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etency evaluation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24초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um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Clinical Competency)

  • 정수경;김경아;정은영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6-19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clinical competency. Method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47 junior nursing students at W University. Scenarios to train SP and checklists to evaluate the students''competence were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nbach's ${\alpha}$ using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The simulation practicum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was conducted based on four steps, namely, selections of scenario modules, standard patient trai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problem-solving skills(t=-2.94, p=.005) and clinical competency(t=-2.84, p=.007)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communication skill(t=-.32, p=.747) and critical thinking(t=-.68, p=.498) was not different in group. Conclusion: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may be useful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and clinical competency.

간호대학생의 감성역량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moti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 강혜원;배정이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9-380
    • /
    • 2021
  •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verify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nursing student emoti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that is important in professional nursing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tients. Methods: This research was done by developing an emoti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DDIE) model. Apply the program to students and evaluate their effects on their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management and self-efficac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8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of D College; 24 student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stud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developed program from December 18, 2017 to January 12, 2018, for a total of 8 sessions. Each session was 120 minutes long. For data collection, a pretest, posttest 1 and 2 were perform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using SPSS/WIN 22.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emoti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showed higher self awareness (F=5.65, p=.005), self management (F=11.12, p<.001), social awareness (F=5.02, p=.009), relationship management (F=11.22, p<.001) and self-efficacy (F=14.24, p<.001)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were supported by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time perio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ime period and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study's findings indicate that the emotional competency promotion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effective at increasing the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management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창업자 역량이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자 전공 특성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Founder Competency on Startup's Business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Founder Academic Major Characteristics)

  • 김봉근;김영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145-157
    • /
    • 2024
  • 본 연구는 기술보증기금이 2016년 기술평가 시 수집․평가한 창업 후 5년 미만의 창업기업 2,196개 기업을 대상으로 자원기반관점을 바탕으로 창업자 역량이 주요한 기업의 내부 자원이라는 전제하에 경영성과, 창업자 전공 특성과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창업자 역량 기술적, 관리적, 재무적 역량은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창업자의 이공계 전공 특성은 창업자 역량과 경영성과 사이에서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창업자의 기술적, 관리적, 재무적 역량이 경영성과를 향상시키는 요인이라는 이론적 논의에 기여하고, 이공계 전공 창업자에게 관리 및 재무역량 함양 차원의 교차 교육 등 창업 교육이 전환, 강화되어야 할 것이라는 점을 제시하여 실효성 있는 창업 교육의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도제프로그램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현황 분석 연구 (A Study of Analysis NCS-based Curriculum Organization of the Apprenticeship Program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igh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System)

  • 안재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3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도제프로그램이 NCS 기반 교육과정에 어떻게 편성되었는지를 분석하여 도제학교의 도제프로그램 개발과 도제교육과정 편성 및 평가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159개 학교 186개 과정의 도제 부장교사에게 조사지를 송부하였으며, 116개 학교의 141개 과정(75.8%)에 대한 현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제프로그램 편성시간은 평균 1054.2시간(62.0단위)이고, 도제프로그램은 학교교육과정에서 12.4개 과목으로 편성되었는데 그 중에서 실무과목은 9.6개(77.5%)였다. 과목의 NCS 능력단위별 평가 정도는 '교과 내용 전체를 능력단위별 평가'(80.1%), '교과 내용 일부를 능력단위별 평가'(14.4%), '능력단위와 무관하게 평가'(5.6%)의 순이었다. 둘째, 학교교육과정 교과목의 편성 시간이 도제프로그램 능력단위의 편성 시간보다 많거나 같은 과목(바람직한 경우)은 평균 11.5개(93.1%), 그렇지 않은 과목은 평균 0.9개(6.9%)였다. 그리고 학교교육과정 교과목의 편성 내용이 도제프로그램 능력단위의 내용을 포함하는 과목(바람직한 경우)은 평균 10.6개(85.8%), 그렇지 않은 과목은 평균 1.8개(14.2%)였다. 셋째, 과목의 공통능력단위/학생선택능력단위 편성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통능력 단위만으로 편성된 과목은 8.5개(68.5%), 학생선택능력단위가 편성된 과목은 3.9개(31.5%)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터하여 도제프로그램 개발과 도제교육과정 편성 및 평가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으로 시 도교육청의 교육과정 변경 승인 기간 유예 적용, 시 도교육청의 교육과정 점검 및 컨설팅 강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기업특화과목(가칭) 또는 학생선택과목(가칭) 신설을 제안하였다.

