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ual art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5초

A Research on 3D Texture Produ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ear

  • Ke Ma;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4호
    • /
    • pp.178-184
    • /
    • 2023
  • AI image generation technology has become a popular research direction in the field of AI,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digital art and conceptual design, and can also be used in the process of 3D texture mapping.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duction process of 3D texture mapping using AI image technology, and discusses whether it can be used as a new way of 3D texture mapping to enrich the 3D texture mapping production process. Two AI deep learning models, Stable Diffusion and Midjourney, were combined to generate high-quality AI textures. Finally, the lmage to material function of substance 3D Sampler was used to convert the AI-generated textures into PBR 3D texture maps. And applied in 3D environment. This study shows that 3D texture maps generated by AI image generation technology can be used in 3D environment, which not only has short production time and high production efficiency, but also has rich changes in map styles, which can be quickly adjust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he design scheme. However, some AI texture maps need to be manually modified before they can be used.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there will be great potential for further development and innovation of AI-generated image technology in the 3D content production process in the future.

인지능력의 개별차와 한국어 학습자의 주격-목적격 관계절 프로세싱 (Cognitive Individual Differences and L2 Learners' Processing of Korean Subject-Object Relative Clauses)

  • 구재명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93-503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주격과 목적격 관계절 프로세싱과 관련한 두 가지 가설인 선형거리가설(Linear distance hypothesis)과 구조거리가설(Structural distance hypothesis)을 통해 Keenan과 Comrie(1977)의 명사구 접근 위계(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를 검증한 O'Grady, Lee, 그리고 Choo의 2003년 연구를 바탕으로 설계된 conceptual replication 연구이다. 본 실험에서는 한국에서 공부하는 중국어 모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두 가설을 테스트 하였다. 더불어, 두 가설과 관련, 인지적인 능력(작동기억)의 개별차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 당시 지방의 모 대학 소재 한국어학당에서 공부하는 중국어 모어 학습자들이 실험집단으로 참여하였다. 각각의 실험 활동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참여한 23명의 학습자 데이터에 한하여 통계 분석이 이루어졌다. 통제집단으로는 한국어 모어 대학생 15명이 참여하였다. 참가자들은 두 가지 실험 활동을 수행하였다: O'Grady외의 연구에서 사용된 동일한 관계절들이 포함된 그림 선택 활동과 작동기억 측정을 위해 디자인된 활동(Operation Span Task). 본 실험의 결과는 O'Grady외의 연구 결과와 다소 차이를 보였다. 즉, 주격보다는 목적격 관계절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인 분석에 따르면, 이는 선형거리가설에 따른 현상이라기보다는, 상용절 전략을 사용한 프로세싱 결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적절해 보인다. 작동기억의 개별차와 관계절 프로세싱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도 이러한 과도한 상용절 전략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대안과 지리적 시각화 (The Alternatives of Communication Model and Geographic Visualization)

  • 손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7-41
    • /
    • 1998
  • 커뮤니케이션 이론에서는 지도의 역할을 단지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한정시켜 지도의 기능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컴퓨터, GIS, 과학적 시각화(scientific visualization) 등과 같은 새로운 지도학 환경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없었다. 그 결과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반론과 함께 새로운 대안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지도학의 새로운 대안을 세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적 시각화로 지도란 분석된 결과만을 전달하는 도구가 아니라 분석의 이전 단계인 자료의 검색, 가설의 설정, 자료의 분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견해이다. 둘째, 지도의 기능성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해 지도화 과정에서 예술성 및 총체성이 무시된다는 점이다. 지도란 단지 개별 정보의 전달 도구라기보다는 공간에 대한 총체적인 상이며, 다양한 수준에서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지도의 예술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셋째, 과학적이고도 객관적인 법칙이나 지침에 따라 만들었다는 지도 역시 지도에 내재된 주관성과 수사적 내용을 피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해체주의적 관점에서 지도학을 구조화한 사회적 힘을 찾아 힘의 존재와 그것의 영향을 모든 지도학 지식에 접목시키려는 것이다. 최근 과학적 시각화를 위한 도구로서 지도의 기능이 새로이 강조되면서, 지리적 시각화라는 새로운 개념이 대두되었다. 컴퓨터 그래픽을 기본 도구로 사용하여, 패턴, 관계, 특이 현상 등을 확인하여 새로운 과학적 시각을 얻고, 새로운 시각에서 문제를 재구성하는 것이 지리적 시각화의 목적이다. 따라서 기존의 지식을 표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현재의 한계를 뛰어 넘으려는 첨단과학자에게 필요한 도구를 제공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지리적 시각화를 위한 새로운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한편 지리적 시각화는 지도학의 새로운 관점이 아니라, 어쩌면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도입으로 서로 다른 길을 걸어 왔던 지도학자와 지리학자들이 지리적 시각화를 통해 두 학문간의 연계를 재정립하는 '지리적' 지도학 혹은 분석지도학을 부활시키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

  • PDF

영화의 특성 분석에 따른 공간디자인의 표현방법 - 환영성 표현 특성을 중심으로 - (Space Design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ovies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Expressive of the Illusionist -)

