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ual understanding

검색결과 715건 처리시간 0.025초

Jellyfish: A Conceptual Model for the AS Internet Topology

  • Siganos Georgos;Tauro Sudhir Leslie;Faloutsos Michalis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8권3호
    • /
    • pp.339-350
    • /
    • 2006
  • Several novel concepts and tools have revolutionized our understanding of the Internet topology. Most of the existing efforts attempt to develop accurate analytical models. In this paper, our goal is to develop an effective conceptual model: A model that can be easily drawn by hand, while at the same time, it captures significant macroscopic properties. We build the foundation for our model with two thrusts: a) We identify new topological properties and b) we provide metrics to quantify the topological importance of a node. We propose the jellyfish as a model for the inter-domain Internet topology. We show that our model captures and represents the most significant topological properties. Furthermore, we observe that the jellyfish has lasting value: It describes the topology for more than six years.

감성 인터랙션 공간디자인의 개념적 접근연구 (Conceptual Approach For Understanding Emotional Interaction Space Design)

  • 정은주;이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6-80
    • /
    • 2005
  • Digital technology makes changes of people's behavior style and characteristic of space in which people live. Therefore, we need to adjust conceptual meaning related to digital technology properly. For deriving emotional interactive space design, we need to understand following meanings: the meaning of interaction and interaction design, the meaning of emotion and emotional design, the meaning of space, emotional design, and interaction design in digital society. Consequently emotional interactive space design makes people satisfied with their five senses, communication with people increase and enable people to experience something new that they haven't experienced before transcending time and space.

  • PDF

Challenge of Understanding Multichannel Customer Behavior in 21st Century: A Meta-analysis

  • Kim, Soohyun;Ahn, Insook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3호
    • /
    • pp.14-28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comprehensive reviews on multichannel consumer behaviors published in peer-reviewed academic journals from 2005 to 2014, to develop a conceptual framework that demonstrates multichannel determinants such as psychographics, demographics, social influences, and situational factors on consumers' search and purchase behavior based on customers' profits or costs judgment, and to provide possibl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in multichannel consumer behavior. Three steps were taken in the process of analyzing consumers' channel determinants presented in the 37 studies, and 12 most frequently used factors that appear in the studies were extracted. These factors include convenience, service, trust/risk, saving money, product knowledge, experience, efficacy/usefulness, involvement, shopping environment/situation factors, demographics, product types, and social influence. With 12 determinants of multichannel consumers' search and purchase behavior, a conceptual framework was proposed based on expectancy theory.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액체로켓엔진 고공모사시험설비의 개념설계 (Conceptual Design of High Altitude Test Facility for Testing Liquid Rocket Engine)

  • 김철웅;남창호;김승한;설우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1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83-387
    • /
    • 2008
  • 고공모사시험설비의 구축에는 엔진과 설비의 특성, 로켓의 임무 그리고 시험의 경제적 측면 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가지고 최적의 기술적 결정을 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단 액체로켓엔진의 고공모사시험설비를 구축하고자 할 때 개념설계단계에서 요구되는 일반적인 조건 및 요구사항을 고찰하였고, 초음속 디퓨저와 냉각수 용량에 대한 예비적인 계산을 수행하였다.

  • PDF

여성건강을 위한 개념적 모형 (Conceptual Model for Women s Health)