학교급식 영양사가 인식하는 효과적인 영양교사의 역량 요구도와 자기 평가 (Requirements and Self-evaluation of Competencies Necessary to be Effective Nutrition Teachers Perceived by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s)

  • 이경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26-635
    • /
    • 2009
  • 그동안 학교에서 영양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했던 이유로 가장 많이 언급되었던 '영양사가 교사신분이 아니어서'가 해결된 상황에서 영양교사 자신과 영양교사를 양성하는 교육자 및 영양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슈는 교육시간의 확보, 영양교사의 역할 수행을 위한 자질 강화라고 할 수 있다. 영양교사의 자질은 학교급식과 영양교육 상담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타당성 있고 신뢰도 높은 역량의 규명은 영양교사의 전문적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사 양성과정을 수료하거나 과정 중에 있는 영양사와 학교 영양사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영양교사로서 직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의 요구도와 영양사가 인식하는 스스로의 역량 수준을 비교 하여 향후 영양교사의 자질향상과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학교급식 영양사들은 재무관리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영양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요구도를 높이 평가하였고 특히 위생 및 안전관리, 영양상담, 영양교육, 교수실무 관련 역량의 요구도를 높이 인식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역량 수준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모든 역량이 보통 또는 그 이하의 평가를 받았고 특히 영양교사에게서 요구도가 높았던 영양교육, 영양상담, 교수실무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업무영역별로 효과적인 영양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수준과 영양사 스스로가 평가한 자신의 역량 수준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모든 영역에서 역량 요구도가 영양사 자신의 평가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영양교사의 역할을 확대하고 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영양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양사들이 인식하는 영양교사의 역량 요구도는 영양사의 경력이나 영양교사 관련 교육 종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존 학교급식 영양사로서 수행해 온 업무와 관련해서는 근무 경력이 증가할수록 역량에 대한 자신의 평가는 높아졌으나 영양교사 도입 후 추가된 업무 영역인 교수실무 관련 역량에 대한 자기 평가는 경력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향후 영양교사의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강조되어야 할 역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격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양 및 메뉴 관리 영역, 위생 및 안전관리 영역, 인적자원관리 영역의 역량 등 총 14개 역량이 자신의 평가가 높고 영양교사에게도 계속해서 중요한 역량으로 규명되었고, 영양교육, 영양상담, 교수실무에 속하는 모든 역량은 영양교사에게 요구도는 높으나, 응답자들의 스스로의 평가가 낮은 영역에 포함되어 향후 영양교사 관련 교육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당시 학교 영양사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고자 두 가지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고,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직접 배포후 회수하거나 응답을 독려하는 우편엽서를 발송했음에도 불구하고 회수율이 32%이었고 서울과 경기지역 학교 영양사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전국의 학교 영양사에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영양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의 종류와 영양사가 인식하는 요구도, 그 역량에 대한 영양사의 자기 평가에 대해서는 처음 보고된 연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영양교사를 양성하는 대학교와 교육대학원 교육자들이 교육과정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교육청 단위로 이루어지는 영양교사의 연수프로그램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조사가 영양교사 배치 직전에 실시되어 조사과정중에 고려되지 못했지만 향후에는 영양교사의 경력에 따라 역량의 차이를 파악하여 역량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영양교사 연수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급식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열린 시스템임을 고려 할 때 효과적인 영양교사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의 내용과 중요도 역시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환경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검토, 보완되어야만 가치가 있을 것이다.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 개발: 델파이연구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 Competency Indicators for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Delphi Study)

  • 신재용;김정란;이지선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37-50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기반 중재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사 역량지표관련 자료들을 종합 분석하여 2016년 10월부터 12월까지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 결과를 수집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패널을 통한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를 개발하였다. 결과 : 역량지표는 8개 역량요소를 기반으로 1차 델파이 결과 133개, 2차 델파이 결과 135개의 역량지표가 조사되었으며 최종적인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는 8개 요소를 기준으로 131개의 역량지표가 개발되었다. 3차 델파이 결과 내용타당도 .95, 안정도 .10, 수렴도 0, 합의도 1로 높은 수준의 합의를 보였다. 결론 : 개발된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작업기반 중재를 실시하고, 교육훈련과 개발, 평가 등 인적관리를 위한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Delphi를 활용한 전직 핵심역량 개발에 관한 연구 - 특정직 경호공무원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ing Core Competency of Outplacement with Delphi: Focusing on Special Security Government Officials)

