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onant

검색결과 417건 처리시간 0.028초

Specifics of Speech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Zavitrenko, Dolores;Rizhniak, Renat;Snisarenko, Iryna;Pasichnyk, Natalia;Babenko, Tetyana;Berezenko, Natal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157-162
    • /
    • 2022
  • Cerebral palsy is one of the most serious forms of disorders of the psychophysical development of children, which manifests itself in disturbances of motor functions, which are often combined with speech disorders, other complications of the formation of higher mental functions, and often with a decrease in intelligence. The article will discuss the speech disorder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Emphasis is placed on some important aspects, which should bear in mind, investigating the problem of specifics of speech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particular at the heart of speech disorders in the cerebral palsy is not only damage to certain structures of the brain, but also the later formation or underdevelopment of those parts of the cerebral cortex, which are of major importance in linguistic and mental activity. This is an ontogenetically young region of the cerebral cortex, which is most rapidly developing after birth (premotor, frontal, temmono-temporal).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that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ve disturbances of phonemic perception. Often, children do not distinguish between hearing sounds, cannot repeat component rows, allocate sounds in words. At dysarthria, there are violations of pronunciation of vowel and consonant sounds, tempo of speech, modulation of voice, breathing, phonation, as well as asynchronous breathing, alignment and articulation.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main features and specifics of the speech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described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full development of language. Language disturbances in children's cerebral palsy depend on the localization and severity of brain damage. Great importance in the mechanism of speech disorders has a pathology that limits the ability of movement and knowledge of the world.

구글, 네이버, 다음 카카오 API 활용앱의 표준어 및 방언 음성인식 기초 성능평가 (A Basic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APP of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using Google, Naver, and Daum KAKAO APIs)

  • 노희경;이강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819-82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음성인식 기술의 현황을 소개하고 기본적인 음성인식 기술과 알고리즘을 먼저 알아본 뒤에, 음성인식 기술에 필요한 API의 코드 흐름에 대해 설명을 할 것이다. 음성인식 API중에 가장 유명한 검색엔진을 가진 구글, 네이버 다음 카카오 각각의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툴을 이용하여 음성인식이 가능한 앱을 만든다. 그런 뒤 성별, 나이별, 지역별에 따라 사람들의 표준어, 방언에 대한 음성인식 실험을 하여 음성 인식 정확도를 표로 정리한다. 방언에 대한 실험 지역으로는 방언의 정도가 심한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방언에 대해 실험하였고, 표준화된 방언를 기준으로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나온 문장에 따라 띄어쓰기, 받침, 조사, 단어를 기반으로 문장의 정확성을 확인하여 각각의 오류의 개수를 숫자로 표현하였다. 결과적으로 방언과 표준어의 음성 인식률에 따라 각각의 API의 장점에 대해서 소개하고, 어떤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할지에 대해 기본적인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Electromagnetic Field and the Poetry of Ezra Pound

  • Ryoo, Gi Taek
    • 영어영문학
    • /
    • 제57권6호
    • /
    • pp.939-958
    • /
    • 2011
  • Ezra Pound has an idea of poetry as a field of energy in which words interact with each other with kinetic energy. The energy field which Pound creates in his poem is analogous to the theory of electromagnetism developed by Michael Faraday and James Maxwell, who look upon the space around magnets, electric charges and currents not as empty but as filled with energy and activity. Pound argues that "words are charged with force like electricity," demonstrating that words charged with their own images or energies of positive or negative valence interact one another. This idea is similar to Faraday's concept of "line of force" which he used to represent the disposition of electric and magnetic forces in space. Pound's concept of "image" as an "intellectual and emotional complex in an instant" is remarkably consonant with the confluence of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they travel through space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waves. The instant profusion of conception and perception, much like that of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enables Pound to move beyond the sequential and linear hierarchy in time and space. Particularly, Maxwell's stunning discovery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s propagate in space at 'the speed of light' has allowed Pound a relativistic sense of escape from the limitations of Newtonian absolute time and space. Pound's poetry transcends any geographical space and sequential time by rendering and juxtaposing images simultaneously. Pound was fully aware of light and electricity fundamental to what he called his world "the electric world." Pound's experiments in Imagism and Vorticism can be considered an attempt to rediscover a place for poetry in the modern wor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lmost all the appliances that we think of today as modern were laid down in the closing decades of the 19th century and the first decades of the 20th century, in response to the availability of electromagnetic energy. This paper explores how Pound responded to the age of modern technology and science, examining his conception of "image" through his many analogies and similes drawn from electromagnetism. Pound's imagist poetics and poetry come to embody,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age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ut the principles of electromagnetism the electric age is based upon.

