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mination process

검색결과 745건 처리시간 0.034초

미생물에 의한 탈질 과정 동안의 비소 동시 산화 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Arsenic Oxidation under Denitrification Environment)

  • 오설란;김동훈;문희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4권4호
    • /
    • pp.1-10
    • /
    • 2019
  • Recently,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mixed occurrence of arsenic (As) and nitrate ($NO_3{^-}$) has been a serious environmental issue all around worl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icrobial As(III) oxidation characteristic under denitrification proces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microbial consortia in wetland sediment to simultaneously treat these two contaminants. The detail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_3{^-}$ on the oxidation of As(III) in anaerobic environments and observe the microbial community change during the As oxidation under denitrification process. Results showed that the As(III) was completely and simultaneously oxidized to As(V) under denitrification process, however, it occurred to a much less extent in the absence of sediment or $NO_3{^-}$. In addition, the significant increase of As(III) oxidation rate in the presence of $NO_3{^-}$ suggested the potential of As oxidation under denitrification by indigenous microorganisms in wetland sediment. Genera Pseudogulbenkiania, and Flavisolibacter were identified as predominant microbial species driving the redox process. Conclusively,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As(III) oxidation under denitrifying environment and contribute to develop an effective technology for simultaneous removal of As(III) and $NO_3{^-}$ in groundwater.

Evaluation of the $HApS^{TM}$ Method for the Enumeration of Aerobic Microorganisms and Coliforms in Retailed Meat Samples in Korea

  • Keun-Seok Seo;Wonki Bae;So-Hyun Kim;Nam-Hoon Kwon;Ji-Yeun Kim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4-199
    • /
    • 2001
  • 국내에서 시판중인 230점(돈육샘플80점, 계육샘플 80점, 우육샘플 70점)의 식육 샘플에 대하여 미생물 오염수준 측정시 표준방법으로 통용되는 AOAC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의 standard total aerobic count method 및 coliform count method와 국내에서 개발된 HApS$^{TM}$ (Hazard Analysis process System) method를 비교하였다. 돈육, 계육, 우육을 샘플군으로 하여 총세균수 및 대장균수를 표준방법과 HApS$^{TM}$방법으로 각각 측정하여 그 두 방법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선형회귀분석 및 t-검정법의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각 샘플군에서의 두 방법간의 상관계수(r) 및 회귀직선식을 얻었고, 각 샘플군에서 두 방법에 의한 각각의 표본평균이 주어진 유의수준($\alpha$=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본 실험에 사용된 샘플에 대하여 표준방법과 HApS$^{TM}$ 방법간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표준방법에 비하여 실험시간 및 실험방법에서 신속성 및 간편성을 지니는 HApS$^{TM}$방법은 축산식품의 총세균 및 대장균군 오염도 측정시에 표준방법을 대신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학교급식소의 HACCP 시스템 적합성 검증(II) -비가열조리 공정을 중심으로- (Verification of the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 Focus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Foods in Non-Heating Process -)

  • 전인경;이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54-116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 HACCP 적용 초등학교 5개교를 대상으로 비가열조리 공정 음식의 중요관리점별로 미생물 품질을 두 차례에 걸쳐 측정하여 학교급식에서 HACCP제도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미생물 검사를 실시한 메뉴로는 오이 실파생 채, 도라지오이 초무침, 쌈배추 겉절이, 과일야채 샐러드, 그린야채샐러드, 오이소박이, 수박 등 7종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채류, 무침류, 샐러드류에 사용된 실파, 도라지, 쌈배추, 방울토마토, 치커리 등 생으로 먹는 채소류는 세척 및 소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또한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의 양념류 원재료의 일반세균수와 대장균군수가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음식 생산과정에 사용된 용기 및 기구 등의 미생물수도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식시의 온도도 12$^{\circ}C$∼27$^{\circ}C$전후였다. 따라서 생채소류의 소독, 커팅 시 교차오염방지, 손 위생, 용기류의 교차오염 방지, 배식 온도(5$^{\circ}C$ 미만) 등의 중요관리점이 적합하게 관리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가열조리 공정 음식의 생채류 소독시 소독액 농도의 수시 확인, 양념류의 미생물적 품질을 제도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개선책 마련 등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생채나 샐러드처럼 차게 배식되는 식품의 배식온도 5$^{\circ}C$미만 혹은 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 상의 차게 먹는 음식 1$0^{\circ}C$미만의 기준은 식수 900∼1,000식 이상인 대규모 학교에서는 현실적으로 준수하기 어려우므로 가능한 조리 후 배식 시간을 단축하도록 강조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칼, 도마 등의 용도별로 구분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차원에서 지원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세척ㆍ소독이 철저히 실행되도록 조리종사자 대상 위생교육을 보다 확실히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Fluid transport model을 이용한 치근단 역충전 재료의 혈액오염시 미세누출평가 (EVALUATION OF MICROLEAKAGE WITH RETROGRADE FILLING MATERIALS IN BLOOD CONTAMINATION USING FLUID TRANSPORT MODEL)

