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nsumer Acceptance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3초

스마트 의류의 인식과 수용에 관한 질적 연구 : 56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The Qualitative Study for User Needs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ng: Focused on Women Aged 56 and Over)

  • 백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55-65
    • /
    • 2009
  • 스마트 의류란 생활전반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기술이 접목된 기능성이 있는 의복이다. 소비자의 인식과 필요성을 알기 위하여 브레인스토밍, 개인면접, 포커스그룹미팅, 그리고 컨텐츠 분석을 실시하였다. 10명의 인터뷰 면접자와 포거크그룹 패널은 뉴욕 이타카에 거주하는 56세에서 64세의 여성으로 구성되었다. 라이프스타일 및 연령에 따른 의생활 질문으로 자극을 한 후, 2개의 스마트 의류견본과 더불어 주제에 따른 토론과 분석을 하도록 하였다. 또한 보다 다양한 수준에서 비교를 위해 이타카 지역 밖에 거주하는 타켓 연령대에 근접하는 3명에 대한 개인 인터뷰도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노년 여성들의 스마트 의류에 대한 필요성은 확연하게 나타났다. 즉, 노화에 따른 시력저하 및 체온조절을 위한 디바이스가 요구되었으며, 의생활에서는 체형변화를 감안한 피트성이 높은 미적 디자인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디바이스들은 반드시 신중하게 구성되고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디자인으로 개발만 된다면 스마트 의류는 노년 여성의 자율성 증진을 이상적으로 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ABA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과 아미노산 함량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mino Acid Content of Cookies with GABA-Enhanced Brown Rice)

  • 정해원;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13-182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현미가루를 밀가루 중량기준 0%, 20%, 40%, 60%의 비율로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하고 반죽의 밀도, pH, 쿠키의 일반성분, 퍼짐성, 손실률, 팽창률, 색도, 경도, GABA 및 아미노산 함량, 기호도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조단백질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조회분 함량은 6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쿠키반죽의 밀도는 60% 첨가군이 가장 낮았고 pH는 가장 높았다. 퍼짐성은 헌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감소하였고 손실률과 팽창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40% 첨가군과 60% 첨가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a값은 현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b값은 감소하였다. 쿠키의 GABA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현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6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쌀의 제1제한 아미노산인 lysine의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쿠키의 기호도 검사 결과 표면색은 대조군보다 현미가루 첨가군이 낮은 점수로 평가된 반면 냄새, 맛,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현미가루를 60%까지 첨가하여 제품화 한다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관능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으면서 GABA 함량이 증진되어 기능성이 향상된 쿠키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금융소비자의 인터넷,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 금융기관 온라인 시스템 이용에 따른 만족과 구전에 미치는 효과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Satisfaction & WOM Regarding to Financial Institutions Internet and Smartphones Application On-line Usage of Financial Customers)

  • 전성기;권만우;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83-194
    • /
    • 2020
  • 최근 국내에서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인한 영향을 가장 심하게 받고 있다. 한편 금융기관의 온라인 시스템 이용은 계속 증가추세에 있고, 온라인 서비스의 편리성이 금융고객의 유치와 유지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소비자 욕구도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환경에서 선행연구를 통하여 추론한 온라인 금융의 고객접점인 고객의 신뢰를 증진시키면서 지각된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주고 이 내부변인들은 만족을 유도하며, 곧 구전과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가정하여 가설을 세웠고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으로써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금융기관 서비스 이용방법의 변화 트렌드에 맞춰 금융기관의 온라인 서비스 품질과 감성적 요인들이 이용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가설이 기각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등을 활용한 금융기관 온라인 서비스의 혁신이 오프라인 객장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온·오프라인 양측면의 활성화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칼슘 첨가 마늘 페이스트로 제조한 양갱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alcium-added Garlic Yanggaeng)

