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검색결과 825건 처리시간 0.027초

국내 지반조사 자료 정밀도 평가 (Evaluation of Precision of the Domestic Geotechnical Information Data)

  • 장용구;전흥수;채덕호;조완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3-60
    • /
    • 2014
  • 전국 건설 현장에서는 매년 막대한 양의 시추정보가 생산되고 있으며 건설 시공의 정보화와 더불어 시추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구축된 정보는 현재 15만공 이상이 되고 있으며 구축된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하여 그 활용성을 높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추정보의 정밀도 검증 시범지역을 선정하여 각 지역의 지층 심도, 지하수위, 표고를 정밀도 검증 항목으로 선정하고 현재 DB화되어있는 시추정보들의 정밀도를 정규분포를 통해 평가하였다. 지층정보의 경우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오차가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조사 시기에 따라서도 다른 정밀도를 나타내었다. 추가 연구를 통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추정보의 정밀도 검증을 수행할 경우, 구축된 자료의 신뢰성 확보로 지하공간정보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차원 지형공간정보모델기반 토공사 계획 및 관리에 미치는 영향요인 관리 애플리케이션 연구 (A Study on 3D Geospatial Information Model based Influence Factor Management Application in Earthwork Plan)

  • 박재우;윤원건;김석수;송재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25-135
    • /
    • 2019
  • In recent years, the digital transformation age represent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a universalization of digitalization across all industries, has become a reality. In the construction sector in 2018,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stablished the Smart Construction 2025 vision and established the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Roadmap' aiming to complete construction automation by 2030.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stage, field monitoring technology using drones is needed to support construction equipment automation and on-site control, and a 3D geospatial information model can be utilized as a base tool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arthworks work in order to manage changes in site conditions and improve communication between managers and workers in the earthworks plan, which has a considerable part in terms of construction time and cost as a single type of work. Based on this, field management procedures and applications were developed.

IT기술을 이용한 건설 정보관리 효율화 방안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 하용호;유승훈;윤학중;이세준;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513-518
    • /
    • 2001
  • 국내 건설프로젝트는 점차 대형화·복잡화 되어가고 있으며, 과거에 비해 더욱 방대한 양의 건설정보가 생성되어 공사관리에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건설프로젝트 관리체계 하에서는 현장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수집·관리함에 있어 대부분 이를 기술자들의 경험과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결국 이로 인한 현장 정보의 신뢰도 결여는 건설정보의 재 입력을 통한 공사관리 업무의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건설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분야에 걸쳐 컴퓨터를 기반으로 IT기술을 응용하는 제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어 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대한 문제점을 규명하고 건설정보 관리와 관련한 연구동향과 적용사례를 살펴본 후, 건설정보 수집 도구로써의 IT 기술 및 적용 분야를 분석하여 국내 현장 관리체계에 적합한 IT 기술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 건설산업에 있어 효율적 공사관리 및 실적자료의 구축을 위한 기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적응형 웹 사이트 구축을 위한 연관규칙 알고리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daptive Web Site Construction Algorithm)

  • 최윤희;전우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3호
    • /
    • pp.423-432
    • /
    • 2009
  • 컴퓨터의 보급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데이터의 유통은 증가하고 있으나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정보화 사회에서의 많은 정보 중에서 자신에게 알맞은 정보를 탐사하는 데이터 마이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편리한 인터넷 항해를 돕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적응형 웹 사이트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들에게 연관성이 있는 웹 페이지를 연결해 주는 적응형 웹 사이트 구축을 위해 웹 로그 분석을 통한 웹 사이트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을 발견하는 연관규칙 알고리즘의 개발에 있다. 데이터 마이닝의 기법 중에서 연관규칙은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의 행동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 사용 마이닝을 이용하여 웹 서버의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랜잭션을 구성하고,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을 발견하기 위한 의미 있는 문서만을 추출하여 추출된 문서를 대상으로 발견한 빈발 항목으로 연결리스트를 구성하며, 빈발 패턴을 찾아 웹 페이지에 적용하는 일련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특징은 첫째, 빈발패턴 발견을 위해 생성하는 연결리스트 이외에는 마이닝 과정에서 다른 중간생성물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간 사용면에 있어 효율적이다. 둘째, 기존의 연관규칙 알고리즘에 비해 데이터 베이스의 스캔 횟수를 줄이고, 시간복잡도를 개선하였다.

효과적인 극한지 건설환경 분석을 위한 현지 3차원 가시화 방안 연구 (A Study on Local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Methodology for Effec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Environments in Extreme Cold Regions)

  • 김의명;이우식;홍창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129-137
    • /
    • 2012
  • 극한(寒)지에서 건설사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건설의 초기 단계인 기획, 설계단계부터 지형자료와 같은 현지에 대한 기반 데이터가 반드시 요구되며, 필요에 따라 수시로 현지조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극한지는 지역적 특성상 대부분 원거리에 있고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는 특성이 있으며, 특히 남극과 같은 특수지역은 현지 조사를 수행하는 것 자체가 어렵고, 현지조사를 수행한다 해도 현지를 방문할 수 있는 인원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대부분은 현장을 모르고 건설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의사결정 오류나 설계 오류 등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고자 남극 장보고기지 건설지 주변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원격탐사를 통해 광역적 지형데이터와 노출지반 암석분류데이터를 구축하는 방법과 건설부지에 대해서는 정밀 지형데이터를 구축하는 방법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3차원 GIS 기술을 통해 이러한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가시화함으로써 모든 건설참여자가 현장 감각을 익히고 수시로 필요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건설사들이 실제 극한지 건설공사를 수행하고자 할 때 현지 공간데이터를 DB화하고 3차원 가시화함으로써 건설환경을 필요시 마다 분석할 수 있어 의사결정이나 설계 등 건설 업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공사현장 자재관리 자동화를 위한 영상기반 인공지능 모델개발 (Development of Imag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Automate Material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

