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 creativity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6초

혁신확산이론 기반 소비자 행위의도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 Analysis of Innovation Diffusion Theory based on Behavioral Intention of Consumer)

  • 남수태;김도관;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0-141
    • /
    • 2017
  • 빅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대용량 데이터 속에서 의미 있는 새로운 상관관계, 패턴, 추세를 발견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이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은 소셜 빅데이터, 실시간 사물지능통신(M2M; Machine to Machine), 센서 데이터, 기업 고객관계 데이터 등 도처에 존재하는 다양한 성격의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빅데이터 시대에는 단순히 데이터 베이스에 잘 정리된 정형 데이터뿐만 아니라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모바일 환경에서 폭발적으로 생성되는 웹 문서, 이메일, 소셜 데이터 등 비정형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그런데 메타분석은 여러 실증연구의 정량적인 결과를 통합과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조망할 기회를 제공하는 통계적 통합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2000년-2017년 사이 혁신확산이론 모델을 기반으로 한 주제로 출판된 연구 50개 논문 750개 샘플을 대상으로 하였다.

  • PDF

국민의 창의성과 사용자/현장 중심 혁신: 창조경제 패러다임 정립을 위한 문헌 연구 (People's Creativity and User/Field-driven Innovation: Literature Review for the Paradigm of Creative Economy)

  • 임홍탁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3호
    • /
    • pp.135-166
    • /
    • 2014
  • 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는 국민을 창조활동의 주인공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기존의 전문가 중심, 과학기술공급중심의 경제사회발전전략과는 다른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그 해석과 정책 실행에 있어 그 특징을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창조경제가 주목한 국민의 창의성이 과학기술자의 창의성과 무엇이 다르며, 그것이 정책 패러다임으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광범위한 문헌 연구를 통해 밝힘으로써 창조경제가 담아내야 할 도전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민은 사용자로서의 창의성에 더불어 인문학적, 철학적, 윤리적, 경험적 능력을 바탕으로 한 생활인/삶의 주체로서의 창의성을 갖고 있으며 이것은 과학기술자의 창의성과는 구분되는 고유의 창의성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로서의 창의성, 생활인/삶의 주체로서의 창의성의 발현은 삶의 가치에 대한 선택을 내포하며 이는 소비행태의 변화, 삶의 방식의 변화를 통해 기술 고착, 사용자 고착을 타파함으로써 시스템 혁신을 이루거나 새로운 사회 기술시스템의 구성 혹은 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국민의 창의성은 기존의 전문가/과학기술 공급중심 혁신 패러다임이 아닌 사용자/현장중심 혁신 패러다임'의 토대로서 역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민의 창의성에 주목하고 있는 창조경제는 사용자/현장 중심 혁신 패러다임의 실현이라는 새로운 경제사회발전정책과제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00년 이후 인테리어 데코레이션 트랜드의 언어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rbal Image of Interior Decoration Trend from the Year 2000)

  • 김주연;한효정;이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38-246
    • /
    • 2006
  • Recent trends of interior design have a focus on creation of more various meanings rather than past ideology which sought after the compatibility to the function of modem design. These trends requires integral understanding of social and cultural ideologies with a sens of values for a certain periods. In addition, they also require creativity which able to read, find and solve consumer's diverse demand and desire. Considering the effort of trend forecasting in Korea is still heavily rely on the foreign trend shows, it is natural to attempt to study the analytical forecasting methodology based upon more systematic principles which lead to more objective outcome, when the understanding, forcasting and analysis of interior decoration trend are required. In this thesis, the analysis and forecasting of interior decoration trend are studied by means of verbal image code process which involves the induction of design concept through data extractio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ing and satisfying the diversified consumer's demand and trend. The coding process of verbal image is understanding as general concept. by extracting common elements from abstract and individual image, and/or specific concept.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the database building and data mining process of verbal Image,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programming skill can be applied as more efficient tool for various verbal image process.