  • 이경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933-942
    • /
    • 1997
  • There has recently been an increased interest in women's health from, various discipline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presented according to each profession's academic background. This has led to many instances of incorrectly defining, or misinterpretation, of the issues even among professionals. Nurse scholars as well as practitioners who work in women's health care need to have a clea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women's health in order to build a body of knowledge, delineate curricular activities, and set directions for professional nursing interventions. In addition, a conceptual model that may be directly utilized in practice is needed to maintain and promote women's health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Hybrid model, analyzing conceptual definitions and discussions related to women's health gathered from review of the literature. Further to compare analyticals the concepts and properties observed from field work, so as to present a final definition of women's health and, build a conceptual framework for a united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concept as well as on nursing practic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onsisted of a theoretical stage, field work stage, and final analysis. A heterogeneous group of professionals and lay persons, 39 in all, participated in the field work. Study findings Include several subconcepts under the concept of women's health : a woman's whole life, holistic health, quality of life, awareness of being a woman, individual nursing, self care ability, reproductive health, and family health. Thus, a comprehensive definition was built, 1. e., "Women's health care be defined as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ife of women through attainment of holistic health throughout the life span. With reproductive health at the core, the concept is directly related to family and national health, and includes taking care of one's own health based on awareness of being a woman and utilizing self care activities. Women's health care issues are unique and allow various responses, therefore women's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apply individual approaches to reach solutions in attaining holistic health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The constructual factors of women's health were found to be reproductive functions, diseases more common in woman, self actualization, mental health, women's health policies, sexuality, midlife changes, and marital relations, with each factor having more than three properties. Positive factors affecting women's health were found to be a normal childbearing process, a healthy lifestyle, active health management, health information, support, and resourc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Negative factors were found to be overwhelming role stress, cultural oppression, gender inequality, distorted sexual identity, economic difficulties, misuse and/or abuse of substances, and stress. The model of women's health may be visualized as a balance scale set upon a woman's life, supporting 4 concentric circles. The innermost circle and second circle incorporate conceptual definitions of women's health, and the outer two circles represent the constructional factors and properties of women's health. Each circle has its own color that symbolizes the conceptual meaning.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are represented as weights at either end of the scale, and are affected by nursing intervention, i. e., health and wellness increase when positive factors are stronger, whereas disease and illness increase when negative factors are stronger. This model is only a preliminary effort and requires much discussion and testing to be further developed. Continuous research is also required.

  • PDF

상황맥락적인 피드백을 활용한 CAI가 화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tuational Context Feedbacks in Chemistry Learning with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 김경순;정경진;차정호;강이영;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93-200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컴퓨터 보조 수업에서 상황맥락적인 피드백의 활용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과학 학습동기, 컴퓨터 보조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인천시의 한 남녀 공학 중학교에 있는 1학년 114명의 학생들을 상황맥락적 피드백 CAI, 피드백 CAI, CAI 집단에 배치하고, 8차시 동안 ‘물질의 세 가지 상태'와 ‘분자의 운동'에 대하여 수업을 실시하였다. 구획변인은 중간고사 과학 성적을 사용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사전 과학 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상황맥락적 피드백 CAI 집단의 개념 이해도 점수가 다른 CAI 집단에 비해 높았고, 그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상위 학생들의 경우 피드백 CAI 집단의 과학학습 동기 점수가 CAI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하위 학생들의 경우에는 세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컴퓨터 보조 수업에 대한 인식의 경우, 상황맥락적 피드백 CAI 집단과 피드백 CAI 집단의 상위 학생들은 CAI 집단의 상위학생에 비해 컴퓨터 보조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피드백 CAI 집단의 하위 학생들은 다른 두 CAI 집단보다 부정적인 인식이 약간 높았다.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과학적 논의 과정을 시각화한 과정중심평가에서의 과학적 개념 이해 발달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ceptual Understanding through Process-Centered Assessment that Visualizes the Proces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 김미숙;유선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37-65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논의 과정을 시각화한 과정중심평가를 통해 과학적 개념의 발달 과정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학생 353명과 교사 5명이었으며, 자료의 분석은 논의 활동을 촬영한 영상, 소집단 활동지, 그리고 인터뷰 내용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발화를 논의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소집단 내 논의에서 과학적 개념은 질문 및 의미 명확화의 과정을 통해 구체화되었고, 동의 및 반박의 과정을 통해 조직화되었으며, 소집단 간 논의에서의 질문, 의미 명확화 및 주장 변경을 통해 정교화되었다. 교사는 논의 과정이 시각화된 소집단 활동지를 통해 학생들의 논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제공하고 수업을 개선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 과정의 시각화는 학생의 자기평가, 동료평가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교사가 논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과학 교과에서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과학적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응 명료화 전략 및 비유물의 제시 시기가 중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larified Mapping Strategy and Placement of Analog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in Science)