영국영어에서 치경공명자음 뒤의 /ju/ 분포 (Distribution of /ju/ After Coronal Sonorant Consonants in British English)

  • 황보영식
    • 영어영문학
    • /
    • 제56권5호
    • /
    • pp.851-87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ju/ in British English, especially after the coronal sonorants /n, l, /r/. The sequence /ju/ is related with vowels such as /u/, /ʊ/, and /ʊ/, and has occasioned a variety of conflicting analyses or suggestions. One of those is in which context /j/ is deleted if we suppose that the underlying form is /ju/. The context differs according to the dialect we deal with. In British English, it is known that /j/ is deleted always after /r/, and usually after /l/ when it occurs in an unstressed word-medial syllable. To check this well-known fact I searched OED Online (the 2nd Edition, 1989) for those words which contain /n, l, r/ + /ju, jʊ, u, ʊ, (j)u, (j)ʊ/ in their pronunciations, using the search engine provided by OED Online. After removing some unnecessary words, I classified the collected words into several groups according to the preceding sonorant consonants, the position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ress, of the syllable where /ju/ occu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eletion of /j/ depends on the sonorant consonant which /ju/ follows, the position where it occurs, and the presence of the stress which /ju/ bears; 2) though the influence of the sonorant consonants is strong, the position and stress also have non-trivial effect on the deletion of /j/, that is, the word-initial syllable and the stressed syllable prefer the deletion of /j/, and word-medial and unstressed syllable usually retain /j/; 3) the stress and position factors play their own roles even in the context where the effect of /n, l, r/ is dominant.

한글 두 글자 단어와 비단어의 명명에 글자 빈도, 글자 유형과 위치가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yllable frequency, syllable type and its position on naming two-syllable Korean words and pseudo-words)

  • 신명석;박창호
    • 인지과학
    • /
    • 제35권2호
    • /
    • pp.97-112
    • /
    • 2024
  • 한글에서 글자는 단어를 구성하는 주요한 단위이다. 본 연구는 한글 글자의 속성(글자의 빈도, 모음의 유형, 받침의 유무, 글자의 위치)이 단어와 비단어의 명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형혼합 효과분석 결과 단어는 첫째 글자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명명시간이 감소하였으며, 첫째 글자에 받침이 있을 때 명명시간이 감소하였다. 또한, 단어가 횡모음 유형일 때보다 종모음 유형일 때 명명 정확률이 더 높았으며 첫째 글자에 받침이 없을 때보다 있을 때 명명시간이 감소하였다. 비단어는 첫째 글자의 빈도와 둘째 글자의 빈도가 각각 증가할수록 명명시간이 감소하였으며 명명 정확률이 더 높았다. 비단어도 횡모음 유형일 때보다 종모음 유형일 때 명명 정확률이 더 높았다. 본 연구에서 둘째 글자의 빈도 효과는 단어와 비단어에 따라 달랐지만, 첫째 글자의 빈도효과와 모음 유형의 효과는 일관되게 나타났다. 시각단어재인에 대해 연구 결과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Functional MR Imaging of Working Memory in the Human Brain

