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n Processing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2초

자색옥수수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리파아제 저해활성 및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지방분화 억제효과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Activity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Treated with Purple Corn Husk and Cob Extracts)

  • 이기연;홍수영;김태희;김재은;박아름;노희선;김시창;박종열;안문섭;정원진;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1-139
    • /
    • 2018
  • 본 연구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을 검정하고자 지방분해효소 저해활성을 평가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분화억제 효과를 검정하고자 수행되었다.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 결과,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100, 500, $1,000{\mu}g/mL$ 농도처리구에서 양성대조군인 orlistat 보다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배양하여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세포독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추출물은 모든 처리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화된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시킨 대조군은 lipid droplet의 형성이 활발하게 유발되었으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lipid droplet의 형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l-time PCR과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PPAR{\gamma}$$C/EBP{\alpha}$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고 분화시킨 대조군에서는 $PPAR{\gamma}$$C/EBP{\alph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추출물 처리에 의해 $PPAR{\gamma}$$C/EBP{\alph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pancreatic lipase 활성 및 지방전구 세포의 분화를 억제시킴으로써 항비만 활성 기능성 물질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Techniques for Yield Prediction from Corn Aerial Images - A Neural Network Approach -

  • Zhang, Q.;Panigrahi, S.;Panda, S.S.;Borhan, Md.S.
    • Agricult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권1호
    • /
    • pp.18-28
    • /
    • 2002
  • Neural network based models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for predicting corn yield from aerial images based on 1998 and 1994 image data. The model used images in multi-spectral bands such as R, G, B, and IR (Red, Green, Blue and Infrared). The inputs to the neural network consisted of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multispectral bands of the aerial images. Performances of several neural network architectures using back-propagation with momentum were compared. The maximum yield prediction accuracy obtained was 97.81%. The BPNN model prediction accuracy could be enhanced by using more number of observations to the model, other data transformation techniques, or by performing optical calibration of the aerial image.

  • PDF

Influence of Xanthan, Emulsification Temperature, and Environmental Stresses on the Preparation of Water-in-Corn Oil Emulsions Droplets Coated by Polyglycerol Polyricinoleate

  • Surh, Jeong-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299-30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stable water-in-corn oil (W/O) emulsion droplets coated by polyglycerol polyricinoleate (PGPR). W/O emulsions (20 wt% aqueous phase, 80 wt% oil phase containing 8 wt% PGPR) were produced by high pressure homogenization (Emulsions 1), however, appreciable amount of relatively large water droplets (d>$10{\mu}m$) were found. To facilitate droplet disruption, viscosity of each phase was adjusted: (i) increased the viscosity of aqueous phase by adding 0.1 wt% xanthan (Emulsions 2); (ii) decreased the viscosity of oil phase and aqueous phase by heating them separately at $50^{\circ}C$ for 1 hr immediately before emulsification (Emulsions 3). Homogenizing at the elevated temperature clearly led to a smaller water droplet size, whereas xanthan neither improved nor adversely affected on the microstructures of the emulsions. In addition, the Emulsions 3 had good stability to droplet aggregation under shearing stress, thermal processing, and long term storage.

축산폐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제1보) 돈분과 옥분 혼합물의 발효중 일어나는 미생물학적 및 화학적 변화 (Studies on Recycling of Feedlot Waste (Part 1) Microbial and Chemical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Swine Feces-Corn Meal Mixture)

  • 이성태;민태익;김현욱;한문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2
    • /
    • 1978
  • 돈분과 옥분을 50:50으로 혼합하여 3$0^{\circ}C$에서 발효시킬때 초기에는 fecal streptococci가 많이 출현하나 이후 lactobacilli가 발효의 주역을 담당하고 7일 후에는 L. acidophilus, L. fermenti와 L. delbrueckii가 함께 성장하였다. 탈효과정중 젖산균에 의한 산생성으로 인하여 pH가 4.2까지 감소하였으며, E. coli와 효모가 1~2일만에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다른 유해 미생물의 생육 억제도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옥분내의 풍부한 영양 성분과 발향물의 분취가 산취로 대체됨으로써 풍미가 가축기호에 적당하게 되고 가축분의 이용시 본 시험에서 사용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생돈분의 가열멸균이 아닌 유산균의 자연발효를 통하여 돈분을 사료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Effect of Molasses Addition Level to the Mixture of Calf Starter and Corn Fodder on Pellet Quality, Rumen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Holstein-Friesian Calves in Indonesia

