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syllable frequency, syllable type and its position on naming two-syllable Korean words and pseudo-words

한글 두 글자 단어와 비단어의 명명에 글자 빈도, 글자 유형과 위치가 미치는 영향

  • Myong Seok Shin (Department of Psych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angHo Park (Department of Psych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4.06.05
  • Accepted : 2024.06.07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yllable-level variables such as syllable frequency, syllable (i.e. vowel) type, presence of final consonants (i.e. batchim) and syllable position influence naming of both words and pseudo-words. The results of the linear mixed-effects model analysis showed that, for words, naming time decreased as the frequency of the first syllable increased, and when the first syllable had a final consonant. Additionally, words were named more accurately when they had vertical vowels compared to horizontal vowels. For pseudo-words, naming time decreased and accuracy rate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the first or the second syllable increased. Furthermore, pseudo-words were named more accurately when they had vertical vowels compared to horizontal vow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the frequency of the second syllable had differential effects between words and pseudo-words, the frequency of the first syllable and the syllable type had consistent effects for both words and pseudo-word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concerning visual word recognition processing.

한글에서 글자는 단어를 구성하는 주요한 단위이다. 본 연구는 한글 글자의 속성(글자의 빈도, 모음의 유형, 받침의 유무, 글자의 위치)이 단어와 비단어의 명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형혼합 효과분석 결과 단어는 첫째 글자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명명시간이 감소하였으며, 첫째 글자에 받침이 있을 때 명명시간이 감소하였다. 또한, 단어가 횡모음 유형일 때보다 종모음 유형일 때 명명 정확률이 더 높았으며 첫째 글자에 받침이 없을 때보다 있을 때 명명시간이 감소하였다. 비단어는 첫째 글자의 빈도와 둘째 글자의 빈도가 각각 증가할수록 명명시간이 감소하였으며 명명 정확률이 더 높았다. 비단어도 횡모음 유형일 때보다 종모음 유형일 때 명명 정확률이 더 높았다. 본 연구에서 둘째 글자의 빈도 효과는 단어와 비단어에 따라 달랐지만, 첫째 글자의 빈도효과와 모음 유형의 효과는 일관되게 나타났다. 시각단어재인에 대해 연구 결과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4단계 BK21 사업(전북대학교 심리학과)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다(No. 4199990714213).

