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idium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1초

Occurrence of Black Mold on Sweet Pepper Fruits Caused by Alternaria alternata in Korea

  • Wan-Gyu Kim;Gyo-Bin Lee;Sun-Im Yun;Jae-Taek Ryu
    • 식물병연구
    • /
    • 제30권1호
    • /
    • pp.13-19
    • /
    • 2024
  • In July 2022 and 2023, black mold symptoms were observed sporadically on fruits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plants grown in a greenhouse located in Suwon, Korea. The incidence of black mold on the fruits was 5-24% (average 14.8%) in variety SP-504 (yellow and elongate type) and 1-8% (average 5%) in variety SP-505 (red and round type) investigated. Four single-conidium isolates of Alternaria sp. obtained from the diseased fruits were identified as Alternaria alternata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phyogenetic analyses. The isolates were tested for pathogenicity to sweet pepper fruits of varieties SP-504 and SP-505 through artificial inoculation. The isolates mostly induced large lesions on fruits of the two varieties in the wound inoculation, but only two isolates small lesions on fruits of the variety SP-504 in the non-wound inoculation. No lesions formed on fruits of the variety SP-505 in the non-wound inoculation. The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susceptibility of sweet pepper fruits to the disease differs between the varieties. The symptoms induced by pathogenicity tests with the isolate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on fruits from the greenhouse investigated.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alternata causing black mold on sweet pepper fruits in Korea.

탄저병균 Colletotrichum dematium f. sp. capsicum에 감염된 고추의 병태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y of Red Pepper Plant Infected with Colletotrichum dematium f. sp. capsicum)

  • 이상범;정봉구;심재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85-192
    • /
    • 1986
  • 분생포자는 발아관의 수에 따라 포자내에 격막이 형성된다. 저항성 품종(금장 2호, 홍일품)과 감수성 품종(하늘초, 새고추) 간의 부착기 형성율은 큰 차이가 없었고 부착기의 모양은 엔형, 타엔형 및 성장체 등 다양하며 접종 12시간에서 그 형성율은 최고에 달했다. 접종 24시간에 저항성 품종의 잎과 열매에서는 과민성인 작은 갈색병반이 관찰되면서 표피하 조직세포내에 심한 원형질분리가 일어났으나 감수성 품종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큰 병반으로 급속히 진전 확대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사가 하부조직으로 확산되었고 분생자시 및 강모의 출현은 접종 96시간 후에 관찰되었다. 감염종자의 종피는 심하게 붕괴되었을 뿐만 아니라 침입균사도 관찰되었고 배유와 배는 심한 원형질분리를 일으켰다.

  • PDF

Colletotrichum acutatum, C. dematium 및 C. gloeosporioides의 분생포자발아(分生胞子發芽) 및 부착기(附着器) 형성(形成)에 미치는 온도(溫度)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Conidium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of Colletotrichum acutatum, C. dematium and C. gloeosporioides)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4-229
    • /
    • 1993
  • C. dematium 과 C. gloeosporioides의 포자발아 및 발아관 신장에 알맞는 온도는 $20{\sim}30^{\circ}C$이며 부착기는 $20^{\circ}C$에서 형성이 잘 되었으나 포자의 발아는 늦었다. $30^{\circ}C$에서는 포자발아와 발아관의 신장이 양호하였으나 부착기의 형성은 낮았다. C. acutatum의 포자발아에 알맞는 온도는 $20{\sim}30^{\circ}C$이었으나 발아관의 신장이 $25^{\circ}C$에서 촉진되었다. 분생포자는 격막이 생기고 발아관 대신 $1{\sim}2$개의 딸세포가 포자화되었으며, 제2차 포자를 형성하면서 수지상(樹枝狀)으로 되었다. 부착기는 포자의 발아에 의해서 드물게 형성되었으며 알맞는 온도는 $20{\sim}30^{\circ}C$이었다. 그러나 $30^{\circ}C$에서 발아된 포자는 부착기의 형성능력이 없었다. Colletotrichum acutatum, C. dematium 및 C. gloeosporioides 등의 분생포자 발아 및 부착기 형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에 관해서 논의(論議)하였다.

