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3초

1세 이하의 소아에서 발병한 신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Nephrotic Syndrome Manifesting in the First Year of Life)

  • 조성희;이주훈;조영미;박영서;정해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61-169
    • /
    • 2009
  • 저자들은 1세 이하에 발병한 신증후군 환아 7명의 진단 및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996년부터 2007년까지 본원에서 1세 이전에 신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아 7명을 대상으로 병록 고찰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선천성 신증후군은 3명, 영아형 신증후군은 4명 이었고, 남아가 1명, 여아가 6명으로 여아가 많았다. 6명에서 신생검을 시행하였고, 2명에서 미만성 메산지움 경화증, 2명에서 국소분절사구체경화증, 1명에서 Finnish형 신증후군 그리고 나머지 1명에서는 미세 변화형으로 확인되었다. 4명의 환아에서 NPHS2, PLCE1, 그리고 WT1의 유전자 분석을 시행하였고 2예에서 WT1 변이가 확인되었다. 선천성 신증후군으로 진단받은 3명 중 1명은 Finnish형 신증후군, 2명은 DDS로 진단받았고, 3명 모두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영아형 신증후군으로 진단받은 4명 중 2명은 사망하였고, 다른 1명은 관해가 되어 치료되었고, 나머지 1명은 치료 4개월 경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복막투석을 하고 있다. 1세 이전에 발병하는 선천성 신증후군은 소아 신증후군에 비하여 예후가 나쁘지만, 병력의 세밀한 검토, 임상소견 및 조직검사, 유전자 분석을 통한 정확한 진단이 빠르게 이루어져 조기 투석 및 신이식 등 적극적인 치료를 한다면 생존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1세 이전 진단받는 신증후군은 유전적 신질환으로 추후 이들 환아들에 대한 유전형-표현형의 상관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Renal artery stenosis presenting as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with hyponatremic hypertensive syndrome in a 2-month-old infant: a case report

  • Dabin Kim;Yo Han Ahn;Hee Gyung Kang;Ji Hyun Kim;Seon Hee Lim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7권2호
    • /
    • pp.117-120
    • /
    • 2023
  • Here, we present the case of a 2-month-old male infant with hyponatremic hypertensive syndrome resulting from stenosis of the right proximal and mid-renal arteries. The patient exhibited nephrotic-range proteinuria, low serum albumin, increased serum creatinine, and elevated renin and aldosterone levels. Doppler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revealed decreased vascular flow in the small right renal artery. Following a successful percutaneous balloon angioplasty, the patient experienced a decrease in blood pressure and normalization of serum electrolyte levels within a few days. However, it took 3 months for the proteinuria to resolve completely. This case is significant as it represents the first reported instance of a neonate presenting with clinical features resembling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caused by renal artery stenosis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percutaneous renal angioplasty.

국소성 분절성 사구체 경화증에 의한 영아형 신증후군 1례 (A Case of Infantile Nephrotic Syndrome with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

  • 김세은;한영심;송민섭;정우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3권1호
    • /
    • pp.100-103
    • /
    • 1999
  •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FSGS) is one of the underlying pathology of congenital and infantile nephrotic syndrome. There is no ultimate curative treatment except renal transplantation.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infantile nephrotic syndrome In a 10 month old boy who presented with proteinuria and hematuria. His elder brother also suffered from nephrotic syndrome and died at the age of 18 months due to sepsis. We have diagnosed this patient with clinical manifestations, laboratory data and pathologic findings which was done by open renal biopsy. The patient expired 54 days after admission because or progressive uremia and sepsis.

  • PDF

WT1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선천성 가로막 탈장이 동반되고 조기 신부전이 초래된 선천성 신증후군 1례 (Early Onset Renal Failure in Congenital Nephrotic Syndrome associated with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by WT1 Gene Mutation)

  • 박용준;오진원;최경민;김병길;이종인;송지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1호
    • /
    • pp.84-91
    • /
    • 2009
  • 저자들은 선천성 가로막 탈장을 동반한 선천성 신증후군 신생아에서 WT1 유전자 돌연변이와 범발성맥관막 경화증으로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여아는 출생 직후 선천성 가로막 탈장이 발견되어 응급 교정수술을 받았고 전신부종, 핍뇨, 단백뇨, 저알부민혈증, 고뇨소질소혈증, 고크레아티닌혈증이 지속되어 선천성 신증후군에 의한 조기 신부전으로 진단되었다. 생후 22일째부터 복막투석 시작하였으나 뇌출혈과 다기관부전으로 생후 34일째 사망하였다. 사후 신생검에서 범발성 맥관막 경화증으로 확인되었다. 염색체 검사에서 정상소견(46,XX) 보였고 사후 유전자 검사에서 Arg366Hisin WT1 과오 돌연변이를 보였다. 본 예는 선천성 신증후군에 선천성 가로막 탈장이 동반된 드문 예로 WT1 유전자의 Arg366His 과오 돌연변이가 DDS와 CDH의 발생에 병인으로 관여할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4번째 증례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소두증을 동반한 조기 발현 신증후군 1례 : Galloway-Mowat 증후군 (A Case of Microcephaly and Early-onset Nephrotic Syndrome : Galloway-Mowat Syndrome)

  • 유병원;조성민;기정혜;정희정;김기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2호
    • /
    • pp.197-203
    • /
    • 2003
  • 다양한 신경학적 이상을 동반한 소두증과 조기발현 신증군을 보이는 Galloway-Mowat 증후군은 치료반응이 불량하며 신기능의 저하가 진행되 조기에 사망하는 드문 유전성 질환이다. 임상적, 조직학적 다양성을 보이는 소두증과 신증후군을 동반한 일련의 질환군에 대해 아직 그 견해가 정립되지 않았고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생각되며 유전성 및 예후 등을 고려할 때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저자들이 경험한 소두증과 신경학적 이상을 동반한 조기발현 신증후군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Nephrotic syndrome: what's new, what's hot?