상사의 태도와 직무 특성이 창의적 성과를 일으키는 과정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Leader's Attitude and Job Characteristics on Subordinate's Creative Performance)

  • 류정란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3호
    • /
    • pp.129-154
    • /
    • 2014
  • 점점 더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예측하기 힘들어지고 있는 글로벌 기업환경은 기업들에 새로운 대처방안을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다. 고객들의 니즈가 더 다양해지고, 시장과 기술이 끊임없이 변화하며, 글로벌 경쟁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실에 안주하고 변하지 않거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는 기업은 생존할 수 없는 시대인 것이다.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 '창의적'이어야만 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기업의 창의성은 업무능력이나 성과와는 달리 금전적 물리적 보상으로 쉽게 활성화되지 않는다. 다양한 재능 경험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자기 의견을 마음껏 개진해 나아갈 수 있는 환경이 존재할 때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연구는 기업 경영의 측면에서보다는 창의성 교육위주로 진행되어 왔으며, 기업 연구에서도 실제 성과로 이어지는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보다는 주로 종업원들의 성격요인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즉, 종업원이 처한 조직 내 상황적 특성으로서 현재의 비금전적 비물리적으로 동기부여를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는 환경적 요소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비제도적 측면에서 종업원이 가장 근접하게 가지게 되는 조직 내 특징적 환경 속에서 창의적 성과를 일으키게 하는 과정을 규명해 보았다. 창의성을 발현하는 과정으로서 조직의 창의성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동기부여와 창의적 프로세스참여를 매개체로 하여 종업원의 직무특성과 상사가 보여주는 태도라는 상황적 요인들이 종업원들의 창의성 발현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 창의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Metaphor Analysis Metrics of Visual Trope

  • Kwon, Gi-Myung;Lee, Jin-Ho;Jo, Jun;Hibino, Haruo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77-88
    • /
    • 2007
  • Visual trope is one of the important appealing methods of creativity to induce voluntary consumer participation. In many cases, it delivers a message using metaphors. To define the concepts of_metaphor, we investigated methods of expression and significance of metaphor itself and associated forms; in all: metaphor, analogy, catachresis, metonymy, and synecdoche. We also considered the structure of each form to propose a method of metricizing the metaphor Consequently, we found that the metaphor of a visual trope is a type of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codes. We suggested models for each form type and concept of metaphor through the evaluation of metaphor significance and case study. Metaphor significance forms mutually close relationships with codes of pragmatics, semantics, and syntax. We suggested a type of metrics or a guideline for an expression method and evaluation of a visual trope appropriate for a metaphor form type. Therefore and importantly, the following study presents unique, but manifold results that are also useful in the field of design.

  • PDF

창의력 포토 CMS (Creativity Photo CMS)

  • 김영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429-432
    • /
    • 2019
  • 본 작품은 학생들의 캡스톤디자인 작품이다. 본 작품은 부모와 아이(유아기)가 집에서 책을 단순히 읽는 것을 벗어나 동화를 직접 창작할 수 있는 미래형 포토 CMS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부모와 아이의 사진을 동화에 감정이 이입되는 방법으로 개발되었으며, 창작자에 따라서는 부모와 아이의 역할을 바꾸어 수행해 봄으로써 상대방의 소중함을 깨우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작품은 스마트 교육과 디지털 교과서 등의 융합교육으로 소비자 니즈(Consumer needs) 변화로 새로운 트랜드를 정립하고, 특히 부모와 아이가 동시 출연하여 동화를 창작해 나가는 친화적/창의력 학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의 인지 및 감성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개발하였다.

  • PDF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유형과 특성 (Study on the Digital Storytelling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er Brands)

  • 홍윤정;김영인
    • 복식
    • /
    • 제63권8호
    • /
    • pp.43-5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stemize the fashion digital storytelling by analyzing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its elements, and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cesses of digital storytelling. Based on the previou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torytelling the following things have been researched: 1) the process of digital storytelling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2) the concept and the feature of the academia of digital storytelling 3) storytelling in the document research. On the groundwork of the document research, we were able to sort out the various types, and formed a system of the features in the fashion digital storytelling cases, mainly in the four collections (Milan, Paris, London, New York) from 2000's to recent years of 2010. The types of fashion digital storytelling are episode type, narrative type, and creative typ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typ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pisode type communicates through the digital media based on the information or fact of the fashion designer brand. Secondly, narrative type communicates with the consumers using previous literature or an existing idea of the original cultural form that is rearranged in digital story expressed by the digital media. Lastly, creative type makes the designer's and consumer's susceptibility and creativity communicate through the newly made story, which expresses the unique originality of the designer. It seems that the cases and studies of using the fashion digital storytelling will increase because of its short history and lack of the case study. Fashion designer brands will show their brand image using the digital storytelling because they are able to better express originality, creativity and imagination of the fashion designer, which were factors that could not be conveyed through fashion alone.