  • 송춘의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31-240
    • /
    • 2004
  • 21세기의 공간 디자인은 그 어느 시기보다도 다양한 미디어와의 관계 속에서 전개되고 있다. 대중문화로 대변되는 이미지의 시대에 미디어와 관계한 공간 디자인은 포스트 모더니즘 사회를 이루는 탈 이성적 사고에 기반을 두며 예술과 삶의 동질화를 통해 사회의 변화를 다의적이고 다원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현대사회를 이루는 다양한 환영주의적 미디어 이미지 중 특히 감각적으로 지각되는 이미지이며 가장된 비 실재적인 이미지인 영화라는 매체는 본연의 특별한 속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예술분야와 상호 연계를 맺으며 급속히 성장하였고 그 파급효과도 놀랄 만큼 커지고 있다. 영화는 극명한 현실감의 재현을 통해 실재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만들어 내고 의미 잃은 이미지들의 새로운 실재를 구성하기 위해 대중사회를 조작하고 이는 가상현실의 세계를 구축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시뮬라르크 시대를 대변하는 환영성의 이미지를 창조해 나간다. 영화의 이러한 환영적 표현은 의미들에 대한 새로운 해체와 재 조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생산하고 우리의 일상적인 삶과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대중문화를 총체적으로 표현한다. 이렇게 우리사회의 반영인 영화 환영성의 대한 분석적 태도는 공간 디자인의 관계에서도 새로운 접근방법으로 시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영화의 환영성의 특징이 공간에서 영화와 공통적으로 도출되는 디자인적 개념언어로 활용되어 공간디자인의 한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의인화 기법으로 소구하는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ing by the Personification Technique)

  • 이세정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133-144
    • /
    • 2020
  • 의인화는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영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소구 방법 중 하나로 인간이 접하는 거의 모든 시각이미지는 이러한 의인화 현상에 노출되어 있고 우리는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의인화 현상을 활용하거나 활용 당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의인화 현상은 특정 학문분야가 아닌 거의 모든 문화·예술 전반에 걸쳐 적용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화·예술 전반에서 관찰되는 의인화 기반의 사례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의인화를 관계 형성구도를 중심으로 재정의 하였다. 또한 의인화 기법에 대한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의인화 유형 및 제스처 목록을 기준으로 의인화 형태를 관계형성의 주체에 따라 의인화와 역 의인화, 두 부류로 규정하고 각각의 다른 물리적인 형질을 기준으로 화훼 및 공간장식을 포함한 디자인 영역에 걸쳐 소구되는 의인화 기법의 적용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의인화 적용 체계를 정의 하였다. 의인화 관계형성 구도와 의인화 적용 체계의 정의를 통해 다양한 매체에서 효과적인 수용자 만족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의인화 기법의 틀을 제공하였다. 또한 매체가 가진 본질의 개념적 형질의 특성을 제스처 목록과 의인화 유형분류에 동기화하는 의인화 적용체계를 통해 강력하고 효과적인 의인화 기법으로 향유자와 소통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에서의 Spirituality와 사회사업에 대한 연구 동향과 전망 (Spirituality and Social Work Scholarship in Korea - A Content Analysis -)

  • 김경미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203-225
    • /
    • 2009
  • 국제적으로 사회사업 분야의 연구와 논문 출간에 있어서 spiritualit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그렇지만 북미와 유럽의 맥락을 넘어서 이러한 경향에 관해 소개하고 분석하는 논문이 쓰여진 바는 거의 없다. 이 논문은 이런 맥락에서 동아시아 국가의 하나인 대한민국에서의 사회사업 분야 연구 논문 출간의 실태에 대해 연구한다. 먼저, 한국에서 spirituality 및 종교와 사회사업간의 연관관계의 역사와 현황에 대해 간략하게 개관한다. 그 다음에, 현재의 실태를 보여주고 국제적 협동연구를 비롯한 더 진전된 작업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의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들에 대해 내용분석을 한 결과들을 제시한다. 이 내용분석은 최근 수년간 이 분야의 연구가 성장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서의 경험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거의 없음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경험적 연구들이 단순한 통계 방법에 기초하고 있고 체계적인 질적 연구가 결여되어 있다. 개념적 작업은 사회사업에 대한 종교적으로 특정화된 다양한 접근들을 위한 지침을 제공해줄 것이다. 다양한 종교적 혹은 비종교적인 spiritual 전망을 포함(포괄)하는 접근들은 이제 막 발전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렇지만 spirituality와 사회사업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유의미하게 증가할 잠재력이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들이 존재한다. 국제적 협동 연구는 이를 촉진해줄 수 있을 것이다.