  • 전미라;김민희;손찬욱;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95-200
    • /
    • 2009
  • 마늘과 칼슘을 이용한 기능성과 고가치의 양갱을 제조하기 위하여 칼슘의 종류를 각각 달리하고, 마늘을 무취화 시킨 칼슘첨가 마늘페이스트를 제조한 후 양갱을 만들어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칼슘첨가 마늘 양갱은 산도가 무첨가군보다 증가하였으며, 당도가 다소감소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양갱의 색도 측정 결과는 칼슘 및 마늘의 첨가에 따라 L값이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의 L값과 유사한 군은 젖산칼슘, 탄산칼슘, 칼슘파우더이었다. 마늘양갱의 기계적 경도는 탄산칼슘, 젖산칼슘, 칼슘파우더 첨가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탄력성은 칼슘파우더를 첨가한 경우에 증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 역시 무첨가군에 비해 마늘양갱과 칼슘첨가 마늘양갱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탄산칼슘, 젖산칼슘, 칼슘믹스에서였다. 관능검사 결과 마늘 냄새, 마늘 맛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수용도에 있어서 탄산칼슘, 젖산칼슘, 구연산칼슘 첨가군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칼슘첨가 마늘 페이스트는 새로운 기능성 양갱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좋은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1920-30년대 한국의 이상적 '신여성' 이미지와 패션 (The Ideal Image and Fashion of the 'New Woman' in Korea in the 1920s and 1930s)

  • 이재윤
    • 복식
    • /
    • 제64권7호
    • /
    • pp.172-183
    • /
    • 2014
  • The term "new woman" (신여성 [Sinyeoseong], 新女性) refers to an idealized image of contemporary women during the so-called modern period in East Asia. In Korea, these "modern girls" were also referred to as modan (毛斷), or "cut-hair", reflecting changes in appearances that rejected the traditional value system in favor of "the new" in everyday life. Although it was used to refer to the perceived educated leaders of this new period, it also had the negative connotation of referring to frivolous women only interested in the latest fashion. The popular discourse on this "new woman" was constantly changing during this early modern period in East Asia, ranging from male-driven women's movements to women-driven liberal and socialist movements. The discourse often included ideals of what constituted female impeccability in women's domestic roles and enlightened views on housekeeping, yet in most cases the "new woman" was also expected to be a good wife and mother as well as a successful career woman. The concept of the "new woman" was also accompanied by an upheaval in women's social roles and their physical boundaries, and resulted in women repositioning themselves in the new society. The new look was a way of constructing their bodies to fit their new roles, and this again was rapidly reproduced in visual media. Newspapers, magazines, and plays had gained immense popularity by this time and provided visual material for the age with covers, advertisements, and illustrations. This research will explore the fashion of the "new woman" through archival resources, specifically magazines published in the 1920s and 1930s. It will investigate how women's appearances and the images they pursued reflected the ideal image of the "new woman." Fashion information providers, trendsetters, and levels of popular acceptance will also be examined in the context of the early stage of the fashion industry in East Asia, includ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dditionally, as the idea of the "new woman" was a worldwide phenomenon throughout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the effect of Japanese colonialism on the structure of Korean culture and its role as a cultural mediator will also be considered in how the ideal image of beauty was sought, and whether this was a western, colonial, or national preference.

유향성 황색계 호접란 육성 및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 (Breeding of Fragrant Yellow Phalaenopsis and Scent Pattern Analysis by GC/SAW Electronic Nose System)

