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umer Based Brand Equity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7초

PB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특성이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신뢰 및 브랜드자산을 매개로 한 정책적 접근 (The Effect of Consumer's Perceptual Characteristics for PB Products on Relational Continuance Intention: Mediated by Brand Trust and Brand Equity)

  • 임채관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5호
    • /
    • pp.85-111
    • /
    • 2012
  • 본 연구는 대형할인점의 PB(Private Brand)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특성과 관계지속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서 설문조사에 의한 실증적 연구를 토대로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PB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특성으로서의 지각품질, 점포이미지, 브랜드이미지, 지각가치 등의 요인을 도출하고 이들 선행요인이 PB상품의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자산을 매개로 하여 관계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조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12년 1월부터 2012년 5월 말까지 경기 및 부산지역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은 전체 300부를 배부하여 253부(84.3%)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245부(81.6%)를 유효 표본으로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PB상품에 대한 선택속성으로서의 지각품질, 브랜드이미지 및 지각가치는 브랜드신뢰 및 브랜드자산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아가 이들 브랜드신뢰와 브랜드자산은 관계지속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PB상품을 판매하는 할인점의 점포이미지는 브랜드신뢰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브랜드자산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전반적으로 PB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품질, 점포이미지, 브랜드이미지 및 지각가치와 관계지속의도간의 관계에서 브랜드신뢰 및 브랜드자산 요인이 이들 관계를 매개하고 있음을 구조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PB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계지속의도를 극대화하고 재구매를 지속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PB상품의 품질향상, 브랜드이미지 개선 및 브랜드가치를 향상시키는 기본적 노력 위에 PB상품의 브랜드에 대한 신뢰와 자산가치를 극대화시키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소비자 경험이 브랜드 자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채 인식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s Consumer Experience on Brand Equity and Purchasing Intention -Focused on Interactive Digital Media Consents using Iris Recognition Techniques)

  • 김신엽;백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677-68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옥외에서의 디지털 미디어 확대에 따라 단순히 브랜드를 노출하는 것이 아닌 디지털 미디어와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경험의 과정을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적 요인과 감성적 요인, 상호작용성 요인으로 구성된 경험 요인은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신뢰도를 매개하여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나 경험 만족도는 구매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브랜드 신뢰도를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먼저 실험실의 연구 환경이 아닌 실제 운영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경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실무 연구 사례로서 의의가 있으며 둘째, 디지털 미디어 경험은 경험하는 순간 즉시적으로 브랜드 선호도와 신뢰도에 전이되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브랜드 자산 형성 요인임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쇼핑 경험가치 지각과 브랜드자산 및 점포충성도의 관계에 관한 비교 연구: 대형 할인점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hopping Values, Brand Equity, and Store Loyalt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 Case of Large Discount Store)

  • 황순호;오종철;윤성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209-237
    • /
    • 2012
  •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가격, 제품의 품질 등 실용적 가치 보다 쇼핑의 즐거움, 라이프스타일의 구현, 매력적인 점포쇼핑환경, 브랜드 애착심 등의 정서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단순히 상품만을 구매하기보다는 다양한 가치를 얻기 위해 쇼핑을 한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에서 제안되었다(안광호와 이하늘 2011; Mathwick 등 2001). 이렇듯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차원의 쇼핑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한 비교문화적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황순호 2010).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의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연구의 필요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소비자행동분야에서 소비자 경험이 중시되면서 소매점내 쇼핑경험가치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대형할인점 소매점포에서 고객들이 지각하는 쇼핑 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를 밝혀내고 이를 통해 점포 충성도와의 관계를 찾아내어 소매점의 쇼핑 경험가치와 관련된 시사점을 찾아내기 위한 국가 간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쇼핑가치와 유통브랜드 자산, 그리고 점포 충성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도시 (서울 과 북경) 소비자들을 표본프레임으로 설정하고,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중간 소비성향 차이 비교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의 소비성향차이를 검정한 결과 중국 소비자들은 심미적 소비성향과 상징적 소비성향의 평균값이 한국 소비자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 소비자들은 쾌락적 소비성향이 중국소비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형할인점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자산 지각에 대한 연구결과 중국에 비해 한국 소비자들이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이미지를 모두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에서 편의점과 할인점 이용 고객들이 지각하는 소매점에서의 쇼핑경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각각의 국가에 따라 각기 다른 쇼핑경험가치가 나타났다. 한국의 할인점에서는 소비자이익 가치, 심미성가치, 유희성 가치가 중요한 쇼핑가치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국의 할인점에서는 유희성 가치, 심미성 가치, 소비자이익 가치, 서비스우수 가치가 중요한 쇼핑경험가치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소비자들의 쇼핑경험가치과 브랜드자산을 바탕으로 한국의 대형할인점에 있어서 경험가치의 이론적 중요성에 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여 주며 충성도 제고에 있어서 브랜드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준다. 이와 더불어 유통의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 대형할인점의 국제화에 요구되는 한국과 중국 간의 고객 가치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즉, 해외유통전략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쇼핑가치에 기반한 현지화 전략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주며 국가차원에서의 차별적 유통전략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하여 준다.