광고 콘텐츠의 창의성이 인지종결 지연욕구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비유창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dvertising Content Creativity on Desire to Postpone Cognitive Closure and Ad Attitud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sfluency)

  • 박현정;유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39-356
    • /
    • 2017
  • 지금까지 창의적 광고 콘텐츠의 광고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는 있었지만 소비자의 인지과정에서 왜 창의적 광고 콘텐츠가 효과적인지 그 이유를 설명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광고 콘텐츠의 창의성이 인지 종결 지연욕구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서 본 연구는 창의적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효과 유발 원인을 비유창성으로 설정하고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했다. 연구 결과 창의적 광고의 비유창성이 인지종결 지연욕구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의 비유창성이 창의적 광고의 광고효과를 높이는 중요 인지변인임을 의미한다. 창의적 광고의 광고효과를 소비자의 인지변인들과 연결해 검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학술적 의미를 지닌다.

기업 문화마케팅의 문화소비자 가치 창출 -융복합문화공간 '슈피겐홀'과 오페라 <스티브 잡스의 혁명>을 중심으로, 애플 스티브 잡스의 10주년 추모 연구- (Creating Cultural Consumer Value in Corporate Culture Marketing. -Focused on Cultural Space 'SpigenHall' and Opera , Apple Steve Jobs' 10th Anniversary Memorial Study-)

  • 오세종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11-116
    • /
    • 2020
  • 2021년 10월 5일 스티브 잡스 사망 10주년을 추모하는 기업 문화마케팅 사례 연구이다. 기업 문화마케팅은 스티브 잡스의 팬덤을 통해 문화소비자 가치를 도출하고,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수익을 달성하고자 한다. 빅데이터에 따르면, 스티브 잡스의 브랜드 이미지는 '혁신', '최초', '창의성', '변화', '디자인'이 도출되었다. 그래서 스티브잡스의 브랜드 이미지와 연관성이 높은 슈피겐코리아의 융복합문화공간 '슈피겐홀'과 전 애플 CEO 스티브 잡스의 소재로 제작된 디지털 오페라 <스티브 잡스의 혁명>의 연관성을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문화콘텐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했다. 슈피겐코리아와 디지털 오페라 <스티브 잡스의 혁명>은 스티브 잡스의 희로애락 스토리, 슈피겐코리아의 VIP 회원의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 언론홍보는 '국내 최초', 유명 연예인 공연장소와 문화예술 장소로 적합한 강남의 '슈피겐홀', 공연 티켓의 수익은 기부로 기획했다. 본 연구는 남성 CEO만의 인생 스토리 연구와 문화 도시 계획에 적합한 연구이다. 연구의 한계점은 장르별 다양한 작품의 분석과 업종에 따른 소비자 가치 분석 시도가 필요하겠다.

상업공간의 브랜드 이미지와 표현경향(表現傾向)에 관한 연구 - 프라다 리테일 샵을 중심으로 - (A Study of brand image and expressive trends in commercial space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rada Retail Shop -)

  • 강소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01-208
    • /
    • 2007
  •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sentiment and image. As industrial development pushes the demands of consumers for various goods, the marketing patterns of these goods have individualized. They are expressions embedded with various meanings. Retail shops, now going beyond the practical purpose of display and sales of goods, enhancing brand images and establishing a consumer-oriented strategy, play a key role in reacting to and creating overall cultural issues. This study will analyze and investigate the Prada retail shop, which has distinguished its brand image and effectively promoted its identity through a sustained management strategy. The Prada retail shop has established an image of a cultural icon through cultural marketing. It suggests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along with diversity It reflects the basic concepts of cultural marketing, freedom of expression combined with information and high technology. The Prada building symbolizes the brand itself. To foster these kinds of retail shops, data and information based on continuous studies must be provided and shared, and also the systematic reinterpretation and the effective presentation of expressive trends in interior design needs to be studied on an ongoing b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