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 Buying Behavior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31초

갈증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irst on Impulsive Purchasing: Focusing on the Mediation of Self-Control)

  • 이시내;민동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143-150
    • /
    • 2021
  • 그 동안 수 많은 마케팅 분야 연구들은 충동구매로 대표되는 소비자의 충동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에 대해 주목해왔다. 이들은 문화적 차이와 성격적 특성, 개인의 물질주의 및 위험추구 성향 등 다양한 변수들에 대해 탐색했다. 본 연구는 그간 선행연구들이 거의 다룬 적이 없으나, 소비자의 특성으로서 소비 상황에서 받게 되는 소비자의 신체적 자극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저자들은 소비자가 인지적 자원의 고갈을 유발할 수 있는 감각적 자극으로서 갈증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두 번의 걸친 실험의 결과는, 소비자가 갈증을 느낄 경우 충동구매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음을 보였고(실험 1), 이 같은 갈증과 충동구매 간 관계에 자기통제의 저하가 기저에 있음을 보였다(실험 2). 이는, 물리적 자극으로서의 갈증이 인지적인 자원의 고갈을 이끌고, 이것이 자기통제력의 약화로 이어져 충동구매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결국 이를 통해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현상인 충동구매에 대한 완화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신제품의 혁신 속성과 계획적 진부화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 New Product's Innovative Attributes and Planned Obsolescence 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 박철주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8호
    • /
    • pp.81-90
    • /
    • 2015
  • Purpose - To vitalize a market or develop a new one, companies frequently release new products into the market, often by shortening the time to market, called the release period.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purchase intention behavior of consumers in terms of buying new products at the time of product release based on the release spe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research reviews the influence of relative advantage, complexity, and compatibility among innovative attributes of new products, as proposed by Rogers. Moreover, it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novative new product attributes in terms of speed of obsolescence of old products and how that influences consumer purchase behavior. Additionally, this study tests the research hypotheses using empirical analysis. Results -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relative predominance (H1) and suitability (H3) of new produc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new product purchase intention. However, the complexity (H2) of new produc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new product purchase intention in contrast to its predicted sign (-). The result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ld product use period were as follows. H4-1 was not supported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group with the low level old product use period and the group with the high level,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of relative predominance and new product purchase inten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5-1 was also not supported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group with the low level of old product use period and the group with the high level,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of complexity and new product purchase inten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H4-2 was supported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group with the low level of old product use frequency and the group with the high level,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of relative advantage and new product purchase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5-2 was not supported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group with the low level of old product use frequency and the group with the high level,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of complexity and new product purchase inten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6-2 was also not supported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group with the low level of old product use frequency and the group with the high level,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of compatibility and new product purchase inten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only H4-2 among the hypothe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ld product use period and use frequ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carrying out a detailed review of the hypothesi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old product usage period and frequency, find the cause, and connect this to potential new research.

비교쇼핑 에이전트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mparative Shopping Agent for E-Commerce)

  • 최무진;황진열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97-113
    • /
    • 2005
  • 본 논문은 B2C 온라인 인터넷 쇼핑을 돕기 위한 비교쇼핑 에이전트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오프라인 상점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구매자가 판매원에게 제품의 제조사, 모델, 기능 또는 가격대를 설명하면 판매원이 해당 상품들을 보여주거나 카탈로그를 보여준다. 구매자는 상품의 기능이나 디자인을 비교하면서 적절한 상품군을 정한 후 가격을 비교한 다음에 가장 싼 곳에서 상품을 구입한다. 본 논문이 소개할 비교쇼핑 에이전트 ${\ulcorner}$PriceMeter${\lrcorner}$는 이러한 구매 행동에 최대한 부합 되도록 설계하였다. 구매자가 원하는 제조사, 가격, 기능 등을 선택한 후 검색하면 해당되는 상품들의 설명과 가격 정보들을 이 비교쇼핑 에이전트가 취합하여 보여준다. 마음에 드는 상품들을 카탈로그 양식으로 비교해서 볼 수도 있고, 프린트 양식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특정 상품을 클릭하면 해당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들의 정보와 판매 가격을 함께 보여주며, 구매 아이콘을 클릭하면 쇼핑몰의 해당 상품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B2C 전자상거래에 있어 비교쇼핑 에이전트의 구현과 확산은 구매자에게 더 많은 정보와 권한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중심의 유통경제를 한 걸음 앞당길 수 있다. 특정 상품에 대한 가격과 상세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제공받는 구매자들은 보다 현명한 구매를 할 수 있으며, 거래과정에서 판매자(생산자)와 구매자의 협상력이 구매자에게로 옮겨질 수 있다. 본 논문이 제시한 비교쇼핑에이전트는 소비자 중심의 사이버 유통시대를 촉진하는데 일익을 담당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온라인상에서의 다차원적인 사용후기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의류제품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ustomer's Multidimensional Evaluation in Online Review :Focused on Apparel Products)

