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minated area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029초

함안지역 지하수의 비소(As) 함량과 미생물 군집 특성과의 연관성 검토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Related to Arsenic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Occurring in Haman Area, South Korea)

  • 김동훈;문상호;고경석;김성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6호
    • /
    • pp.655-666
    • /
    • 2020
  • 본 연구는 함안지역 고농도 비소 오염 지하수의 미생물 군집 특성 분석을 통해 지하수 내 비소 산출 특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함안지역 지하수는 0~757.2 ㎍/L 농도 범위의 비소로 오염되어 있으며, 이는 국내에서 보고된 가장 높은 자연기원 지하수 비소 오염 농도를 나타낸다. 전체 200개 시료 중 29개(14.5%)에서 먹는물 수질 기준인 10 ㎍/L 이상의 비소 농도가 관측되었으며, 암반 지하수 관정(80~100 m 심도)에서는 50 ㎍/L 이상인 시료가 8개(4%)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함안군 북측 지역에는 비소 함량이 100 ㎍/L 이상인 관정이 7개 존재하는 특징을 보였다. 고농도 비소 오염지역 지하수의 미생물 군집 분석 결과, 8개 시료에서 서로 상이한 군집 특성을 보였으며 Proteobacteria가 평균 61.5%로 가장 우점하였다. 속(genus) 수준에서는 혐기성 균인 Gallionella속과 Methermicoccus 속, 호기성 비소 환원균인 Acinetobacter속이 각각 12.8%, 7.3%, 7.8%의 높은 비율로 존재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연구 지역의 지화학적 특성과 지하수 내 미생물의 생지화학적 기작의 복합적 반응에 의해 고농도 비소 오염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지화학적 특성과 미생물 군집에 대한 정보는 지하수 내 고농도 비소의 생성 기원과 이들의 제어 기술 개발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압축패커를 이용한 보은지역의 질산성질소에 의한 오염지하수 수질개선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for Contaminated Groundwater by $NO_3-N$ using Compression Packer in Boeun)

  • 이병대;윤욱;윤성택;조희남
    • 지질공학
    • /
    • 제20권1호
    • /
    • pp.25-33
    • /
    • 2010
  • 연구지역의 오염된 대부분의 지하수는 상부의 오염된 천부지하수가 지하수공내로 유입되면서 질산성질소로 오염되었다. 공내 카메라 검층 결과 오염된 공들은 그라우팅 불량과 찢어진 유공관으로 인하여 오염된 천부지하수가 공내로 유입되어 지하수질을 악화시켰다. 오염된 천부지하수는 야외 지질조사시 확인된 동남동-서북서 방향, 북북서 방향, 북서-남동 방향, 남북 방향의 단층 및 절리, 파쇄대를 따라서 공내로 유입되었다. 금번 연구의 목적은 질산성질소로 오염된 지하수 공에 대하여 압축패커 기법을 이용하여 상부 오염물질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지하수 수질개선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지역내 46개소의 지하수공을 대상으로 질산성질소 분석용 시료를 채취하였다. 질산성질소 함량이 10 mg/L 이상으로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거나 먹는물 수질기준에 가까운 공은 9개소로 전체 시료수의 약 20%이다. 압축패커 장치를 설치한 후 모든 공들의 질산성질소 함량이 설치 전에 비하여 26~81% 감소되었다.

포름알데히드로 오염된 실내공기의 정화에 미치는 식물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nt Effects on Decontamination of Polluted Indoor Air with Formaldehyde)

  • 박소영;김정;장영기;성기준
    • 환경영향평가
    • /
    • 제14권4호
    • /
    • pp.147-155
    • /
    • 200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nt as a botanical air purification on the indoor pollution by formaldehyde. Three indoor plants such as Dracaena marhginata, Spathiphyllum and Dracaena reflexa, were placed in the artificially contaminated reactor under laboratory condition. Both plant and soil effects on removal of formaldehyde from contaminated indoor air were observed. Reductions in the formaldehyde levels appeared to have been associated with soil medium factors as well as plant factors. The effect of soil on formaldehyde reduction was high in the early stage of the experiment and the results suggest that sorption could be more important factor than microbial degradation in the initial dissipation of contaminants in the soil. It was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plant on formaldehyde reduction might be related to the plant species, total leaf surface area of plant, degree of contribution of soil medium, and exposed concentration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ir purification using plants is an effective means of reduction on indoor formaldehyde level, though, utilization of soil media with high sorption capacity and/or supplementary purifying aids were also suggested when the source is continuous or exposed concentration level is high.