  • PDF

MoRBP9 Encoding a Ran-Binding Protein Microtubule-Organizing Center Is Required for Asexual Reproduction and Infection in the Rice Blast Pathogen Magnaporthe oryzae

  • Fu, Teng;Park, Gi-Chang;Han, Joon Hee;Shin, Jong-Hwan;Park, Hyun-Hoo;Kim, Kyoung S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564-574
    • /
    • 2019
  • Like many fungal pathogens, the conidium and appressorium play key roles during polycyclic dissemination and infection of Magnaporthe oryzae. Ran-binding protein microtubule-organizing center (RanBPM) is a highly conserved nucleocytoplasmic protein. In animalia, RanBPM has been implicated in apoptosis, cell morphology, and transcription. However, the functional roles of RanBPM, encoded by MGG_00753 (named MoRBP9) in M. oryzae, have not been elucidated. Here, the deletion mutant ΔMorbp9 for MoRBP9 was generated via homologous recombination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of this gene. The ΔMorbp9 exhibited normal conidial germination and vegetative growth but dramatically reduced conidiation compared with the wild type, suggesting that MoRBP9 is involved in conidial production. ΔMorbp9 conidia failed to produce appressoria on hydrophobic surfaces, whereas ΔMorbp9 still developed aberrantly shaped appressorium-like structures at hyphal tips on the same surface, suggesting that MoRBP9 is involved in the morphology of appressorium-like structures from hyphal tips and is critical for development of appressorium from germ tubes.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d that MoRBP9 played a pleiotropic role in polycyclic dissemination and infection-related morphogenesis of M. oryzae.

Alternaria tenuissima에 의한 칡 점무늬병 (Leaf Spot of Kudzu (Pueraria lobata) Caused by Alternaria tenuissima)

  • 김자문;이정숙;송완엽;이숙경;김형무;서병수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26-129
    • /
    • 2004
  • 2002년 7월 전북지방에 야생하는 칡의 잎에 점무늬병이 발병하였다. 잎에 처음에는 작은 점무늬증상이 나타나고. 이 점무늬 주변에 황색의 halo가 형성되는 것이 전형적인 특징이었다. 병반들이 점차 확대되어 융합되어 잎 전체가 황색으로 변색되며 결국 낙엽이 된다. 병원균이 분리되었으며 본 병원균의 균사집락은 PDA 배지에서 밝은 회녹색에서 암갈색이었다. 분생포자는 대부분 단생이며 드물게 3-8개 포자가 연쇄상으로 형성되었다. 분생포자는 암갈색이며 긴 난형 또는 곤봉형이고 크기는 20-60${\times}$10-25 $\mu\textrm{m}$이었다. 격막은 4-8개의 횡격막과 1-2개의 종격막을 형성하였다. 칡의 잎에 발생한 병징과 본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Alternaria tenuissima에 의한 칡 점무늬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국내 미기록종 선충포식성 곰팡이 Drechslerella brochopaga Kan-23의 형태 및 계통분류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a Nematophagous Fungus, Drechslerella brochopaga Kan-23)

  • 조천휘;강두선;김윤지;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3-68
    • /
    • 2008
  • 참외 경작지 토양으로부터 순수 분리된 선충포식성 곰팡이 Kan-23 균주는 배양 30일 이후에 분생포자가 형성되는 증식이 매우 더딘 특성을 나타내었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Kan-23 균주의 미세형태 구조를 관찰한 결과 분생포자병의 각 가지마다 $5{\sim}10$개의 분생포자를 형성하였으며, 분생포자는 3개의 격막을 형성하고 타원형을 나타내었고, 수축성 고리형태(constricting ring)의 포식 구조체를 형성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다양한 배지를 이용하여 포식 구조체의 형태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 GPA 배지에서 2배 이상 크기의 대형 수축성 고리 형태의 포식 구조체를 형성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Kan-23 균주의 rDNA의 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Drechslerella 속의 계통군에 속하였으며, 특히 Drechslerella brochopaga (U51950)와 99%의 높은 염기서열 유사도를 나타내어 Drechslerella brochopaga로 동정되어 국내 미기록종임이 확인되었다.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Aspects of Bipolaris sorokiniana Conidia Surviving on Wheat Straw