패션뷰티 산업분야의 시니어 시프트 현황분석 (The case study of the current senior shift in fashion and beauty brand)

  • 백경진;서인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1호
    • /
    • pp.56-72
    • /
    • 2018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senior people in our aging society. This paper will give an account of the current cases of senior shift.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will examine a conceptual approach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ze case studies of senior shifts by national fashion and beauty brands. It will be helpful for the 'New Senior' consumer group, which in emerging in an aging society. The research methods applied were a literature review and a case study, and a database 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global brands.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senior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ir physical aging condition and emotional tendency: Prime Senior, Smart Senior, Rational Senior, and Slump Senior. The first thing that needs to be said is that the Prime Senior type is found commonly in as a way to appoint a senior model in order to switch brand image. Cases of the Smart Senior type appeared only in the beauty field, which attempted multilateral approaches such as launching products exclusively for seniors and offering make-up services after improving the usability and functionality in response to senior consumers'needs. However, as no cases of senior shift were found for the Rational Senior and Slump Senior types in either the fashion or beauty field,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the market approaches used in those categories.

컴퓨팅 사고 개념 학습과 프로그래밍 역량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Development of Rubric for Assessing Computational Thinking Concepts and Programming Ability)

  • 김재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7-36
    • /
    • 2017
  • 오늘날 컴퓨팅 사고 과목은 초 중등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고등 교육과정에서도 필수 영역으로 개설하고 있다. 특히 고등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가 컴퓨팅 사고의 개념을 전공 분야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여 융합 인재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목표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와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컴퓨팅 사고 과목을 개념 교육과 프로그래밍 실습 교육의 두 가지 관점으로 평가하는 루브릭을 개발하고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고 이론과 실습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제안 루브릭은 고등 교육과정의 컴퓨팅 사고 개념 및 실습 학습을 평가하기 위하여 컴퓨팅 사고의 세부 요소를 4개의 분류 및 8가지의 항목으로 구성한 두 개의 루브릭을 정의하였다. 또한 제안 루브릭을 대학교 컴퓨팅 사고 관련 교양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도를 평가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Trompe-l'oe il(트롱쁘-뢰이유, 눈속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ompe-1'oeil Expressed in Modern Fashion)

  • 손영미;조영아
    • 복식
    • /
    • 제52권4호
    • /
    • pp.155-171
    • /
    • 2002
  • Trompe-1’oeil technique strategically conceived with a view to effectively realize creative ideas among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fine arts style has provided the driving force in development of fine arts and has continuously influenced development of the modern fashion pursuing unique individ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en a new horizon for the development of fashion as a practical art, and to seek the expansion of the creative domain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original and creative fashion by examin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rompe-1’oeil, which has long been utilized and positioned as one of the leading fine arts techniques with the advent of surrealism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nd the modern fashion. The study is focused first on finding out how Trompe-1’oeil technique originated in connection with researching the fashion of Trompe-1’oeil and on analysing the techniques of expression, and then on investigating into Elsa Schiaparelli, pioneer of Trompe-1’oeil technique to identify her influences, and finally on classifying clothes employing Trompe-1’oeil technique by their expression method to examine how Trompe-1’oeil technique has been applied to modern cloth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 has referred to fine arts books, collection of pictorial records and the like to gai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rompe-1’oeil and to examine the expression method and the features of Trompe-1’oeil, and collected and referred to fashion books and fashion marazines to understand Elsa Schiaparelli and the expression tendencies of Tromprf-1’oeil in modern fashions. Particularly, the researcher has attempted to 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modern fashion and Trompe-1’oeil techniqu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has managed to classify Trompe-1’oeil technique expressed in modern fashion into ‘harmony’, ‘application of the human body’, ‘front and back’, ‘surface and inside’. ‘completion of the incomplete’ and ‘detail.’ The researcher has also noted that Elsa Schiaparelli, a surrealist first applied Trompe-1’oeil technique to clothes and confirmed that quite a few avant-garde clothes designers following Elia Schiaparelli, by using Trompe-1’oeil technique in clothes, recently recreate fresh feelings.

실내디자인에서 오브제 논의를 위한 개념적 고찰 - 르 꼬르뷔지에의 오브제이론을 통한 오브제 논의의 조건 모색 - (Conceptual Review on objects in Interior Design for Discourses - Search for Condition object Discussions through Review on Le Corbusier's object theory -)

  • 김수정;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85-94
    • /
    • 2006
  • Due to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 of the Interior Design field, it has developed into complex interdisciplinary field. Therefore Interior Design field has grown and established its major trends dependent upon other related field of study. With this perspective in mind, esthetics on Interior Design has to be treated in similar manner. In modem architects or artists have defined the terminology 'object' theoretical principle where by unable to distinguish between 'object's type' and 'objects', Presently, the term 'object' became a trend word. In order to confront misconception of the idea of 'Objectification', some people definition as reflection of this complex society. In this paper, it will establish a solid groundwork for a discussion on Objectification. The initial approach will deal with Le Corbusier and esthetics, which is the center of argument. By reviewing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lated modern art, the paper discuss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e Corbusier and esthetics. Subsequently, the discussion about the criterions necessary to define object is provided. This paper only suggests a methodology of analyzing a trend in Interior Design. The condition to define Objectification in Interior Design, which is a result of the reviewing process on esthetics, can be concluded as 'modeling form(transformation of morphological meaning with change wrought by causing a visual reaction)', 'mixtures and modification of materials(transformation and spontaneity through mixing materials)' and 'elements greatly influence space' of the Interior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