  • PDF

원산지효과, 상표자산 및 상표충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미국, 중국, 한국의 비교분석 (The Relationship among Country of Origin, Brand Equity and Brand Loyalty: Comparison among USA, China and Korea)

  • 고은주;김경훈;김숙현;이구봉;추붕;장호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47-58
    • /
    • 2009
  • The marketing environment has become competitive to an extent that requires firms to target their products at markets that span national boundaries. However, competitive clout cannot be achieved in global consumer markets unless firms thoroughly understand and adequately respond to the core values and needs of those consumers. Brand equ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sets to a company. Especially in sportswear markets, brand equity is the crucial value added to a product by its brand name. Factors such as country of origin also influence customer's attitude towards brand equity.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ry of origin effect and brand equity, and how they influence consumers' loyalty for respective brands. This paper focused on the sports shoes market, because it is an increasing area of opportunity for world manufacture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1) Test the effect of country of origin on brand equity. (2) Test how brand equity influences consumers' brand loyalty. (3) Fi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country of origin and brand equity among the three countries. (4) Fi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country of origin and brand equity among the different lifestyles.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results, the hypotheses are concluded as the following: H1-a: Country image has positive influence on country of origin. H1-b: Product percep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country of origin. H2-a: Perceived quality has positive effect on brand equity. H2-b: Perceived price has positive effect on brand equity. H3: Country of origin has positive effect on brand equity. H4: Brand equity has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see Fig. 1). After data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cluded: sports shoes purchase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Korean, Chinese, and American consumers for favorite brand, purchased brand, purchased place, information usage, and favorite sports ga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extend the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among country of origin, brand equity and brand loyalty to the sports shoes market. Brand equity was proven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rand loyalty for all countries. The factors which can influence brand equity are different for different countries. The third finding of this paper is that we identified different three lifestyles, adventurer, follower, and laggard, for Korean, Chinese and American consumers. Without the nationality boundary, seeing the emergence of a new group of consumers who have similar preferences and buy similar brands is more important. All of the consumers consider brand equity to keep their brand loyalty. Perceived price is the only factor which can influence brand equity for adventurers; brand is more important for them. The laggards were not influenced by any factor. All of the factors expect perceived price are important for the followers. Marketing managers should consider brand equity when introducing their brand into a new market. Also localization is the basic strategy that all the sports shoes companies should understand. But as a global brand, understanding the same characteristics for each country is more important to build global strategy.

  • PDF

패션 콜레보레이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반응 -콜레보레이션 유형과 브랜드 민감성 효과- (Consumer Responses toward Fashion Collaboration Brands -Effects of Collaboration Type and Brand Sensitivity-)

  • 김은영;고순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058-1073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llaboration type and brand sensitivity on consumer responses toward fashion collaboration brands. For this study, six brands of fashion collaboration were selected by collaboration types: collaboration with same industry (Uniqlo-Jill Sander, H&M-Sonia Rykiel, and Levis-Jean Paul Gaultier) and collaboration with different industries (LG-Prada, Samsung-Armani, and LG-Levi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that mainly included brand sensitivity, consumer response (brand association, brand values, and purchase intention), and marketing strategic elements in the context of fashion collaboration. For collecting the data, respondents were asked to choose and assess a previously purchased brand. A total of 299 usable data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Korean consumers aged from 15 to 40 years old. The consumer response toward the fashion collaboration brand consisted of four factors: Emotional value, perceived quality, symbolic value, and brand associ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llaboration type had the main effect on emotional value, symbolic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Brand sensitivity had the main effect on brand association, emotional value, symbolic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There was also an interaction effect on emotional value. With respect to strategic marketing elements, product differentiation, premium pricing, and value pricing had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consumer responses; however, promo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onsumer responses (e.g., perceived quality, and emotional value). In addition, collaboration type or brand sensitivity moderated the effect of strategic marketing elements on consumer responses. This study discussed a managerial implication to develop a strategic brand alliance to manage brand equity in the fashion marketplace.