  • 노태희;김창민;권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7-11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대응 명료화 전략 및 비유물의 제시 시기가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응 명료화 전략 유무와 비유물의 제시 시기에 따라 네 종류의 학습 교재를 제작하였고, 예비 적용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수업 처치 이전에 장의존성/장독립성 검사를 실시하고, 사전 학업 성취도를 조사하였으며, 이 점수들을 구획 변인으로 사용하였다. 111명의 중학생들에게 네 가지 유형의 학습 교재를 우선 배포하여 읽게 한 직후 개념 검사를 실시하고, 4주 후에 개념의 파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 직후 개념 검사 및 파지 검사의 회상 문제에서는 대응 명료화 전략 유무나 비유물의 제시 시기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응용 문제에서 대응 명료화 전략을 사용한 집단의 점수가 사용하지 않은 집단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장독립적인 학습자는 대응 명료화 전략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사용했을 때 학습 직후 개념 응용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접수를 얻었으며, 사전 성취 수준이 높은 학습자는 대응 명료화 전략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사용했을 때 개념 응용 파지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학습 직후 개념 응용에서 사전성취 수준이 높은 학습자는 대응 명료화 전략과 함께 비유물-목표 개념의 순서로 학습했을 때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사전 성취 수준이 낮은 학습자는 대응 명료화 전략과 함께 목표 개념-비유물의 순서로 학습했을 때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 PDF

10학년의 화학반응속도 학습에서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Courseware Instruction Using Scaffolding Strategy on 10th Grade Students' Learning Chemical Reaction Rate)

  • 조향숙;최병순;박국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3-290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개념 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와 활동지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코스웨어 수업이 개념 이해도와 노력, 자기 점검 등을 포함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충북 청원군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10학년 2개 반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코스웨어와 활동지를 이용한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을 화학반응속도 단원에 대해 3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전에 사전 문제 해결 능력 하위 변인 검사를 실시하고, 중간고사 과학 성적을 조사하였다. 수업 처치 후에는 개념 이해 검사와 사후 문제 해결 능력 하위 변인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와 활동지로 학습한 실험집단은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과 통계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개념 이해 점수를 획득하였다. 이는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가 학습자의 개념 발달을 위한 개별화 수업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준다. 한편, 문제 해결 능력 하위 변인 검사에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노력과 자기 점검 그리고 인지전략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는데, 이는 스캐폴딩 전략이 학습의 책임을 학습자에게 이양함으로써 자기 조절력이 향상된 것으로,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의 향상을 위해 스캐폴딩 전략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준다.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개념 이해 및 몰입, 상황 흥미를 촉진할 수 있는 학습 환경 탐색 (An Explor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for Promoting Conceptual Understanding, Immersion and Situational Interest in Small Group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 신석진;노태희;이재원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360-370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개념 이해 및 몰입, 상황 흥미를 촉진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학생들의 자기조절 수준에 따라 탐색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남녀공학 고등학교 1학년 9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한 모둠에 마커와 스마트 기기를 각각 1개(1-1), 2개(2-2) 또는 4개(4-4)를 제공하는 세 가지 학습 환경을 구성하고, 학생들을 4인 1모둠으로 편성하여 각 학습 환경에 무선 배치하였다. 통합과학 교과의 화학 결합 개념에 대하여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을 2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이원 변량 분석 결과, 개념 이해도 검사에서는 4-4 학습 환경의 점수가 1-1 또는 2-2 학습 환경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자기조절 수준이 낮은 학생들이 학습 환경 변화의 영향을 받았다. 몰입감 검사에서는 4-4 학습 환경의 점수가 1-1 학습 환경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자기조절 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학습 환경 변화의 영향을 받았다. 상황 흥미 검사에서 4-4 및 2-2 학습 환경의 점수는 1-1 학습 환경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고, 학습 환경 변화는 자기조절 수준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 모두에게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증강현실을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학생들의 개념 이해 및 몰입, 상황 흥미를 촉진할 수 있는 학습 환경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