  • 신윤수;김준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21-222
    • /
    • 2021
  • Conventionally, in material management at a construction site, the type, size, and quantity of materials are identified by the eyes of the worker. Labor-intensive material management by manpower is slow, requires a lot of manpower, is prone to errors, and has limitations in that computerization of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types and quantities is additionally required. Therefore, a method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type, size, and quantity of materials with a minimum number of workers is required to reduce labor costs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improve work efficienc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utomated convolution neural network(CNN) and computer vision technology-based rebar size and quantity estimation system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type, size, and quantity of materials through images.

  • PDF

Case Study : BIM for Planning, Simulating, and Implementing Complex Site Logistics

  • Kim, JongHoon;Cohen, Fernando Castillo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47-52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planning, simulating, and implementing complex site logistics in a headquarter office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in Silver Spring, MD. As part of the project a prefabricated 92ft structural tube steel pedestrian connector bridge was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buildings in the city of Silver Spring, MD. There were multiple significant challenges to deliver, offload, prepare, and install the connector bridge safely, on time, and with the minimum disturbances to the neighbors. BIM was of the foremost importance to visualize, simulate, analyze, improve, and communicate the site logistics plan from delivery to installation of the connector bridge. As a result of the effort, GC of the project was able to prepare a highly detailed plan, communicate it effectively to all stakeholders, and flawlessly execute the work as planned. This case study would provide a useful reference for contractors who are seeking a better planning method that enables generation of more accurate, implementable, optimized plans for complex site logistics.

건설현장 환경정보 수집을 위한 통합 센싱모듈 개발 (Integrated Sensing Module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Acquisition on Construction Site)

  • 문성현;이기택;황재현;지석호;원대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4권1호
    • /
    • pp.85-93
    • /
    • 2024
  •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건설현장의 운영을 위해 소음, 분진, 진동, 온·습도 등의 환경정보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상용 센서들은 단가가 상당하고, 건설현장과 같이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지 않아 쉽게 고장나거나 측정값이 불안정하며, 각 환경정보마다 개별적인 센서를 설치 및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비용/공간의 확보가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소음, 분진, 진동, 온·습도 등의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통합 센싱모듈을 개발했다. 구체적으로, 설치 비용을 상용 센서의 3.3% 수준으로 낮추고, 야외의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하며, 다수의 센서를 통합하여 설치와 관리가 편리하도록 개선했다. 또한, 건설현장에서 센싱모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GPS, LTE, 실시간 센싱(1분 이내)을 지원한다. 센싱모듈을 검증하기 위해 국가 인증 센서와 측정 성능을 비교했고, 데이터 통신을 검증하기 위해 7곳의 현장에 25회 방문하여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결과, 소음 측정 정확도 97.5% 및 정밀도 99.9%, 분진 측정 정확도 89.7%, 데이터 송신 안정률 93.5% 등 우수한 성능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현장으로부터 대량 및 양질의 환경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지원하여 (1) 관련 규정/법령의 준수 여부 평가, (2) 환경정보 시뮬레이션, (3) 환경대책 수립 등 현장 의사결정에 기여한다.

건설 위험 식별을 위한 정보 검색 (Information Retrieval in Construction Hazard Identification)

  • 김현수;이현수;박문서;황성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53-63
    • /
    • 2011
  • 유사 재해의 반복적 발생은 건설재해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유사 재해사례는 수행 예정인 작업의 위험을 발견하고 안전 대책을 수립하는데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과거 재해 사례들을 검색하여 안전관리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 많은 검색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현장의 다양한 조건과 반영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많은 검색을 수행하거나, 실제 현장의 안전관리 계획 수립 단계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안전관리 검색시스템들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정보 검색 방법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이용한 안전관리 단계별 적용이 가능하며 현장의 상황과 유사한 재해사례를 검색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검색 시스템은 BIM의 객체를 추출하여 이를 현장 정보 DB와 결합하여 질의를 구성한다. 그리고 질의를 과거 재해사례 DB와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과거 재해 사례를 찾고, 안전 관리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 관리자는 검색 결과를 얻기 위한 과도한 질의 생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BIM 객체를 통해 과거 유사한 재해가 발생한 현장의 좌표를 얻을 수 있어 위험을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3D Scanning Data Coordination and As-Built-BIM Construction Process Optimization - Utilization of Point Cloud Data for Structural Analysis

  • Kim, Tae Hyuk;Woo, Woontaek;Chung, Kwangryang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111-116
    • /
    • 2019
  • The premise of this research is the recent advancement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Technology and Laser Scanning Technology(3D Scanning).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mplify the potential offered by the combination of BIM and Point Cloud Data (PCD) for structural analysis. Today, enormous amounts of construction site data can be potentially categorized and quantified through BIM software. One of the extraordinary strengths of BIM software comes from its collaborative feature, which can combine different sources of data and knowledge. There are vastly different ways to obtain multiple construction site data, and 3D scanning i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collect close-to-reality construction site data.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mphasize the prospects of pre-scanning and post-scanning automation algorithms. The research aims to stimulate the recent development of 3D scanning and BIM technology to develop Scan-to-BIM. The paper will review the current issues of Scan-to-BIM tasks to achieve As-Built BIM and suggest how it can be improved. This paper will propose a method of coordinating and utilizing PCD for construction and structural analysis during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