  • 빈철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656-663
    • /
    • 2010
  • 노란색 유향성 호접란을 육성하기 위해 황화계 육종모본들을 이용하여 5종류의 교배조합이 작성되었으나 $Phal.$ Brother lawrence를 종자친으로 $Phal.$ Brother saragold를 화분친으로 한 교잡에서만 정상적인 교배와 꼬투리 형성 및 종자발아가 이루어졌다. 잡종후대로 약 500개체가 실생 조직배양을 통해 육성되어 온실에 심어졌으며 개화기에 화색과 화형 위주로 60여 우수개체가 1차 선발 되었고 다시 생육속도, 병충해저항성 등을 검정한 2차 선발에서 15계통이 육성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향기가 비교적 강하고 꽃 수명이 길어 시장에서 기호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6계통을 최종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이들 유향종들과 이들 교잡종들의 양친을 대상으로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분석이 이루어졌다. 전자코로 꽃 향기를 분석한 후 GC chromatogram peak와 이 피크를 이용한 Polar derivative diagram을 작성 비교한 결과 양친에서는 retention time 7s와 9s 사이, retention time 20s와 25s 사이에서 강한 peak가 나타났다. 양친과 비교하여 잡종후대의 선발계통에서는 retention time 7s와 9s 사이 즉 8s 근처에서 하나의 강한 피크가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양친에서 나타났던 retention time 20s와 25s 사이에서 강한 2개의 피크는 교잡후대 중 4개의 계통에서 이 피크가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2개의 계통에서는 오히려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VaporPrint^{TM}$ 이미지 분석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향기패턴을 시각적으로 이미지화 한 결과 더욱 명확하게 향기패턴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는데 마찬가지로 교잡양친과 교잡후대계통 모두에서 retention time 8s 근처에서 강한 peak가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이 피크의 성분은 노란색 유향종에서 주로 강하게 발현되는 향기성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피크는 향후 노란색 유향성 개체의 교잡선발 육종에 유용한 마커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바일 광고특성, 개인특성, 구매태도와 구매행동과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 소비자를 중심으로-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bile Advertisement Characteristics, Personal Characteristics, Purchasing Attitude and Purchasing Behavior -Focus on Youth Consumers-)

  • 배종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03-317
    • /
    • 2020
  • 스마트 폰 보급률의 확산과 다양한 기능의 발달로 모바일 광고라는 새로운 광고매체가 대두되었고, 일과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지는 청소년들을 타겟으로 한 다양한 모바일 광고가 활성화 되었다. Z세대로 불리우는 현대사회의 청소년은 연령대 중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시간이 가장 길고, 경기침체기에도 청소년 소비자는 경기불황을 이겨낼 수 있는 중요한 소비층이기 때문에 이들의 구매력을 목표로 하는 모바일 광고가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모바일 광고특성과 개인특성이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는 다시 구매행동으로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고등학생 3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광고특성과 브랜드 선호도에서 편의성의 인식이 높을수록 브랜드 선호도가 높았고, 둘째, 모바일 광고특성과 브랜드 신뢰도는 편의성, 정보성, 오락성의 인식이 높아질수록 수용도에 긍정적인 영향 미쳤다. 셋째, 청소년의 개인특성이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유행추구, 개성추구, 실용추구가 브랜드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구매태도와 구매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구매태도 중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신뢰도가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소비자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광고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치즈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 Traditional Korean Rice Cake) Admixed with Cheese Powder)

  • 김미진;정해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9-4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치즈가루를 여러 수준(0%, 6%, 12%, 18%, 24%)으로 첨가하여 설기떡을 제조하고 일반성분, 색도, 조직감, 표면구조, 관능적 특성 등을 평가함으로써 치즈 설기떡의 대중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치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난 반면,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설기떡의 색도측정에서 L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첨가군 사이에는 치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대조군보다 치즈가루 첨가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b값은 치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도, 응집성, 탄성 및 깨짐성은 대조군과 6%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12%, 18% 및 24%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면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은 비교적 균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작은 기공이 많이 보였으나 치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작은 기공들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치즈가루와 멥쌀가루가 엉켜져서 굵은 입자로 구성됨을 볼 수 있었다. 관능적 특성강도 검사 결과, 설기떡의 표면색, 냄새 및 느끼한 정도는 치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점수로 평가된 반면, 부드러운 정도와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치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표면색, 냄새, 맛은 각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조직감은 대조군이 가장 좋은 점수로 평가되었으며 치즈가루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각 첨가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설기떡 제조에 치즈가루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치즈가루 첨가로 인하여 대조군에 비해 부족해진 수분함량을 보충한다면 치즈가루를 첨가한 설기떡의 상품화도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Variation in Phenotypic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Sesquiterpene Lactones in Lettuce (Lactuca sativa L.) Germplasm