  • Dong Gyu Na;Jae Wook Ryu;Hong Sik Byun;Dae Seob Choi;Eun Jeong Lee;Woo In Chung;Jae Min Cho;Boo Kyung Ha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1권1호
    • /
    • pp.19-24
    • /
    • 2000
  • Objectiv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brain anatomy associated with verbal and visual working memory,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performed. Materials and Methods: In ten normal right handed subjects, functional MR images were obtained using a 1.5-T MR scanner and the EPI BOLD technique. An item recognition task was used for stimulation, and during the activation period of the verbal working memory task, consonant letters were used. During the activation period of the visual working memory task, symbols or diagrams were employed instead of letters. For the post-processing of images, the SPM program was used, with the threshold of significance set at p < .001. We assessed activated brain areas during the two stimulation tasks and compared the activated regions between the two tasks. Results: The prefrontal cortex and secondary visual cortex were activated bilaterally by both verbal and visual working memory tasks, and the patterns of activated signals were similar in both tasks. The superior parietal cortex was also activated by both tasks, with lateralization to the left in the verbal task, and bilaterally without lateralization in the visual task. The inferior frontal cortex, inferior parietal cortex and temporal gyrus were activated exclusively by the verbal working memory task, predominantly in the left hemisphere. Conclusion: The prefrontal cortex is activated by two stimulation tasks, and this is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central executive. The language areas activated by the verbal working memory task may be a function of the phonological loop. Bilateral prefrontal and superior parietal cortices activated by the visual working memory task may be related to the visual maintenance of objects, representing visual working memory.

  • PDF

한국어 음소 최소대립쌍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초성 자음을 중심으로 (A quantitative study on the minimal pair of Korean phonemes: Focused on syllable-initial consonants)

  • 정지은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1호
    • /
    • pp.29-4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음소의 최소대립쌍 출현 양상에 대해 계량언어학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최소대립쌍은 한 언어에서 음소의 체계를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기능부담량의 측정에도 중요한 척도가 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한국어 음소의 최소대립쌍에 대한 전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위해 "우리말샘"의 표제어 325,715개의 발음을 대상으로 초성 위치에서의 자음 최소대립쌍의 개수를 절대수치와 상대수치로 산출하고, 최소대립쌍을 이루는 두 단어의 품사 관계에 대해서 분석했다. "우리말샘"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최소대립쌍 분석은 기본적으로 사전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했고, 한국어 사전 중 규모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소대립쌍은 총 153가지, 337,135개였다. 개수가 많은 음소 쌍(/ㅅ-ㅈ/, /ㄱ-ㅅ/, /ㄱ-ㅈ/, /ㄱ-ㅂ/, /ㄱ-ㅎ/)은 평음의 비중이 높고, 개수가 적은 음소 쌍(/ㅃ-ㅋ/, /ㄹ-ㅃ/, /ㅉ-ㅋ/, /ㄸ-ㅋ/, /ㅆ-ㅋ/)은 경음의 비중이 높았다. 최소대립쌍 형성에 많은 역할을 담당하는 음소를 개별 음소 단위에서 살펴보면 /ㄱ, ㅅ, ㅈ, ㅂ, ㅊ/ 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경구개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이 특징적이었다. 삼지적 상관속을 이루는 장애음의 최소 대립쌍 관계에도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최소대립쌍의 절대수치와 상대수치의 상관계수는 0.937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최소대립쌍을 이루는 두 단어의 품사는 '명사-명사'의 최소대립쌍이 70.25%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동사-동사' 쌍이 14.77%로 나타나 이 두 유형이 전체 85% 이상을 차지했다. 초성 최소대립쌍의 품사 일치율은 87.91%로 나타나 최소대립쌍은 의미 형태적으로도 비슷한 범주로 묶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음소와 관련된 기초 자료로서 국어학, 언어 병리학, 언어 교육, 언어 습득, 음성 공학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발음 교육