  • 안효순;장인호;이세준;이광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1호
    • /
    • pp.24-33
    • /
    • 2002
  • Leakage studies have been performed frequently, since a fluid-tight seal provided by various dental fill-ing materials has been considered clinically important. The leakage of the various root-end filling materials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mostly dye penetration method. These dye studies cannot offer any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of the seal of a test material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leakage of root end cavities in blood contamination filed amalgam, intermediate restorative material(IRM),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GI) and mineral trioxide aggregate(MTA) by means of a modified fluid transport model. Fifty standard human root sections, each 5mm high and with a central pulp lumen of 3mm in diameter, were and filled with our commonly used or potential root end fill ing materials after they were contaminated with blood. At 24h. 72h, 1, 2, 4, 8, and 12 weeks after filling, leakage along these filling materials was determined under a low pressure of 10KPa(0.1atm) using a fluid transport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TA group showed a tendency of decreasing percent of gross leakage (20m1/day) in process of time, whereas the other materials showed a tendency of increasing in the process time. 2. At the all time interval, GI group leaked significantly less than amalgam group and IRM group (p<0.05). 3. At the 4 weeks, the percentage of gross leakage in MTA group decreased to 0% thereafter, the low per-centage of gross leakage was maintained in MTA group until the end of the experiment, whereas the percentage in IRM group increased to 100% 4. At the 12 weeks, percentage of gross leakage was significantly low in MTA group(0%), comparison with GI group(40%), amalgam group(90%) and IRM group(100%),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atter two materials.

ESL 생산공정에 따른 시유 유래 미생물의 분포 비교 연구 (Comparative Characterization of the Bacteria Isolated from Market Milk Treated with ESL and Conventional System)

  • 김응률;정병문;유병희;정후길;강국희;전호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7-332
    • /
    • 2003
  • 본 연구는 ESL 우유와 시중 4개 회사의 일반 시유 제품의 보존 검사에서 분리되어 1차적으로 선별된 364 균주에 대해서 균주 분류를 통하여 우유의 저장온도와 기간 중의 우유내 우세균을 확인하고 ESL 우유와 기타 일반 시유의 미생물 균종별 분포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364 균주의 분리원에 따른 분류에서는 ESL 우유가 가장 낮은 검출 균주수를 나타냈다. 전체 분리된 미생물 균주의 분포를 보면, Bacillus 계통과 Staphylococcus 계통이 주로 많이 검출되었으며, Lactobacillus 계통을 제외하고는 매우 다양한 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 가공처리법에 따른 분리균종을 비교해 보면, LTLT 살균유의 경우에는 내열성이 강한 Enterococcus 계통의 균종이 특이적으로 많이 검출되었으며, UHT 살균유 중에서 ESL 우유에 비해서 기타 일반 시유에서는 Pseudomonas 계통의 저온성 미생물 균종이 많이 검출되었다. 보존온도별 균종 분포를 보면, Bacillus 계통은 보존온도가 높을수록 검출빈도가 높았으며, Pseudomonas와 같은 저온성 계통은 $10^{\circ}C$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기초동정 결과와 동정기를 이용한 동정 결과를 비교한 결과, 기초 동정법에 의한 균종의 분류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ESL우유와 일반우유의 미생물 균종 분포를 비교해 볼 때, 살균후 포장과정에서 2차적으로 오염될 확률이 높은 Pseudomonas 계통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Pseudomonas 계통의 미생물은 냉장 유통에서도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ESL 우유가 유통 중 제품의 품질 향상과 수명 연장이 되는 것은 미생물 오염도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회용 주방용품의 미생물 오염도평가 및 방사선 살균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 and Radiation Sterilization in Disposable Kitchen Utensil)

  • 김진희;임상용;송현파;김병근;정진우;윤혜정;변명우;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7-322
    • /
    • 2005
  • 일회용 주방용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17개 제품군, 총 51종의 일회용 주방용품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평가와 함께 오염된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감마선 살균 방법을 적용하였다. 일반호기성세균, 대장균군, 곰팡이 Salmonella의 오염도 평가 결과, 대장균군과 Salmonella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반호기성 세균은 전체 시료의 약$50\%$에서 $10^1{\sim}10^2\;CFU/100\;cm^2$ 수준으로 검출되어 일회용 주방용품의 위생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일회용 주방용품에 오염된 미생물의 감마선 살균 결과 3 kGy의 조사선량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계면활성제 재사용을 포함한 토양 세척 공정의 전산모사 평가 (Process Evaluation of Soil Washing Including Surfactant Recovery by Mathematical Simulation)