식당 주방의 위생 향상을 위한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Planing for Restaurant Kitchens to Improve Hygiene)

  • 이종란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5-13
    • /
    • 2011
  • This research proposed the space planing methode and diagrams of restaurant kitchens to improve hygiene by analyzing the related contents collected from books and researches in interior design and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is an effective and scientific hygiene system for food safety in order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from food hazards. Based on the analyses, improvement of food production environments like restaurant kitchens is necessary for food hygiene. The space planing methode of restaurant kitchens to improve hygiene are followings: The circulation planing is tha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ood, workers, waste, and dishes should be fractionated and managed for cross-contamination prevention. The space separation planing is that the spaces in the kitchen should be classified and divided into contaminated area and non-contaminated and clean area depending on the degree of cleanliness. The zoning is space arrangement with feed-back process to check the possible points of cross-contamination and correct space arrangement until the possibility of cross-contamination disappear in kitchen. However, if cross-contamination is unavoidable in some points in restaurant kitchens, hygiene facilities such as washing rooms, pass rooms, and double doors with air-shower should be located in order to remove contamination.

부산시 토양오염 취약지역 등급화를 이용한 우선관리대상 순위 선정 (The Priority Management Ranking by using the Classification of Vulnerable Areas for the Soil Contamination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정현정;이민희;도진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7호
    • /
    • pp.1-1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National Classification System related to cleanup the soil contaminated sites and to provide some guidance to address the priority management rank system before the remediation for Busan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previous soil investigation data, the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vulnerable areas for soil pollution was performed to successfully manage the contaminated sites in Busan. Ten evaluation factors indicating the high soil pollution possibility were used for the priority management ranking system and 10 point was assigned for each factor which was evenly divided by 10 class intervals. For 16 Gu/Guns in Busan, the score of each evaluation factor was assign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rea (or the number) between in each Gu (or Gun) and in Busan. Ten scores for each Gu (or Gun) was summed up to prioritize the vulnerable Gu or Guns for soil pollution in Busan. Results will be available to determine the most urgent area to cleanup in each Gu (or Gun) and also to assist the municipal government to design a successful and cost-effective site management strategy in Busan.

보일러 최적운전을 위한 슬래깅 및 파울링 제거 연구 (A Study on the Removal of Slagging and Fouling for an Optimal Operation of Power Utility Boilers)

  • 육심균;김성호;이병은;이상룡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12호
    • /
    • pp.1772-1780
    • /
    • 2003
  • An optimal soot blow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an optimal operation of power utility boilers by both minimization of the use of steam and the number of soot blowers worked during soot blowing. Traditionally, the soot blowing system has been operated manually by operators. However, it causes the reduction of power and thermal performance degradation because all soot blowers installed in the plant should be worked simultaneously even there are lots of tubes those are not contaminated by slagging or fouling. Heat transfer area is divided into four groups, furnace, convection area including superheater, reheater and economizer, and air preheater in the present study. The condition of cleanness of the tubes is calculated by several parameters obtained by sensors. Then, a part of soot blowers works automatically where boiler tubes are contaminated. This system has been applied in a practical power plant. Therefore, comparison has been done between this system and manual operation and the results are discussed.