  • 이영길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7년도 7월 학술대회지
    • /
    • pp.258-259
    • /
    • 1997
  • 1. 외국어로서의 영어 교육에 있어서 발음 지도는 어느 정도의 영어 수준에 도달하기를 기다릴 필요없이 가능한 한 저학년에서부터 직접 지도되어야 한다. 즉 영어 교육은 영어 발음 교육부터 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어느 정도의 수준 높은 문법 이론을 알고 있는 (대)학생들이라도 발음에 관한 한 많은 연습이 요구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바꿔 말하면 이러한 학생들은 그들이 갖고 있는 문법 지식만큼 발음에 대한 적극적인 구사력도 당연히 발휘할 수 있어야할 것이다. 영어 교육을 강조할 때 문장 구조와 어휘 교육이 중요시된다면 발음 또한 조기 교육 단계부터 영어 교육 프로그램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인식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제일 처음 무엇을 어떻게 시작 해야할 것인가\ulcorner 흔히 음소(phoneme)라는 말의 최소 단위부터 시작하여 자음군(consonant cluster)과 같은 음 결합체를 가르친 다음 단어 강세(word stress)를 다루며, 마지막으로 문장 강세(sentence stress), 리듬(rhythm), 억양(intonation) 등을 포함함 이음말(connected speech)을 가르치는 순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이론상 논리적이긴 하지만 실제로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우리 학생들에게는 얼마나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 매우 의심스렵다. 오히려 가장 유익한 순서는 기본 억양 과 같은 적절한 표현과 함께 주어진 화맥 속에서의 의미 있는 문장 강세를 가르치고 그 다음에 그에 수반되는 중요한 소리의 발음을 지적해 주는 것이다. 예를 들면 Give it to him과 같은 구조를 교사가 구두로 제시할 때 단어 하나 하나를 강조한 나머지 너무 천천히 말하게 되면 전체 문장의 발음을 오히려 어렵게 만들어버린다. 중요한 것 은 기본 의사소통에 필요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는 일이다. 개별 단어에 부수되는 문제점은 '보충 지도'(remedial teaching)로 교정이 가능하다. 2. 우리의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현황을 고려할 때 비록 발음 지도가 쉬운 일은 아니지만 미래 지향적 결과를 기대할 때 우선 두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로 현재의 교육대학교의 교사양성에 있어서 영어교육의 교과과정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1981년도부터 교육대학교가 4년제가 명실공히 영어과로 운영되기는 수년밖에 되지 않는 실정이다. 현재의 교과과정도 현장에서 영어교육을 담당하기에는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영어발음에 관한 뚜렷한 과정이 없는 실정이다. 혼히 외국인 강사가 담당하는 이른바 영어회화 시간이 곧 발음 시간도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이것은 전적으로 별개의 문제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발음 교육을 할 수 있는 교과과정이 되기를 바란다. 3. 앞에서 언급했듯이 4년제 이전에 졸업한 현직 교사들은 재학 중 영어 발음에 관한 지도를 받아본 적이 없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들 교사들에게 적절하고도 충분한 발음 교육을 시켜야 하는 연수 과정이다. 소리로 듣고 말해야 하는 초둥 영어 교육에 서 교사의 발음에 관한 지식은 그 중요성을 아무리 과대평가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문제는 연수 내용이다. 적어도 현재까지 실시되어 온 초둥영어교육 담당자 연수 교과목 내용은 핵심을 찾기 힘들 정도로 교파목이 다양하고 산만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영어발음 지도에 관한 과목도 마지못해 끼워 넣는 식의 과목 배정이다. 여기에 고작 할당된 시간은 많아야 4시간 정도이다. 대학에서 한 학기에도 부족한 영어 발음을 아 무런 배경 지식도 없는 초등 교사들에게 4시간 동안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ulcorner

