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on Methods

검색결과 2,344건 처리시간 0.027초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Methods for Campylobacter Isolation from Porcine Intestines

  • Shin, Eun-Ju;Lee, Yeon-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7호
    • /
    • pp.647-650
    • /
    • 2009
  • Using 200 porcine colon tissues, the efficiencies of three isolation methods of Campylobacter from porcine intestines were compared: Method 1, direct streaking of colon mucosa; Method 2, direct inoculation of intestinal contents with a swab; Method 3, inoculation of pre-enriched medium. A total of 460 Campylobacter isolates were obtained from 178 samples (89%) by direct streaking of colon mucosa, 142 samples (71%) by direct streaking of a swab, and 94 samples (47%) by pre-enrichment of intestinal contents in Preston broth. Direct streaking of colon mucosa was superior to the other two isolation methods, in terms of rapidity and higher efficiency. When isolates were identified with various biochemical tests and PCRs specific to 16s rRNA, mapA, and ceuE, C. coli was the predominant species (87%) in porcine, whereas the rest of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C. lanienae.

계량적 접근에 의한 조선시대 필사본 조리서의 유사성 분석 (A Quantitative Approach to a Similarity Analysis on the Culinary Manuscripts in the Chosun Periods)

  • 이기황;이재윤;백두현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4권2호
    • /
    • pp.131-157
    • /
    • 2010
  • This article reports an attempt to perform a similarity analysis on a collection of 25 culinary manuscripts in Chosun periods using a set of quantitative text analysis methods. Historical culinary texts are valuable resources for linguistic, historic, and cultural studies. We consider the similarity of two texts as the distributional similarities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the texts. In the case of culinary texts, text elements such as food names, cooking methods, and ingredients are regarded as functional components. We derive the similarity information from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key functional components, cooking methods and ingredients. The results are also quantified and visualized to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perties of the individual texts and the collection of the texts as a whole.

  • PDF

단위 역률 구현을 위한 부스트 컨버터의 전류제어방식 비교 (The Current Control Methods Comparison of Boost Converter for Unity Power Factor)

  • 최재동;성세진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67-7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류회로가 포함하고 있는 고조파 발생과 역률저하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BPFC(Boost Power Factor Collection)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BPFC는 고역률올 구현하기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중의 하나로서 입력전압과 거의 동둥한 지속적인 인덕터 전류를 정현파에 가까운 형태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BPFC는 제어방식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었다. 본 논문에서는 순간모드선택 피크 전류제어방식과 PWM 평균전류 재어방식을 이용한 고역률 저고조파를 갖는 정류회로를 구성하여 각각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 PDF

교육과정 분석에 따른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예시 설계 (Designing the Archival Contents Sample for Education Based on Curriculum-standards Analysis)

  • 이은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5-188
    • /
    • 2011
  • 본 논문은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단계인 교육과정 분석과 컬렉션 분석의 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에 따라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예시를 설계하였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수업에서 통일 교육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를 설계함으로써 앞서 제안한 교육과정 분석과 컬렉션 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해보고,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자료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Processes in Public Libraries)

  • 강은영;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57-47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공공도서관 자료선정업무의 현황을 자료구입비 규모, 자료선정정책과 자료선정기준, 자료선정 담당 인력과 자료선정위원회, 자료선정방법과 자료선정도구 등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살펴 본 다음 사서들의 자료선정업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자료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자료선정정책, 자료선정인력, 자료선정방법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자료선정업무현황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국내 공립공공도서관 315개관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슬릿 임팩터의 입자 포집 효율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Slit Impactor)

  • 황창덕;허재영;김상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689-696
    • /
    • 1989
  • 본 실험에서는 종래와는 달리 먼저 입출구 부분에서 입자분포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실험함으로써 여러 가지 입자크기에 대하여 동시에 효율을 구할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하고 앞에서 열거한 여러 가지 실험인자중 레이놀즈수와 S/W를 변화시키면 서 일단 슬릿 임팩터(one-stage slit impactor)의 효율을 .root.Stk에 따라 구하여 일단 임팩터 뿐만 아니라 다단 임팩터(multistage impactor)에 대한 설계기초자료를 마련하 고자 한다.