  • 안치규;우승한;박종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1호
    • /
    • pp.32-42
    • /
    • 2008
  • 오염 토양 세척 공정에서의 계면활성제 비용을 줄이기 위해 활성탄을 이용한 선택적 흡착을 통해 계면활성제의 회수와 재이용 공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세척 공정, 계면활성제 회수 공정, 계면활성제 재이용에 의한 토양 재세척 공정으로 구성된 전체 공정에 대한 전산모사를 수행하여 운전변수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계면활성제 첨가량은 미셀 생성 농도의 6-10배 정도가 최적이었으며, 활성탄 첨가량이 너무 많을 경우 계면활성제 재이용 효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토양 흡착 효율 인자는 세척 공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활성탄 흡착 효율 인자는 회수 공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계면활성제 회수 및 재이용 공정을 적용할 경우 기존 세척 공정에 비해 계면활성제 요구량을 20-30% 수준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발생하는 폐수에서의 오염도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을 통해 실제 복잡한 실험 이전 단계에서 전체 공정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운전조건을 모사하여 최적의 운전조건을 도출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iO2 제조 실험실에서 나노입자의 배경농도 특징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Nanoparticle Concentration in a TiO2 Manufacturing Laboratory)

  • 박승호;정재희;이승복;배귀남;지현석;조소혜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13-121
    • /
    • 2011
  • The aerosol nanoparticles are suspected to be exposed to workers in nanomaterial manufacturing facilities. However, the exposure assessment method has not been established. One of important issues is to characterize background level of nanoparticles in workplaces. In this study, intensive aerosol measurements were made at a $TiO_2$ manufacturing laboratory for five consecutive days in May of 2010. The $TiO_2$ nanoparticles were manufactured by the thermal-condensation process in a heated tube furnace. The particle number size distribution was measured using a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every 5 min, in order to detect particles ranging from 14.5 to 664 nm in diameter. Total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shows a severe diurnal variation irrespective of manufacturing process, which was governed by nanoparticles smaller than 50 nm in diameter. During the background monitoring periods, significant peak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between 2 p.m. and 3 p.m. due to the infiltration of secondary aerosol particles formed by photochemical smog. Although significant increase in nanoparticle concentration was also observ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wice among three times, these particle peak concentrations were lower than those observed during the background measurement. It is suggested that the investigation of background particle contamination is needed prior to conducting main exposure assessment in nanomaterial manufacturing workplaces or laboratories.

미세기포를 이용한 토양세척기법의 디젤 오염토양 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eanup fur Diesel-Contaminated Soil by Micro-Bubble Enhanced Soil Washing Process)

  • 조장환;장윤영;최상일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고농도의 디젤로 오염된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알칼리제와 과산화수소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토양세척기법에 대하여 일련의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운전조건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알칼리제인 NaOH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pH를 상승시켜, 강 알칼리 상태에서 과산화수소를 주입하면 미세기포가 발생되며, 이 미세기포에 의해 토양에 흡착되어 있는 유류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탈착·부상된다. #60(0.25mm) 이하의 자연토양을 6,500mg TPH/kg dry soil로 오염시켜 사용하였으며, 세척수의 pH, 진탕비(토양중량 : 세척용액의 부피), 과산화수소 주입량, 세척시간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세척수의 pH는 12, 진탕비는 1 : 5, 과산화수소의 주입량은 1%, 세척시간은 1시간으로 적용한 결과 최대효율(60%)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폴리설폰 필름의 형상 및 방사성 오염물 채취에 있어 용매처리의 효과 (Effect of Surface Modification by Solvent Treatment on Morphology and Radionuclide Pick-up Efficiency of Polysulfone Film)

  • 한명진;이근우;서범경;박진호;남석태
    • 멤브레인
    • /
    • 제14권2호
    • /
    • pp.126-131
    • /
    • 2004
  • 균일한 밀집구조를 지니는 투명한 폴리설폰 필름이 용매를 사용한 표면처리를 통해 개질되었다. 개질은 고분자 필름을 디메털포름아마이드 용매에 1 sec간 담그고 이를 비용매 욕조에 침지시켜 이루어졌다. 개질 전 투명하였던 필름은 개질 후 횐색을 띠며, 많은 기공이 표면에 형성되었다. 비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였을 때가 이소프로파놀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표면의 불균일도가 증가하였다. 개질된 필름을 사용하여 방사성핵종으로 오염된 지역으로부터 오염물을 채취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필터페이퍼를 사용하는 것보다 우수한 채취 효율을 보여주었다. 개질된 필름 중에서는 비용매로 물을 사용한 경우 이소프로파놀을 이용한 필름보다 오염물의 채취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질된 필름은 고분자 필름의 양쪽 겉표면만을 변화시켜, 필름의 내부는 고유한 밀집도를 유지함으로써, 필터페이퍼 또는 유리섬유를 사용한 오염물 제거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매체의 기공을 통한 2차적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