  • Mukodiningsih, Sri;Budhi, S.P.S.;Agus, A.;Haryadi, Haryadi;Ohh, Sang-Jip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3호
    • /
    • pp.229-236
    • /
    • 2010
  • Effect of molasses addition to complete calf starter (CCS) and the following pellet processing was evaluated with 12 Holstein-Friesian (HF) calves (7-14 d old with $42\;{\pm}\;5.5\;kg$ average BW), with 6 calves (replicate) per treatment. The CCS was formulated with 65% concentrate calf starter and 35% local corn fodder. On the CCS, molasses was added either 5% (M5) or 10% (M10), then the mixture was pelleted and fed to the calves for 7 weeks. Molasses addition, regardless of addition level, improved (p<0.05) both the durability and hardness of the pellet which contains 35% of high fibrous local corn fodder. Upon feeding to calves, the feed intake and daily gain were numerically higher with 5% molasses addition compared to 10% molasses addition. Blood VFA level was remarkably higher (p<0.01) in calves fed M10 than calves fed M5.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in blood glucose level between M5 and M10. Length and number of papillae were not different (p>0.05) by the addition levels of molasses. However, there was one exception in number of papillae at caudo-dorsal sac which were higher (p<0.05) number in M5 than M10 calves. Considering the quality of CCS pellet, calf performance and rumen development, there was no additional benefit of 10% molasses addition compared to 5%.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5% molasses addition could be recommended for local farmer when they utilize local corn fodder to make CCS for HF calves in Indonesia.

효소처리에 의한 초당옥수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및 항산화 특성의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y Enzyme-Treated Super Sweet Corn Extracts)

  • 인병호;장다빈;이재준;이원종;윤아름;김성규;이경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26-534
    • /
    • 2023
  • To improve usability of super sweet corn, extracts were prepared with hydrolytic enzyme and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were analyzed. Soluble solids and reducing sugars contents were higher in all enzyme treat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When enzyme treatment time increased, contents of soluble solids and reducing sugars were also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ghtness between treatment groups, with redness showing the highest value in the control and yellowness showing the highest value in the invertase treatment group. Free sugar content in the control was the lowest. However free sugar content in the enzym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was increased by more than four times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Contents of ascorbic acid, flavonoids and polyphenols were higher in the enzym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In particular, the enzym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showed the highest conten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l enzyme treat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of cellulase treatment group and enzym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showed high activity. The activity increased when enzyme treatment time increased. The combined enzyme treatment method for super sweet corn was suitable for food processing.

옥수수 색소 2호 품종의 알곡과 속대 추출물을 첨가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가 흰쥐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ekso 2 Corn Kernels and Cob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in Rats Fed High Fat-cholesterol Diet)

  • 이기연;김재은;홍수영;김태희;노희선;김시창;박종열;안문섭;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399-405
    • /
    • 2016
  •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색소 2호 알곡 및 속대 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한 식이를 2주간 급여한 결과, 색소 2호 알곡 및 속대 추출물 첨가로 인한 식이섭취량 감소효과는 없었으며 체중 증가율은 대조군(C)대비 모든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식이효율에서는 처리군(T3)을 제외하고 모든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장기중량은 실험군 간의 체중 당 신장 무게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체중 당 간 무게는 대조군(C)이 정상군(N)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처리군(T2)가 대조군(C)대비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전체 실험군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군(T2)이 대조군(C)대비 유의적으로 낮았고,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군(T2)이 대조군(C)대비 유의적으로 높았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대조군(C)의 간 조직 내 MDA 함량이 정상군(N)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처리군 T3와 T4가 대조군(C) 대비 간 조직 내 MDA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대조군(C)의 catalase 활성은 정상군(N)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모든 색소 2호 알곡 및 속대 추출물 처리군(T1~T4)의 catalase 활성은 정상군(N)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미국산과 인도산 옥수수의 steam flaking 처리가 공정라인별 mycotoxin 함량의 변화와 in vitro 발효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am Flaking of Corns imported from USA and India on the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 and the Mycotixin Contents of Logistic Processing Line)

  • 이신자;이지훈;신년학;한정훈;현종환;문여황;이성실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5-74
    • /
    • 2009
  • 본 연구는 미국산 옥수수와 인도산 옥수수의 steam flaking 처리가 in vtro 가스발생량과 미생물 성장량 그리고 곰팡이 독소 aflatoxin $B_1$과 ochratoxin A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설계는 4개의 처리구, (1) USCW (미국산 무처리 옥수수), (2) USCF (미국산 steam flaking 옥수수 ), (3) IDCW (인도산 무처리 옥수수) 그리고 (4) IDCF (인도산 steam flaking 옥수수), 처리구당 4반복으로 6개의 발효시간대(3, 6, 9, 12, 18 및 24)를 두고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시한 옥수수중 aflatoxin $B_1$이나 ochratoxin A와 같은 곰팡이 독소의 함량은 항구, hopper, 사일로 그리고 가공 전까지 보관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공정라인별로 곰팡이 독소를 측정한 결과 입고 시 인도산 옥수수(IDCW)와 미국산 옥수수 (USCW)의 aflatoxin $B_1$ 수치는 각각 11.71 ppb와 1.78 ppb으로 나타났지만 steam flaking 후의 aflatoxin $B_1$ 함량은 USCW 구와 IDCW구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아(0.00 ppb) steam flaking 처리가 곰팡이 Aspergillus flavus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ochratoxin A 함량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In vitro 실험에서 gas 발생량은 원산지별로는 미국산 옥수수 (USCW & USCF)가 인도산 옥수수 (IDCW & IDCF)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가공 처리별로는 steam flaking 처리한 옥수수가 알곡 옥수수보다 발효 3시간대를 기준으로 $1.5{\sim}2%$ 정도 높았다. 배양액 중의 pH 는 $6.05{\sim}6.54$의 범위로서 미생물이 성장하기에 적정한 pH를 유지하였으며 처리 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찾아 볼 수 없었으나 USCF구의 pH가 다른구에 비해 다소 낮았다. pH는 배양 12 시간까지 감소하였으며 이 시간 중에 가스 발생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In vitro 미생물 성장량도 발효 18시간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시간대에서는 성장량이 증체를 보이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결론적으로 원산지별로는 in vitro 실험결과와 곰팡이 독소 함량을 기준으로, 미국산 옥수수가 인도산 옥수수보다는 품질이 훨씬 높았으며, 수입산 옥수수의 steam flaking 처리는 invitro 가스발생량 및 미생물 성장량을 개선 시킬 뿐만 아니라, aflatoxin $B_1$이나 ochratoxin A와 같은 곰팡이 독소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Influence of substituting steam-flaked corn for dry rolled corn on feedlot cattle growth performance when cattle are allowed either ad libitum or restricted access to the finishing diet

