water-in-oil (W/O) high internal phase emulsions (HIPEs) containing water, squalane oil and cetyl dimethicone copolyol was investigated with various compositional changes, such as electrolyte concentration, oil polarity and water phase volume fraction. The rheological consistency was mainly destroyed by the coalescence of the deformed water droplets. The slope change of complex modulus versus water phase volume fraction monitored in the linear viscoelastic region could be explained with the resistance to coalescence of the deformed interfacial film of water droplets in concentrated W/O emulsions: the greater the increase of complex modulus was, the more the coalescence occurred and the less consistent the emulsions were. Emulsion stability was dependent on the addition of electrolyte to the water phase. Increasing the electrolyte concentration increase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water phase, and thus decreased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oil and water phases. This decreased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water droplets, which resulted in reducing the coalescence of droplets and increasing the stability of emulsions. Increasing the oil polarity tended to increase emulsion consistency, but did not show clear difference in cream hardness among the emulsions.

도라지 추출물로부터 천연계면활성제의 개발 (Development of a Natural Surfactant from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 김희진;박숙경;김보영;홍슬기;조성기;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227-232
    • /
    • 2008
  • 화장품용 천연계면활성제를 개발하기 위해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껍질에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도라지 추출물의 화장품용 계면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계면장력, 용해도, 기포력, 분산력, 유화력, 유화활성, 유화안정성을 측정하였고 피부자극을 평가하기위해 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도라지 사포닌 함량이 0.005 wt%일 때 castor oil에 대한 계면장력은 11.5 dyn/cm로 비교대상인 Tween 40이나 quillaja bark보다 낮은 계면활성을 보여주었다. 도라지 추출물은 화장품에 유상으로 사용되는 olive oil, soybean oil, canola oil에 대해서도 우수한 유화활성과 유화안정성을 나타내었다. 2~5%의 도라지 추출물과 글리세린을 사용한 피부자극 시험에서는 도라지 추출물은 약간의 피부자극을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도라지 추출물은 화장품용 계면활성력은 양호하나 다소의 피부자극을 보여주었다.

올리브 오일의 에스터 교환반응 생성물의 TLC를 이용한 조성비 분석 및 화장품에의 응용가능성 평가 (Composition Ratio Analysis of Transesterification Products of Olive Oil by Using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Their Applicability to Cosmetics)

  • 박소현;신혁수;김아랑;정효진;현송화;홍인기;이대봉;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9권3호
    • /
    • pp.342-34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올리브 오일의 에스터 교환반응으로 생성된 복합소재(olive oil esters)의 화장품 응용을 위해 물리화학적 성질, 유화력, 보습력 및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는 반응시간이 짧은 olive oil esters S와 반응시간이 긴 olive oil esters L을 사용하였다. 먼저 TLC 이미지 분석으로 조성비를 확인한 결과, olive oil esters S의 조성은 mono-, di-, tri-glyceride가 5.2, 24.1, 46.4%이었고, fatty acid ethyl ester는 21.9%이었다. Olive oil esters L은 mono-, di-, tri-glyceride가 4.1, 24.7, 40.6%이었고, fatty acid ethyl ester는 28.8%이었다. 올리브 오일 에스터를 화장품에 사용하기 위한 기준 및 시험방법 설정을 위해 요오드가, 산가, 검화가, 불검화물, 굴절률, 비중 및 순도시험을 수행하였고 표준화시켰다. 또한 올리브 오일 에스터의 유화력 평가로서, 계면활성제 없이 O/W 에멀전을 제조하여 유화 입자를 확인하였다. 올리브 오일 에스터를 사람 피부에 도포 5일 후, 피부 수분 보유량은 초기보다 13.1% 개선되었다.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을 평가한 결과, 올리브 오일 에스터는 $0.2-200{\mu}g/mL$에서 세포 생존율 90% 이상을 나타내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올리브 오일 에스터는 화장품 산업에서 천연/무독성 원료로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화장품 에멀젼: 입자에 의한 안정화 (Cosmetic Emulsions: Stabilization by Particles)

  • 조완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6
    • /
    • 2010
  • 본 총설에서는 나노미터 크기의 고체 입자가 오일-물 계면에 흡착됨으로써 안정화된 에멀젼의 제조와 성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에멀젼을 Pickering 에멀젼이라 하며 이 에멀젼을 계면활성제로 안정화된 일반적인 에멀젼과 비교하였다. Pickering 에멀젼의 독특한 성질은 입자의 계면 흡착 에너지가 큰 점에 기인하며 일반 에멀젼과 주요한 차이점은 고체 입자가 비가역적으로 계면에 흡착한다는 사실이다. Pickering 에멀젼의 전상은 w/o (water-in-oil) 타입에서 o/w (oil-in-water)로 수상의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한다. 친수성의 입자는 o/w 에멀젼을 형성하는 경향을 보이고 친유성 입자는 w/o 에멀젼을 형성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고체 입자의 오일-물 계면에서의 접촉각에 따른다. Pickering 에멀젼의 안정성은 많은 부분에서 일반적인 에멀젼과는 다른 거동을 보였다. 저자는 또한 Pickering 에멀젼의 화장품 응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물티슈용 소나무 오일 솔루션 제조 및 응용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ine oil solution for wet tissues)

  • 김령;이기순;목지수;김인경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39-44
    • /
    • 2024
  • 본 연구는 현대인의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불안, 불면증을 개선할 목적으로 천연 아로마 솔루션을 개발하고, 그 솔루션을 이용하여 물티슈에 응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소나무오일 솔루션는 한국산 소나무 오일과 블랙체리 오일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한 소나무 오일 솔루션에 대하여, 중금속 분석, 항균 분석, 심리 평가 및 피부 평가를 수행하고 스트레스 개선용 기능성 아로마 물티슈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더나아가, 소나무오일 솔루션 물티슈의 피부 개선 여부를 조사한 결과, 보습 및 탄력 측면에서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일의 종류 및 required HLB가 나노에멀젼 형성에 미치는 영향 (Type of Oil and Effect of Required HLB on Nanoemulsion Formation)

  • 이다연;황혜윤;임수민;장혜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533-1546
    • /
    • 2023
  • 나노에멀젼이란 20 ~ 200nm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에멀젼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작은 입자 사이즈로 유효물질의 피부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일의 required HLB와 종류가 나노에멀젼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required HLB가 다른 오일 8가지, 종류가 다른 16가지의 오일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때 사용한 계면활성제로는 Polysorbate 60 (HLB 14.9), Sorbitan stearate (HLB 4.7),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HLB 14.0)이며 Polysorbate 60과 Sorbitan stearate를 혼합하여 HLB 14.0으로 고정한 것과 Polysorbate 60,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을 각각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오일의 종류에 따라 나노에멀젼 형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에스터계 구조를 가지는 오일이 비교적 우수한 나노에멀젼 형성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특히 Cetyl ethylhexanoin이 평균 40nm 이하의 작은 사이즈로 생성된 후 큰 변화없이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olysorbate 60과 Sorbitan stearate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혹은 Polysorbate 60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우수한 나노에멀젼 형성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