난지도 일대의 침출수 양태 조사를 위한 전기 비저항 탐사 (Electrical Surveys for Mapping Leachate in Nanji - Do Landfill Site)

  • 김형수;이기화;한정상
    • 지질공학
    • /
    • 제5권3호
    • /
    • pp.259-276
    • /
    • 1995
  • 난지도의 매립지 및 주변 침출수의 부존 양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기 비저항 수직 탐사와 수평 탄사가 수행되었다.매립지 내에서 수행된 전기 탐사 결과는 매립지 내에 기저 해발 고도 30m 지점을 전후로 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기저 침출수 상부에도 상당량의 부유 침출수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매립지의 주변에서 획득된 전기 탐사 결과는 난지도의 침출수에 의해 오염된 지하수가 한강으로 유입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 지역의 기반암 상부도 이미 오염된 지하수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난지도 매립지 및 주변 지역의, 침출수에 의해 포화된 지층은 전기 비저항치가 10 ohm-m 이하인 것으로 관측되었으며, 이러한 낮은 비저항치는 이 지역의 지하수 및 지층이 매우 심하게 오염되어있음을 지시한다.

  • PDF

식기간 동안의 천리안 기상영상에 대한 미광의 영향 분석 (Stray Light Impacts on the COMS MI Images during the Eclipse Period)

  • 진경욱;박봉규
    • 항공우주기술
    • /
    • 제11권2호
    • /
    • pp.12-18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식기간 동안 미광(stray light)에 의해 천리안 기상 영상이 받게 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미광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또한 모색하였다. 기상영상의 경우 식기간 동안 미광의 영향을 받아 영상의 왜곡 (줄무늬 등)문제가 발생한다. 미광의 영향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천리안위성의 궤도상 시험기간 동안에 이루어졌으며, 천리안위성 기상탑재체의 총 4개 적외 채널에 대해 태양과의 거리에 따른 미광의 영향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계산된 천리안위성의 식기간 자료를 바탕으로 미광의 영향이 매우 강한 사례를 선정하여 적외채널 영상의 미광에 의한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영상에 나타난 미광의 영향을 두 개의 열적외 채널을 이용하여 단파적외 채널을 대체하는 방법이 유효함을 확인 하였다.

습식 제염장치의 성능시험 (Performance Test of Wet Type Decontamination Device)

  • 이은표;김은가;민덕기;전용범;이형권;서항석;권형문;홍권표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105-108
    • /
    • 2003
  • 방사성 물질 취급시설인 핫셀을 출입하거나 핫셀 내의 장비 반출 등으로 인하여 핫셀 뒤편에 위치한 서비스 구역은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오염이 발생된 서비스 구역을 법령이 정한 표면허용오염도 이하로 제염 관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방사성폐기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염하기 위한 소요인력 및 시간 또한 많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습식 제염장치는 부착된 오염원을 바닥 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부분, 회전브러시에 제염액 또는 세제를 공급하는 부분, 바닥 면에서 분리된 오염원과 제염액 또는 세제를 흡입하는 부분 그리고 주행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며,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하여 내부식성 뿐만 아니라 장치 자체의 제염도 쉽게 제작하여 조사후시험시설의 서비스 구역에서 제염장치의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 PDF

영광지역 특성자료를 적용한 매립 자체처분 피폭선량 평가 (Dose assessment applied with the specific data of Young-gwang area for clearance by landfill)

  • 임용규;이지훈;양호연;신상운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497-502
    • /
    • 2003
  • 매립은 원자력이용시설에서 발생된 비오염폐기물 또는 오염도가 미미한 폐기물의 규제해제 방법으로 가장 폭넓게 적용될 수 있는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영광원자력발전소의 매립장을 대상지역으로 작업자 및 거주자가 받을 수 있는 피폭선량을 평가하였으며, 구해진 선량을 토대로 규제해제 선량기준치인 10 $\muSv/y$를 만족시키는 핵종별 규제해제농도를 설정하였다. 연령군을 고려한 피폭선량평가 결과 매립층 상부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경우 년간 1.02 $\muSv$, 매립부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경우는 년간 0.471 $\muSv$의 피폭선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규제해제농도는 핵종별로 $1.33{\times}10_{-1}$ Bq/g에서 $2.85{\times}10^2$ Bq/g으로 계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