  • 서문식;안진우;이지은;박선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55-271
    • /
    • 2009
  • 많은 소비자들의 문제는 온라인을 통해서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해 명확한 지식을 획득하기 힘들다는 사실이다. 이에 소비자들은 온라인 사용후기를 통해 먼저 이용해 본 사람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행동을 취하는데, 이것은 일종의 온라인 구전으로 일면식도 없는 이들의 구전에 많은 소비자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결국, 온라인 기업들은 개별 이용자들의 사용후기를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사용후기의 관리를 통해 차후의 이용자들에게 보다 나은 정보와 제품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후기는 그 내용의 방향성 및 객관성 여부에 따라 그 영향의 정도가 다르다고 예상해 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성격을 충분히 고려한 다차원적인 온라인 사용후기의 영향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결과, 긍정적이고 객관적인 메시지의 경우 메시지에 대한 태도가 구매, 재방문, 구전의도 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이고 주관적인 메시지의 경우에는 메시지에 대한 태도가 제품태도를 거쳐 구매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메시지의 차원에 따라 제품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 구전의도, 그리고 재방문의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단순한 사용후기 관리가 아니라 사용후기의 다차원적인 특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 Study on Consumer Behavior and Preference towards Textile materials with Environment-Friendly treatment

  • Lee, Jung-Min;Kim, Jong-Jun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3호
    • /
    • pp.128-145
    • /
    • 2010
  • Nowadays people are turning to have a more intimate environment-friendly lifestyles. In the clothing industry they are focusing on making products that are more human-friendly and not harmful to the environment. In the midst of the spread of consumption research is being done to develop manufacturing textiles that do not induce pollution. For instance, advantages of the natural textile fibers, cotton, silk, and ramie, have been newly recognized in terms of environment-friendliness, Together with these fibers, the natural high molecular materials, such as chitosan and hyaluronic acid, have found new roles in the application sectors of human-friendliness and environment-friendliness. Products using these substances and processing methods can make the products more wearable, have high sensitivity, make people feel aesthetic appreciation for the products, and make them appreciate the value of a more healthier environment. In a survey according to subjects in their 20s and 30s, their preferences towards their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as well as their attitude towards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were determined as a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consumers that are more conscious about the interest of the environment as well as the problems concerning the environment were more intent on buying products that were environmentally-friendly. Women have shown more active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importance of the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in comparison with men. Generally,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preferred the feel of materials that were less than 1% concentration process than those of materials that were 1% concentration process. To increase the "rustly" feeling of the materials, it was found that 1% concentration process was suitable for manufacturing.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 사후관리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Policy Recommendations for Post-Monitoring System of the Energy Efficiency Labeling Program)

  • 임기추
    • 에너지공학
    • /
    • 제24권2호
    • /
    • pp.179-186
    • /
    • 2015
  •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의 시행내용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사후관리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후관리 위반정도가 심한 제품, 반복적 위반업체의 해당모델에 대해 지속적으로 포함하고, 판매시장에서 구입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후관리 대상모델에 대한 점검결과를 반영하여 위반 발생빈도에 따라 제품별 사후관리 점검방식의 개선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사후관리 점검결과 부적합률 또는 반복적 위반사례가 지속되는 경우 수시점검의 실시가 필요하다. 끝으로, 사후관리 점검결과에 대한 현재 관보 게재 및 보도자료 공개에서 사후관리 전과정에 대한 상세보고서까지 관계 유관기관에 공고 및 인터넷 공개로 확대하는 것이 요청된다.

물리적 상점과 가상 상점의 협업적 경로전략: 감각상품을 중심으로 (A Collaborative Channel Strategy of Physical and Virtual Stores for Look-and-feel Products)

  • 김진백;오창규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6권3호
    • /
    • pp.67-93
    • /
    • 2006
  • Some consumers prefer online and others prefer offline. What makes them prefer online or offline? There has been a lack of theoretical development to adequately explain consumers' channel switching behavior between traditional physical stores and new virtual stores. Through consumers' purchase decision processes, this study examined the reasons why consumers changed channels depending on purchase process stages. Consumer's purchase decision proces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pre-purchase stage, purchase stage, and post-purchase stage. We used the intention of channel selection as a surrogate dependent variable of channel selection. And some constructs, that is, channel function, channel benefits, customer relationship benefit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buying look-and-feel products, it was identified that consumers preferred virtual stores to physical stores at pre-purchase stage. To put it concretely, all constructs except channel benefits were more influenced to consumers at virtual stores. This result implied that information searching function, which is a main function at pre-purchase stage, was better supported by virtual stores than physical stores. In purchase stage, consumers preferred physical stores to virtual stores. Specially, all constructs influenced much more to consumers at physical stores. This result implied that although escrow service and trusted third parties were introduced, consumers felt that financial risk, performance risk, social risk, etc. still remained highly online. Finally, consumers did not prefer any channel at post-purchase stage. But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e. channel function, channel benefits, and customer relationship benefits, were significantly preferred at physical stores rather than virtual stores at post-purchase stage. So we concluded that physical stores were a little more preferred to virtual stores at post-purchase stage. Through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most consumers might switch channels according to purchase process stages. So, first of all, sales representatives should decide that what benefits should be given them through virtual stores at the pre-purchase stage and through physical stores at the purchase and post-purchase stages, and then devise collaborative channel strategies.