  • Sung, Jung-Sook;Hur, On-Sook;Ryu, Kyoung-Yul;Baek, Hyung-Jin;Choi, Susanna;Kim, Sang-Gyu;Luitel, Binod Prasad;Ko, Ho-Cheol;Gwak, Jae-Gyun;Rhee, Ju-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79-689
    • /
    • 2016
  • Lettuce is an important annual leafy vegetable and bitterness is its potent flavor character. Lettuce germplasm differ their phenotypic characters and sesquiterpene lactones (SLs) contents which are important for consumer's accepta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henotypic characters and SLs contents in one hundred lettuce germplasm in Jeonju, Korea. Twenty-three agro-morphological (16 qualitative and 7 quantitative) traits and two SLs (lactucin and lactucopicrin) contents were studied in these germplasm. Germplasm exhibited the variation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s. Average plant weight was 423.9 g with a range from 116.0 to 905.0 g. Lactucin content was varied from 19.7 (IT 294226) to $194.4{\mu}g/g$ (IT 294298) with an average concentration of $84.7{\mu}g/g$. Lactucopicrin ranged from 82.5 (IT 300134) to $2228.6{\mu}g/g$ (IT 294210) with an average concentration of $586.3{\mu}g/g$. Total SLs content was ranged from 120.1 (IT 300134) to 2286.6 (IT 294210)${\mu}g/g$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671.0{\mu}g/g$. Significant ($p{\leq}0.05$)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risp head and butter head germplasm for lactucin, lactucopicrin and total SLs content. Crisp head germplasm revealed the highest average lactucin ($112.9{\mu}g/g$), lactucopicrin ($734.8{\mu}g/g$) and total SLs content ($847.7{\mu}g/g$). Crisp head and leafy type germplasm exhibited more total SLs content (847.7 and $744.7{\mu}g/g$, respectively) than cos ($524.9{\mu}g/g$) and butter head type ($519.4{\mu}g/g$).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of the quantitative traits indicated that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axis accounted more than 91% of the total variation. This study revealed the ample genetic variation in the agro-morphological traits and SLs contents to support the selection for improved lettuce varieties.

GABA 함량이 높은 갈색 유색미를 이용한 차 개발 (Development of Brown Colored Rice Tea with High GABA Content)

  • 곽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201-1206
    • /
    • 2010
  • 갈색 유색미의 생산증대와 소비증진을 위한 방편으로 GABA 함량이 높은 갈색 유색미차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행하였다. 이를 위해 볶음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갈색 유색미를 볶은 후 색도와 GABA 함량을 측정하였고, 이들의 분쇄물을 열수로 침출한 후 갈색도, 탁도, 환원당, 가용성 고형분, 총 polyphenol, pH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170^{\circ}C$에서 10, 20, 30분간 볶은 갈색 유색미의 차의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갈색 유색미의 L값, a값, b값의 색도는 모두 감소하였고, GABA 함량도 낮아졌다. $170^{\circ}C$에서 10분간 볶은 경우의 GABA 함량이 6.83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220^{\circ}C$에서 11분간 볶은 경우가 가장 함량이 낮았다. 갈색유색미 차의 갈색도, 탁도, 환원당, 가용성 고형분, 총 polyphenol 함량은 갈색 유색미의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pH는 이와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30분간 볶아 만든 갈색 유색미 차의 색, 향, 맛,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다른 차보다 색, 향, 맛이 가장 강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에 GABA 함량도 높고 소비자의 기호도를 만족하는 차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GABA 함량이 높은 10분간 볶은 갈색 유색미와 30분간 볶은 갈색 유색미를 적절히 혼합하여 제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