References

  1. 강범모, 김흥규 (2009). 한국어 사용 빈도. 서울: 한국문화사.
  2. 권유안 (2012). 첫 음절 토큰 빈도와 타입 빈도가 단어 및 유사 단어 어휘 판단 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4(4), 315-333.
  3. 권유안 (2014). 명명 과제에서 음절 토큰 및 타입 빈도 효과. 인지과학, 25(2), 91-107.
  4. 권유안 (2020). 한국어 시각적 단어 재인에서 음절 빈도 효과의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2(4), 291-303.
  5. 김민식, 정찬섭 (1989). 한글의 자모구성 형태에 따른 자모 및 글자 인식. 인지과학, 1(1), 27-75.
  6. 김정오 (2010). 명명 (naming) 과제의 분석과 뇌 영상 연구에 대한 함의.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2(1), 1-8.
  7. 김준우, 이솔빈, 김상엽, 남기춘 (2023). 어휘 재인에서의 음절 빈도 효과: 한국어 단어와 어절에 대한 회귀 분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5(4), 303-335.
  8. 민수영, 이창환 (2018). 한글 단어 재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음절 형태를 중심으로. 인지과학, 29(4), 193-220.
  9. 박창호. (2006). 낱자의 집단화가 글자 지각에 미치는 영향: 글자 사용 여부 판단 과제에서.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18(3), 173-185.
  10. 신명석, 박창호 (2023). 한글 두 글자 단어와 비단어의 어휘판단에 글자 빈도, 글자 유형, 받침이 미치는 영향: KLP 자료의 분석. 인지과학, 34(4), 277-297.
  11. 이고은, 이혜원 (2020). 시각적 단어 재인에서 공간주의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2(4), 305-318.
  12. 이광오 (1993). 한글 단어인지과정에서 표기법이 심성어휘집의 구조와 검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5, 26-39.
  13. 이광오 (1995). 자모 대체 수행에 나타난 글자의 내부구조와 음절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7(1), 57-69.
  14. 이광오, 구민모, 남기춘, 박기남, 박태진, 배성봉, 이창환, 이혜원, 조증열 (2017). 한국어 심성어휘집 연구를 위한 어휘판단 데이터베이스.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9(4), 395-410.
  15. 이혜원, 임유경 (2005). 한글단어재인에서 시각조건에 따른 단어빈도효과 연구. 교육심리연구, 19(3), 821-834.
  16. 진란이, 이효선, 최원일 (2018). 그들은 정말 이웃인가?: 한글 시각 단어재인 과정의 음절이웃효과 부재.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0(3), 211-223.
  17. 최양규. (1986). 음절수가 한글 단어재인 반응 시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Alvarez, C. J., Carreiras, M., & De Vega, M. (2000). Syllable-frequency effect in visual word recognition:Evidence of sequential-type processing. Psicologica, 21(2), 341-374.
  19. Bates, D., Maechler, M., & Bolker, B (2012). lme4: Linear mixed-effects models using S4 classes (R package version 0.999999-0). Retrieved from http://CRAN.R-project.org/
  20. Becker, C. A. (1976). Allocation of attention during visual word recogni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4), 556-566.
  21. Carreiras, M., Alvarez, C. J., & De Vega, M. (1993). Syllable frequency and visual word recognition in Spanish.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2(6), 766-780.
  22. Carreiras, M., & Perea, M. (2004). Naming pseudowords in Spanish: Effects of syllable frequency. Brain and Language, 90(1-3), 393-400.
  23. Coltheart, M., Rastle, K., Perry, C., Langdon, R., & Ziegler, J. (2001). DRC: A dual route cascaded model of visual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aloud. Psychological Review, 108(1), 204-256.
  24. Conrad, M., & Jacobs, A. (2004). Replicating syllable frequency effects in Spanish in German: One more challenge to computational models of visual word recognition. Language and Cognitive Processes, 19(3), 369-390.
  25. Gernsbacher, M. A. (1984). Resolving 20 years of inconsistent interactions between lexical familiarity and orthography, concreteness, and polysem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13(2), 256-281.
  26. Kuznetsova, A., Brockhoff, P. B., & Christensen, R. H. B. (2013). lmerTest: Tests for random and fixed effects for linear mixed effect models (lmer objects of lme4 package). R package version 2.0-3 [computer software].
  27. Levelt, W. J., Roelofs, A., & Meyer, A. S. (1999). A theory of lexical access in speech production.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22(1), 1-38.
  28. Macizo, P., & Van Petten, C. (2007). Syllable frequency in lexical decision and naming of English words. Reading and Writing, 20, 295-331.
  29. McCann, R. S., Folk, C. L., & Johnston, J. C. (1992). The role of spatial attention in visual word process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8(4), 1015-1029.
  30. McCann, R. S., Remington, R. W., & Van Selst, M. (2000). A dual-task investigation of automaticity in visual word process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6(4), 1352-1370.
  31. Monsell, S., Patterson, K. E., Graham, A., Hughes, C. H., & Milroy, R. (1992). Lexical and sublexical translation of spelling to sound: Strategic anticipation of lexical statu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8(3), 452-467.
  32. Perea, M., & Carreiras, M. (1996). Efectos de frecuencia silabica y vecindad ortografica en la pronunciacion de palabras y pseudopalabras [The effects of syllabic frequency and orthographic neighborhood on the pronunciation of words and pseudo words]. Psicologica, 17(3), 425-440.
  33. Perea, M., & Carreiras, M. (1998). Effects of syllable frequency and syllable neighborhood frequency in visual word recogni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4(1), 134-144.
  34. R Core Team. (2022).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Retrieved from http://www.r-project.org/
  35. Simpson, G. B., & Kang, H. (2004). Syllable processing in alphabetic Korean. Reading and Writing, 17, 137-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