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ve Intelligence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1초

SNS 기반의 지식경영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SNS)

  • 조병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81-186
    • /
    • 2014
  • 기업도 집단지성에 의한 지식 공유 및 외부와의 협력을 통한 지식의 생산/공유가 중요하다. 따라서 지식경영 시스템도 SNS 기반으로 설계하고 구축한 차세대 지식경영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지식경영 시스템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식경영 패러다임의 변화와 새로운 지식경영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알아보았다. 새로운 지식경영 시스템의 요구사항인 집단지성, 오픈이노베이션, IT 기술과의 융합을 고려하여 볼 때 차세대 KMS로는 SNS 기반 지식경영시스템이 가장 적합하다. 그러므로 새로운 차세대 지시경영시스템의 서비스 구조와 SNS기반의 지식경영시스템의 메인 설계 및 지식톡 설계 등을 통하여 SNS 기반 지식경영시스템의 구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ISMP: 집단지성 기반 이미지 공유 마켓 플랫폼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mage Sheard Market Platform)

  • 심규성;정용은;안병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5-5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집단지성 기반 이미지 공유 마켓 플랫폼을 제안 개발한다. 제안된 이미지 공유 마켓 플랫폼의 특징 및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안된 이미지 공유 플랫폼은 사용자들이 집단 지성적으로 가격을 결정하므로 기존의 플랫폼보다 매우 낮은 가격으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제안된 이미지 공유 플랫폼은 효과적인 웹 접근성을 제공 하므로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들 누구나 이미지들을 편리하게 접근하고, 자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된 이미지 공유 마켓 플랫폼은 효과적으로 이미지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집단지성을 활용한 시소러스 갱신에 관한 연구: 위키피디아를 중심으로 (Thesaurus Updating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Wikipedia Encyclopedia)

  • 한승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43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위키피디아를 활용하여 시소러스를 갱신하고, 그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시소러스 갱신에 있어 집단지성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ASIS&T 시소러스를 대상으로 시소러스를 갱신한 결과, 용어 포괄성의 측면에서 ASIS&T 시소러스에 비해 위키 시소러스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갱신된 시소러스를 평가한 결과, 위키피디아가 시소러스 갱신에 활용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특히, 리디렉션, 카테고리, 상호 링크로 요약되는 위키피디아의 구조적 특성은 시소러스의 의미관계를 추출하는 데 있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다국어 시소러스를 포함한 다양한 시소러스를 대상으로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Q&A 커뮤니티 기반 전문영역 검색을 위한 프레임워크 (A Framework for Q&A Community based Vertical Search)

  • 정옥란;오제환;이은석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3-158
    • /
    • 2011
  • 본 연구는 Q&A(question and answer:질문-답변)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집단지성의 특성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한 전문지식이나 정보 검색을 위한 전문영역 검색(vertical search) 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많은 Q&A 사이트로부터 얻은 정보는 하나의 집단지성의 형태로 볼 수 있으며, 전문영역 검색은 특정 전문 분야 검색에 초점을 맞춘 검색 방법이다. 제안된 프레임워크는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질의어와 연관되어 있는 질문(question)과 답변(answer) 정보를 이용하여 관련어를 확장한 후, 이를 기반으로 전문지식을 요구하는 특정 도메인분야에 적용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일반 검색 엔진을 통해 검색된 검색 결과보다 유용한 정보와 전문적인 상세정보까지 제공해 줄 수 있다.

집단지성기반의 『구운몽』 디지털 이미지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Guunmong』 Story's Digital Image-Contents by Collective Intelligence)

  • 이중곤;정대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501-51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서포 김만중의 문학작품 '구운몽'의 이야기를 활용한 현대적인 디지털 이미지 콘텐츠 개발 필요성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유망한 방법으로 집단지성을 활용하고자 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문화콘텐츠 개발은 기획단계에서부터 완성단계까지 여러 사람들의 협업을 통한 디지털기술의 적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역문화콘텐츠의 경우 그 지역을 배경으로 하거나 그 지역 출신 작가의 문학작품을 원형으로 개발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역문화자원을 체험관광상품으로 발전시켜 지역문화산업의 발전에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지역문화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집단지성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 디지털 이미지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의 이미지텔링 기법의 적용과 웹툰 캐릭터 활용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실제 적용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구운몽』 문화콘텐츠 개발사례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지속적인 협업을 통한 『구운몽』을 소재로 한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유통을 위하여 집단지성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제안한다.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정보화 사례 연구 - 집단지성에 의한 사료의 복원 - (A Study on Digitalization of Military Examination(武科) Candidates)

  • 양창진
    • 동양고전연구
    • /
    • 제56호
    • /
    • pp.117-146
    • /
    • 2014
  • 새로운 지식창출 수단으로서의 집단지성은 인터넷 시대의 핵심 화두가 되고 있다. 그러나 집단지성이 모든 부분에서 유용한 것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흩어져 있는 역사 자료를 수집하고 원형을 복원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그 복원 가능성 및 복원 과정에서 참여자의 가치관과 이해관계에 따른 왜곡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역사 자료를 복원하는 것은 역사 연구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 기초가 된다. 과거에는 이것이 열정을 가진 몇 몇 연구자 개인의 역량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였다. 때문에 연구의 진척이 느릴 뿐 아니라 복원되어 축적되는 정보의 양에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또한 그 결과를 검증하기도 쉽지 않았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연구자 및 관심 있는 일반인들이 사료의 복원이라는 하나의 주제에 협업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역사 자료의 복원은 양과 질 면에서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수의 협업에 의한 사료 복원 사례로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DB의 무과 급제자 정보 복원 과정을 고찰하였다. 고찰해 본 결과 이용자들은 자료의 직접 제공, 자료 소장처 제보, 자료 내용 속의 급제기록 제보 등의 방법으로 참여하여 흩어져 있던 상당수의 사료를 복원하였고, 복원된 사료의 정확성도 매우 신뢰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그리고 이 복원 과정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의 적극성, 운영자의 전문성, DB의 신뢰성이 덧붙여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웹 2.0 환경에서 UCC와 참여의 멱함수 법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UCC and 'Power law of Participation' for Web 2.0 Environment)

  • 강장묵;문송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25-330
    • /
    • 2008
  • UCC가 개인들의 독특한 경험에 근거한 콘텐츠인만큼 그 실태와 유형 그리고 제작하는 동기 등이 다양하다. 다양한 유형과 동기로 활용되는 UCC를 분석할 수 있는 과학적인 도구는 어떤 것이 필요하며, 이런 현상들을 귀납적으로 수렴하여 하나의 이론적 틀로 담아낼 수는 없는지 연구하고, 이를 위해 소개된 국내, 국외 이론들과 연구 모델은 없는지 고찰하였다. 참여의 멱함수 법칙을 통해 UCC를 참여하는 스펙트럼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익명성을 통한 자유로운 의견 표출이 가능한 낮은 문턱의 참여(집합적 지성, Collective intelligence)와 책임성을 통한 높은 문턱의 참여(협력적 지성, Collaborative intelligence)로 나누었다. 낮은 참여 문턱에서의 집합적 지성과 높은 참여 문턱에서의 협력적 지성을 구분하는 잣대는 사용자들 사이의 연결의 정도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상호 연결성을 높이고 UCC 생산자, 배포자, 소비자 간의 연결의 접점을 넓혀 새로운 관계 구축을 지향하게 된다. UCC의 사용이 늘어날수록 UCC가 사용되는 플랫폼이 증가할수록 분석하는 과학적 준거의 틀을 찾기 힘든 현실에서 유용한 사례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