브랜드 전환 매트릭스를 적용한 캐주얼웨어 시장의 유행 현상 분석 (Analysis of Fashion Phenomenon in Casual Wear Market Applying Brand Switching Matrix)

  • 정인희;김상완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3호
    • /
    • pp.525-540
    • /
    • 2007
  • This study intended to construct the brand switching matrix in the Korean casual wear market and to analyze it in various aspects. 1,014 sample data were collected in Seoul area, a center of fashion retailing. Since the respondents cited over 200 brand names as their last 2 purchased casual wear brands, 15 most frequently-purchased brands were selected for constructing the brand switching matrix.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t was founded that the brand loyalty was dominant rather than brand switching in the casual wear market. Polo was identified as the leading brand in the market. Its brand equity, which was comprised of brand recognition, brand preference (loyalty),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was evaluated very high. Especially, the strength of Polo was the consumer's strong preference and the brand image of simplicity, naturalness, and neatness. After combining 15 brands into 6 groups based on the style and price, additional interpretation was performed on this 'trend switching matrix.' A transition of fashion trend in casual wear was observed. Applying the brand switching matrix on fashion products gave us much insight to the market.

  • PDF

보험회사의 사회적책임활동이 고객기반 브랜드자산과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SNS 활용수준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Insurance Company on Consumer Based Brand Equity and Intention to Pay Premium Price : Moderating Effect of the Level of SNS Usage)

  • 천부기;박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185-199
    • /
    • 2020
  • 본 연구는 보험회사의 차별적 마케팅전략으로써 CSR활동의 가능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보험회사의 CSR활동이 고객기반 브랜드자산과 고객의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보험가입 경험이 있는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최종 510부를 선정 및 분석한 결과, 경제적, 자선적 책임활동은 고객기반 브랜드자산에 영향을 주었고, 경제적, 환경적 책임활동은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고객기반 브랜드자산의 매개역할은 경제적, 자선적 책임활동과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 간의 관계에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CSR활동과 고객기반 브랜드자산 관계에서 SNS 활용수준의 조절효과는 경제적 책임활동에서 영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보험회사에서의 CSR 프로그램 효율성을 높이는 마케팅전략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축산물 브랜드에 대한 고객기반브랜드자산이 브랜드 신뢰, 고객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횡성한우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ustomer-Based Brand Equity(CBBE) for Stock Farm Products Brand on Brand Trust,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s - Focus on Hoengsung Hanwoo Brand -)

  • 권영국;김영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4-23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횡성한우를 중심으로 축산물 브랜드의 고객기반브랜드자산이 브랜드 신뢰와 고객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고찰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01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5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chi}^2=635.175$(p<0.001), df=233, CMIN/DF=2.726, GFI=0.863, NFI=0.859, CFI=0.903, TLI=0.885, RMSEA=0.068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고객기반브랜드자산의 하위 차원인 지각된 품질(${\beta}=.562$), 브랜드 이미지(${\beta}=.377$)는 브랜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브랜드 신뢰는 고객만족도(${\beta}=.525$)와 재구매의도(${\beta}=.669$)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결과를 통해 확고한 브랜드관리는 브랜드 신뢰를 형성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객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지역브랜드 한우를 지속적으로 구매하기 위한 효과적인 마케팅 관리의 전략 수립과 함께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istribution of Consumer Support for Underdog Brands: A Systematic Review of the Underdog Effect

  • HAN, Bangwool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7호
    • /
    • pp.119-127
    • /
    • 2022
  • Purpose: The underdog effect refers to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underdog who lacks resources and opportunities but has passion and determination. Extensive research has been investigated how the underdog effect affects distributing consum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heoretical basis on which the underdog effect is grounded by analysing the prior research in the underdog literatu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organizes the literature on the underdog effect by analyzing a total of 33 journals published in the past 16 years. Constructs and variables were extracted from the selected articles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Results: This literature review reveals that identity theories served as an overarching theoretical lens when examining the underdog effect. Additionally, the underdog effect was rooted in theories of justice and equity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dog brand positioning and consumer preference. Conclusions: This paper paves the way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rend analysis of underdog brand positioning. This article also provides an insightful interpretation and synthesis of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the impact of underdog effects on consumers' overall brand evaluations.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안경구매자의 구매결정요소 비교 (Comparison of Purchasing Decision Factors for Eyeglasses Buyer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김인규;이주희;박순희;유근창;이석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7-117
    • /
    • 2012
  • 목적: 안경 소비자의 안경에 대한 구매 결정 요인, 브랜드 자산, 구매만족 및 구전의도의 요소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1년 10월부터 12월까지 2개월 동안 안경원을 통해 배포된 총 43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조사는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였고, 자기기입법(self-admin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결과: 안경구매 소비자의 성별, 연령, 학력, 소득은 구매결정에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로 작용하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브랜드자산 인식에 차이, 구매만족 및 구전의도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안경구매 소비자의 성별, 연령, 학력, 소득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구매결정에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로 작용한다. 구매 만족은 연령에 의한 분류가 통계적 의미가 있으며 구전 의도는 소득수준에 따른 분류가 통계적으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