  • Duveiller, E.;Chand, R.;Singh, H.V.;Joshi, A.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328-332
    • /
    • 2002
  • Wheat samples showing typical spot blotch symptoms on stems and sheaths were collected from the field after physiological maturity, and were sealed in paper bags and stored in the laboratory at room temperature to study the survival of Bipolaris sorokiniana conidia on wheat straw. The materials were observed at monthly intervals to assess the conidia viability during storage. After 4 months, the frequency of individual conidia already present on wheat straw at the time of sampling was reduced and appeared to be progressively replaced by the formation of round structures consist-ing of conidia aggregates. After 5 months, distinct, individual conidia were no longer detected, and only 'clumps of conidia' were observed. These dark black aggregates or 'clumps of conidia’measured 157-170$\mu\textrm{m}$ in diameter and were grouped into boat-shaped olivacious conidia showing thick wall and measuring 50-82$\times$20-30$\mu\textrm{m}$. The germination was unipolar and below 0.5%, suggesting the occurrence of dormancy, In contrast, individual conidium produced on wheat during the growing season were 96-130$\times$16-20$\mu\textrm{m}$, slightly curved, hyaline to light pale, and euseptate with a bipolar germination reaching 98-100%. Bipolaris sorokiniana conidia produced on PDA were 55-82$\times$20-27$\mu\textrm{m}$, tapered at both ends, dark brown to olivacious, distoseptate, showed up to 1% germination, and were predominantly unipolar.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B. sorokiniana conidia belonged to two different physiological categories corresponding to the pathogen's infection phase and its survival, respectively. The infection phase is characterized by a high germination percentage as opposed to the survival phase harboring apparent dormancy.

버즘나무방패벌레 기생성 곰팡이의 특성 구명 (Characteristics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Infecting Corythucha ciliata (Hemiptera: Tingidae))

  • 구창덕;이승규;김성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58-64
    • /
    • 2007
  • 월동 중인 버즘나무방패벌레 성충이 흰색의 분생포자로 덮혀 있음이 청주시내 가로수에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월동중인 방패벌레 성충에 감염하는 곰팡이에 대하여 특성을 구명하는 것이다. 이 균이 형성한 분생자과는 $300-400{\mu}m$, 각 분생자는 $15-20{\mu}m$, 그리고 각 분생포자는 $2.5-3.0{\mu}m$, 균사의 굵기는 $1-5{\mu}m$이었다. 이 균은 감자한천배지(PDA)에서 5-6일이면 성충몸체에서 분리배양되었고 흰색의 콜로니는 옅은 황색으로 변하였다. 순수배양된 이 균의 분생포자과에서 채집한 분생포자를 월동중인 버즘나무방패벌레의 비감염 성충에 접종하였을 때 같은 형태의 분생포자과를 형성하였으며, 성충의 치사율은 $88{\pm}16%$였다. 이 균의 ITS-5.8s rDNA 염기서열은 Cordyceps bassiana(불완전균 이름은 beauveria bassiana)의 염기서열과 99% 이상의 유사성이 있었다. 앞으로 이 균의 생태적 특성과 기주에 대한 감염과정 등을 구명하여 생물학적 방제제로서 이용가능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천연제오라이트 세라믹볼을 이용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포자 생산 방법 (Culture Method of Spore for Entomopathogenic Fungus Using Natural Zeolite Ceramic Ball)

  • 이중복;김범수;주우홍;권기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2-78
    • /
    • 2016
  • 본 곤충병원성곰팡이 B. bassiana M130의 포자를 대량생산하기 위한 방안으로 천연제오라이트 세라믹볼, 합성제오라이트 세라믹볼과 활성탄볼을 이용한 담체배양을 실시하였다. 그 중 천연제오라이트 세라믹볼 이용한 포자생산방법이 가장 우수 한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배양 최적조건은 미강추출물(1:8, W/V) 3 mL, 전분 33 g, 포자현탁액 7 mL, pH3과 NaCl 5%로 배양하였을 때 B. bassiana M130 포자를 4.2×108 conidium/mL 생산하고, 사이클론 회수방법을 통해 순수포자만 63%의 회수율을 보였다. 향후 천연제오라이트 세라믹볼을 이용한 곤충병원성 곰팡이 B. bassiana M130 포자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온실가루이제어용 친환경살충제로 제품생산 및 원제의 대량생산을 통해 국산화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두 탄저병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letotrichum Isolates Causing Anthracnose of Japanese Plum Fruit)

  • 이용세;하다희;이태이;박민정;정종배;정병룡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9-305
    • /
    • 2017
  • 탄저병이 발생한 자두에서 11개 탄저병균을 순수 분리하여 병원성을 검정한 후 PDA에 접종하여 $25^{\circ}C$에서 7-10일 동안 배양하면서 각 균주의 균사 생장속도, colony의 특징과 색, 포자 형태 및 크기를 관찰하였다. 각 균주의 genomic DNA를 추출하여 rDNA-ITS 영역을 증폭한 다음, PCR을 하여 염기서열을 해독하였다. 각 균주의 배양적 특성, 포자의 형태와 크기 및 염기서열을 NCBI GenBank의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비교하여 동정한 결과 6개 균주는 Colletotrichum acutatum으로, 5개 균주는 C. gloeosporioides로 동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