  • Kang, Hee Gyung;Cheong, Hae 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8호
    • /
    • pp.275-282
    • /
    • 2015
  • While the incidence of nephrotic syndrome (NS) is decreasing in Korea, the morbidity of difficult-to-treat NS is significant. Efforts to minimize treatment toxicity showed that prolonged treatment after an initial treatment for 2-3 months with glucocorticosteroids was not effective in reducing frequent relapses. For steroid-dependent NS, rituximab, a monoclonal antibody against the CD20 antigen on B cells, was proven to be as effective, and short-term daily low-dose steroids during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reduced relapses. Steroid resistance or congenital NS are indications for genetic study and renal biopsy, since the list of genes involved in NS is lengthening.

저절로 파열된 횡경막 이완증 1예 (Spontaneous Rupture of the Diaphragm in an 8 Years-old Girl with Nephrotic Syndrome)

  • 이성철;김기홍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6권1호
    • /
    • pp.60-63
    • /
    • 2000
  • Spontaneous rupture of the eventrated diaphragm is not common.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spontaneous rupture of the congenital diaphragmatic eventration. An 8 year-old girl with right congenital diaphragmatic eventration and nephrotic syndrome was seen in emergency room because of severe abdominal pain and vomiting. She had intermittent abdominal pain for 1 year. Plain chest X-ray and ultrasonography showed entrapped bowels in the right thoracic area. Exploratory laparotomy revealed a ruptured right eventration. THE displaced abdominal viscera were repositioned into the abdominal cavity and the ruptured diaphragm was trimmed and plicated.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Only one case of spontaneous rupture of eventrated diaphragmatic has been reported in the English literature.

  • PDF

신생아에서 혈뇨와 폐렴이 동반된 선천 매독 1례 (Congenital Syphilis: An Uncommon Cause of Gross Hematuria, Skin Rash, and Pneumonia)

  • 심선희;김주영;이의경;방경원;조경순;이주영;서진순;빈중현;김현희;이원배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1호
    • /
    • pp.65-70
    • /
    • 2014
  • 선천성 매독은 산전진찰로 예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선천성 매독과 관련된 혈뇨나 폐렴이 보고된 증례가 없었으나 저자들은 적절한 산전치료를 받지 못한 산모에게서 태어난 22일된 남아에게서 발생한 선천성 매독에 동반된 신증후군과 폐렴의 증례를 보고한다. 선천 매독의 진단은 혈청학적 검사로 확진하였고, 환아는 페니실린 G 치료를 받고 회복되었다. 신생아에게서 임상증상은 매우 불확실할 수 있어, 질환에 대한 인식이 지연 될 수 있다. 따라서 선천성 매독의 예방에는 철저한 산전관리가 필수적이다. 만약 산모가 적절한 산전진찰을 받지 않았을 경우에는 신속한 혈청학적 진단이 반드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복막 투석 중인 신증후군 환자의 복막을 통한 단백 소실 (Peritoneal Protein Loss in Nephrotic Syndrome on Peritoneal Dialysis)

  • 안요한;정의석;이세은;이현경;이소희;강희경;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3권2호
    • /
    • pp.189-196
    • /
    • 2009
  • 목적 : 신증후군에서 사구체 단백 투과성이 증가하는 것은 전신적인 순환 인자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신적인 순환 인자의 사구체 외 기관에서의 영향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복막 투석 중인 steroid resistant nephrotic syndrome (SRNS) 환자에서의 복막투석을 통한 단백 소실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복막 투석 중인 신증후군 환자 12명(SRNS)과 대조군 1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성별, 투석 시작 시 연령, 체중, 신장, 투석 방법, 투석양, 투석 시작 시 검사 소견(혈액 요소 질소, 혈청 크레아티닌, 혈청 단백, 혈청 알부민, 24시간 투석액 부피, 24시간 투석액 단백, Kt/V)과 1년 뒤 투석 시 검사 소견(24시간 투석액 단백)을 조사하였다. 단백질 섭취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nPNA (normalized protein equvalent of total nitrogen appearance)를 측정하였다. 결과 : SRNS군과 대조군은 nPNA를 비롯한 다른 지표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SRNS군에서 혈청 알부민이 $3.7{\pm}0.3$ g/dL로 대조군($4.0{\pm}0.4$ g/dL, P=0.021)보다 낮았다. 복막액을 통한 단백 소실량은 SRNS군에서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으며($3,044.4{\pm}837.6\;mg/m^2$/day vs. $1,791.6{\pm}1,244.0\;mg/m^2$/day, P=0.007), 혈장 단백에 대한 복막의 투과성은 SRNS군에서 대조군보다 2배 가량 높았다($1.06{\pm}0.46%$ vs. $0.58{\pm}0.43%$, P=0.010). SRNS군과 대조군 모두 초기와 1년 뒤 복막 단백 소실량이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 더 큰 차이를 보였으며 복막 단백 소실량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는 두 군(SRNS군 vs. 대조군)간에 의미있게 차이가 있었다(P=0.023). 결론 : 신증후군을 앓고 있는 소아 환자에서 복막 투석을 시행할 때는 이들의 영양상태, 성장 및 발달에 평가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복막을 통한 단백 소실을 모니터링하여 이를 보충하려는 노력 또한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