  • 김범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39호
    • /
    • pp.95-13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직 경호공무원의 전직 역량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전직 역량에 대한 규명과 정의 및 체계화를 통해 특정직 경호공무원들이 전직하는데 필요한 핵심 역량들이 어떠한 것들이 있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 연구와 전문가 협의회 검토와 전문가 델파이조사 등 3단계의 역량도출방법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우선먼저 연구자가 선행 문헌고찰을 통해 구조화한 잠정 전직관련 역량 6개 역량 군 124개의 하위역량들을 관련분야 전문가 협의회(9명) 3회에 걸쳐 검토보완을 통해 4개 역량 군 84개의 하위역량으로 조정하였다. 4개 역량군 84개 하위역량에 대한 전직분야 전문가 38명과 전직 성공자 38명 등 총 78명을 균형 있게 구성하여 반 구조화된 제한응답형의 질문지를 통해 델파이조사를 실시하고 정성적 분석과 정량적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전직역량의 타당도 검증을 one-sample-test를 활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1차 4개 역량 군 42개의 하위역량으로, 2차 4개 역량 군 23개의 하위역량으로, 3차 4개 역량 군 22개의 하위역량이 최종적으로 분석, 개발되었다. 연구과정에 직접 참여한 경호공무원 전직성공자들의 의견이 반영된 연구결과는 특정직 경호공무원들의 전직에 필요한 역량강화를 위한 전직지원 교육과정 및 교육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균형성과지표(BSC) 개념의 건설기업 성과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Utilizing BSC(Balanced Score Cards) for Construction Firms)

  • 신규철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27-34
    • /
    • 2002
  • 정보와 지식의 활용 제고는 건설기업에게도 중요한 경영목표의 하나이며 이러한 내외부 경영환경의 변화는 전통적인 재무제표에 의한 기업의 성과평가만으로는 그 다양한 경영성과를 평가하는데 한계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기업의 다양한 내외부 경영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핵심역량에 대한 새로운 성과평가의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재무적 평가지표에 더하여 고객지표, 학습과 성장지표, 내부프로세스지표의 4개 평가지표를 종합적으로 포함하는 균형성과지표인 BSC(Balanced Score Cards)개념을 건설기업에 적용하여 건설기업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성과평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건설기업의 비전과 전략을 분석하여 전략적 특성의 공통점을 건설기업의 특성으로 먼저 파악한 뒤, 건설기업의 경영목표에 대한 성과관리의 측면에서 건설기업의 경영환경에 맞는 성과평가의 모델을 개발하고 성과평가지표들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

자율실습교육에서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가평가 학습법이 간호술기 수행능력, 자율실습만족도,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유치도뇨를 중심으로 (Effects of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s: Focusing on Foley Catheterization)

  • 장은화;박수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8-12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atisfaction and learning motivations in nursing students'. The setting was the open laboratory hour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pre/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15. The participants were 82 sophomore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The experimental group did self-evaluation by watching recorded video clips of their performance.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self-evaluation. The primary outcomes were scores from the foley catheterization checklist, scores from a student satisfaction tool, and scores from a learning motivation tool.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higher mean score in levels of satisfaction b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2.26, p=.027). In addition,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skills by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mprovement in the control group (t=3.96, p<.001). Conclusion: Findings show that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s ha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both communication skills and satisfaction with practice during open laboratory hou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evaluation using smartphone recording is useful as a supplement to traditional open laboratory education.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의생활 수업 개발 -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lothing Life Education to Cultivate Subject Competencies based on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 Focusing on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Class-Evaluation)

  • 김서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5-128
    • /
    • 2018
  • 본 연구는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과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 가정과 수업의 현장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해 학생을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중심에 두어 삶의 주체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해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중심으로 의생활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가정과 수업에서 교과역량의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평가-수업의 일체화를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