  • Gonzalez-Vizcarra, Victor Manuel;Plascencia, Alejandro;Ramos-Avina, Daniel;Zinn, Richard Aver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1호
    • /
    • pp.1563-1567
    • /
    • 2017
  • Objective: The influence of substituting steam-flaked corn (SFC) for dry rolled corn (DRC) on feedlot cattle growth performance and dietary net energy when cattle are allowed either ad libitum or 2-h restricted access to the finishing diet was evaluated. Methods: Treatment effects were tested using 96 crossbred steers ($251{\pm}2kg$) during the initial 56 d of the finishing phase. Cattle were blocked by weight and randomly assigned within blocks to 16 pens (4 pens/treatment). Bunk space was sufficient (41 cm/head) to allow all steers access to the feed bunk at the same time. Treatments consisted of two finishing diets containing (dry matter basis) 77.1% corn grain processed by dry rolling (density = 0.50 kg/L) or steam flaking (density = 0.36 kg/L). Cattle were fed twice daily at 06:00 and 14:00 h, allowing for approximately 5% residual. In the case of restricted feeding, steers were allowed access to feeders for 1 h following each feeding, after which residual feed was withdrawn. Results: There were no treatment interactions on dry matter intake (DMI), average daily gain (ADG), gain efficiency (G:F), or dietary net energy (NE). Restricting feed access time reduced (p<0.01) feed intake, and hence, ADG. Substitution of SFC for DRC increased (p<0.01) ADG, feed efficiency (G:F), and estimated dietary NE, without affecting DMI. Based on tabular net energy of maintenance ($NE_m$) value (2.18 Mcal/kg) for DRC, the estimated $NE_m$ value for SFC using the replacement technique, averaged 2.44 Mcal/kg; an improvement of 10.7%. The ratio of observed-to-expected dietary NE was not affected by feed access time. Conclusion: Substitution of SFC for DRC in finishing diets for feedlot cattle enhanced ADG, gain efficiency, and the NE value of the diet. Although restriction of feed access time depressed DMI and ADG, it did not affect the comparative benefit of steam flaking toward enhancement of ADG, G:F, and dietary NE.

찰옥수수쌀의 품종별 이화학특성 및 취반특성 (Comparison on Physicochemical and Cooking Properties of Milled Kernel in Waxy Corn Hybrids)

  • 이유영;이춘기;이진석;김미정;김선림;김율호;박향미;김욱한;권영업;김성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424-43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밥밑용 잡곡으로 이용하기 위한 찰옥수수를 도정하여 이화학특성 및 취반특성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1. 도정수율은 유색 찰옥수수인 흑진주찰, 미흑찰, 얼룩찰이 다른 품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백색 찰옥수수 품종에서는 찰옥4호, 일미찰, 연농1호가 높았다. 2. 도정 전 후의 색차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도정 후 모든 품종의 L 값은 증가하고 a값은 백색 찰옥수수 품종에서는 감소하지만, 유색 찰옥수수 품종에서는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흑진주찰은 도정 후 L, a값이 가장 낮았다. 3. 옥수수쌀의 안토시아닌 색소함량을 측정하였을 때 흑진주찰은 $154.1{\mu}g/g$, 얼룩찰1호는 $42.5{\mu}g/g$ 함유되어 있었다. 4. 옥수수쌀 전분의 호화양상을 측정하였을 때 연농1호, 미흑찰은 호화개시온도가 가장 낮았으며, 연농1호, 흑진주찰, 미흑찰은 최종점도와 치반점도가 낮고, 상대적으로 강하점도가 높아 호화특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취반 후 연농2호, 미흑찰, 흑진주찰이 다른 품종에 비해 수분흡수율, 퍼짐성이 높고, 연농2호, 연농1호, 미백2호, 흑진주찰, 얼룩찰이 다른 품종에 비해 경도값이 낮았다. 6. 취반 후 식미평가에서 흑진주찰> 미흑찰> 흑점2호 순으로 높은 기호성을 보였다. 7. 종합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흑진주찰, 연농2호, 미흑찰 품종이 취반용 옥수수쌀로 알맞은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