  • PDF

Articulatory Attributes in Korean Nonassimilating Contexts

  • Son, Minjung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1호
    • /
    • pp.109-121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several kinematic properties of the primary articulator (the tongue dorsum) and the supplementary articulator (the jaw) in the articulation of the voiceless velar stop (/k/)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We examined in particular the spatiotemporal properties (constriction duration and constriction maxima) from the constriction onset to the constriction offset by analyzing a velar (/k/) followed by the coronal fricative (/s/), the coronal stop (/t/), and the labial (/p/) in across-word boundary conditions (/k#s/, /k#t/, and /k#p/). Along with these measurements, we investigated intergestural temporal coordination between C1 and C2 and the jaw articulator in relation to its coordination with the articulation of consonant sequences. The articulatory movement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electromagnetic midsagittal articulometry (EMMA). Four native speakers of Seoul Korean participated in the laboratory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a velar (/k/) in C1 was not categorically reduced. Constriction duration and constriction degree of the velar (/k/) were similar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k#s/=/k#t/=/k#p/). This might mean that spatiotemporal attributes during constriction duration were stable and consistent across different contexts, which might be subsequently associated with the nontarget status of the velar in place assimilation. Second, the gestural overlap could be represented as the order of /k#s/ (less) < /k#p/ (intermediate) < /k#t/ (more) as we measured the onset-to-onset lag (a longer lag indicated shorter gestural overlap.). This indicates a gestural overlap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may not be constrained by any of the several constraints including the perceptual recoverability constraint (e.g., more overlap in Front-to-Back sequences compared to the reverse order (Back-to-Front) since perceptual cues in C1 can be recovered anytime during C2 articulation), the low-level speech motor constraint (e.g., more overlap in lingual-nonlingual sequences as compared to the lingual-lingual sequences), or phonological contexts effects (e.g., similarity in gestural overlap within nonassimilating contexts). As one possible account for more overlap in /k#t/ sequences as compared to /k#p/, we suspect speakers' knowledge may be receptive to extreme encroachment on C1 by the gestural overlap of the coronal in C2 since it does not obscure the perceptual cue of C1 as much as the labial in C2. Third, actual jaw position during C2 was higher in coronals (/s/, /t/) than in the labial (/p/). However, within the coronals, there was no manner-dependent jaw height difference in C2 (/s/=/t/). Vertical jaw position of C1 and C2 was seen as inter-dependent as higher jaw position in C1 was closely associated with C2. Lastly, a greater gap in jaw height was associated with longer intergestural timing (e.g., less overlap), but was confined to the cluster type (/kp/) with the lingual-nonlingual sequence.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 jaw articulation was independent from coordinating primary articulators in gestural overlap in some cluster types (/k#s/, /k#t/) while not in others (e.g., /k#p/). Overall, the results coherently indicate the velar stop (/k/) in C1 was robust in articulation, which may have subsequently contributed to the nontarget status of the velar (/k/) in place assimilation processes.

읽기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 관한 연구 (A Functional MR Imaging Study of Reading)

  • 유재욱;나동규;변홍식;최대섭;문찬홍;이은정;정우인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3권1호
    • /
    • pp.78-83
    • /
    • 1999
  • 목적: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읽기 과제에서 활성화되는 뇌영역을 알아보고, 읽기 과제의 종류에 따른 활성화 영여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오른손잡이 자원자 9명(남자 7명, 여자 2명)을 대상으로 한글의 자음, 가짜단어, 단어를 속으로 읽도록 하면서 기능적 영상을 얻었다. 1.5T 초전도 자기공명여앙장치에서 EPI의 BOLD 기법을 이용하여 20 절편의 활성화 영상을 얻었고(gradient echo single shot EI, TR/TE 3000/60, flip angle $90^{\circ}$, matrix $64{\times}64$, 5mm thickness, no slice gap), 영상후처리는 SPM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2번가의 활성기와 3번의 휴식기를 번갈아 시행하였고 스캔 시간은 각각30초였다. 유의수준 p<0.01을 기준으로 자극 과제에 따라 활성화된 뇌지도를 얻어 활성화 영역을 육안으로 비교 분석하여다. 결과: 9명 모두에서 성공적으로 활성화 영상을 얻었고, 활성화 신호는 모든 자극과제에서 후두엽의 화성화를 제외하고 좌측으로 편재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의 여러 부위에서 활성화 신호가 나타났다. 가짜단어와 자음을 읽은 경우가 단어를 읽은 경우에 비하여 언어영역의 활성화가 많았다. 가짜단어를 읽은 경우가 자으을 읽은 경우에 비해 활성화 신호가 좌측으로 편재화 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자음이나 단어형태를 읽는 것 만으로도 언어와 관련된 여러 뇌영역에 활성화가 유도됨을 확인하였으며, 자음이나 가짜단어를 읽는 것이 익숙한 단어를 읽는 것에 비해 활성화 신호가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