화장품(化粧品) 점포선택행동(店鋪選擇行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 백화점(百貨店)과 대형할인점(大形割引店)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osmetics Store Selection Behavior - Department Stores and Large-Scale Discount Stores -)

  • 선정희;유태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2호
    • /
    • pp.42-5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contents of department stores and large-scale discount stores of consumer on information source,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image in an effort to determine which variable gave a crucial impact on cosmetics department stores and large-scale discount stores selec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7 adult women visited department store and large-scale discount store in Busan.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nabach $\alph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n department stores and large-scale discount stores of consumers. 2. Shopping Orientation of consumers were categorized into 5 types, and information source of consumers did 3 types, and store image of consumers did 5 types. 3. Leisure utilization, store & brand loyalty, store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massmedia information, product & operate on, store atmosphere & salesperson and shopping convenienc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smetics department stores selection beavior. but convenient location, rationality & economy and sales promotion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smetics department stores selection beavior. 4. Rationality & economy and sales promo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smetics large-scale discount stores selection beavior. but convenient location, leisure utilization, store & brand loyalty, massmedia information, product & operate on, store atmosphere & salesperson and shopping convenienc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smetics large-scale discount stores selection beavior. 5. Age, income, business(-), convenient location(-), rationality & economy(-), leisure utilization, store & brand loyalty, store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massmedia information, store atmosphere & salesperson, shopping convenience and sales promotion(-) had a direct effect on cosmetics department stores selection beavior. Age, income, marriage, edu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department stores selection beavior through information source and store image, and information source did through store image, and shopping orientation did through store image. 6. Rationality & economy, convenient location(-), leisure utilization(-), store & brand loyalty(-), buying independence(-), personal information, massmedia information(-), product & operate on(-), shopping convenience(-) and sales promotion had a direct effect on cosmetics large-scale discount stores selection beavior. Age, income, marriage, edu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large-scale discount stores selection beavior through information source,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image, and information source did through store image, and shopping orientation did through store image.

고려상표군을 이용한 내구재 시장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자동차 시장에 대한 탐색적 분석방법 (A Study on the Market Structure Analysis for Durable Goods Using Consideration Set:An Exploratory Approach for Automotive Market)

  • 이서구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57-176
    • /
    • 2012
  • 시장구조 분석에서 흔히 사용되는 상표전환 자료는 비내구재 분석에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있으나 자동차 같이 사용연한이 장시간인 내구재의 경우에는 소비자의 상표에 대한 선호도가 변할 수 있어 상표전환 자료의 사용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경쟁을 잘 포착할 수 있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표간 경쟁 자료로써 고려상표군을 이용하여 자동차 시장의 구조를 Latent Class 군집분석을 활용한 탐색적 검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소비자 행동분석에 근거하여 상표간 경쟁의 근간을 이루는 고려상표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미국 자동차 시장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시장은 상표 원산지 효과에 의해 구분되었다. 즉, 미국 상표, 유럽 상표, 그리고 아시아 상표 등으로 시장이 구분되었다. 또한 각 시장구조 내 소비자들의 고려상표군 형성에 신뢰성/안전, 이미지/즐거움, 경제성 등의 편익과 성별, 소득 등 개인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대생의 소비성향이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on purchase motive of cosme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임새미;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67-28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소비성향이 화장품 구매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특성들을 분석함으로써 화장품 업체 및 연구 교육기관에게 마케팅 분야 발전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6개월 이내에 화장품을 구매한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실행한 설문조사로 총 506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으로 사용하였다. 소비성향은 평소 메이크업 정도, 평균 화장품 구매 횟수, 화장품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 주로 화장품을 구매하는 장소에 따라 특징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화장품 구매동기는 피부 최대 고민, 평소 메이크업 정도, 평균 화장품 구매 횟수, 화장품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 주로 화장품을 구매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구매동기 특징을 볼 수 있었는데, 결과적으로 소비성향의 하위요인별 자원절약 성향, 계획구매 성향, 타인의식 성향, 충동구매 성향은 화장품 구매동기의 제품변환 동기, 경제적 동기, 타인지향동기, 탐미추구 동기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의 소비방향과 구매행동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참조하여 고객심리를 이용한 제품 및 마케팅전략의 향후 나아가야 할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화장품 업체 및 연구기관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