SFAA 컬렉션에 활용된 서페이스 디자인연구 (Study on the Surface Design Used in S.F.A.A. Collection)

  • 김주희;금기숙
    • 복식
    • /
    • 제52권1호
    • /
    • pp.129-143
    • /
    • 2002
  • Patterns are something that comes out of necessity in human life,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it. Thus come the SFAA (Seoul Fashion Artists Association) collection which uses patterns varying in form, color, way of expression and material. For this research, I first categorized the patterns the SFAA designers used into: natural patterns, symmetric patterns, traditional patterns, stripe, plaid, dot and abstract patterns. As a result of the process. the designers most favored the natural patterns and symmetric patterns, and dot patterns were rarely used. The designer who most favored patterns in general was Sul Yun-hyoung, and the designer Kim Chul-ung rarely favored the surface effect. The seven kinds of patterns naturally differ according to the designer. as Park Hang-chi liked to use the plaid patterns along with yam dyeing material, whereas Jin Teok expressed stripe patterns using the yarn dyeing fabric. Natural patters were presented in a bizarre way with Lie Sang-bong. who took the motives appearing in Eastern ceramic and paintings into the clothes, using the print method. The symmetric patterns, which the SFAA designers most preferred. was used evenly among designers like Chang Kwang-hyo, Gee Choon-hee. Rubina, and Haneza. In contrast. Lie Sang-bong. who used abstract patterns that do not give out meaning of the actual form of the pattern. rarely used symmetric patterns. The dot patterns were most often used by Park Youn-soo. and traditional patterns were overwhelmingly chosen by Sul Yun-hyoung. Secondly. in expressing the colors, SFAA designers were much more likely to choose achromatic colors. not choosing to show off colors. This is especially apparent in works by Haneza and Lie Sang-bong. In the SFAA collections, numerous methods were used to create. For instance, Sul Yun-hyoung used the oriental embroidery method. and Rubina and Lie Sang-bong used many unique dying methods. In terms of materials, Sul Yun-hyoung preferred silk. due to her methods, and Lie Sang-bong was one of the designers that used a number of different materials such as vinyl. Jacques Mueclier of the Paris Clothes Association in France, who was invited to SFAA collection once, remarked. "While the choice of material and the actual sewing done were excellent, there lacked much difference among the designers, as most of them choose flowing silhouette In terms of composition," which is all too correct.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in the collection where the inherent feelings of cultural artifacts was expressed without alteration. Summing up, the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surface expression methods, forms and color of SFAA designs. and I hope that it can open up ways for new projects in the future.he future.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수집 및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and Application Measures for Media Platform Based Materials)

  • 노영희;정영미;손애경;장인호;차현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93-214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의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수집 및 이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국립중앙도서관을 포함한 국내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 현황 및 한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문헌조사를 통해 매체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현황 및 유형을 조사하였다. 셋째, 해외 주요 도서관 사례에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자료수집 지침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매체 플랫폼 기반의 자료 유형을 도출하고 해당 자료에 대한 정책을 검토하였다. 넷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매체별 수집대상 및 범위 정의, 수집 방법 등 수집 개요(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수집 개요(안)을 적용하기 위한 다음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1)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의 명확한 법적 근거 마련이 요구된다, 2)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별 수집 지침 개발 및 제시가 필요하다, 3)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수집 도구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4)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수집을 위한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위해 소셜 미디어 수집대상 기관의 수집 허락과, 실감콘텐츠 제작 및 서비스 기관과의 연계 협력이 필요하다, 5) 매체 플랫폼 기반 자료의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접근성 제고, 실감콘텐츠 등 e-deposit 시스템의 콘텐츠 확장성 및 사용의 용이성 제고, 그리고 실감콘텐츠 재현 공간 첨단화가 요구된다.

드론을 이용한 교통영상정보 수집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Traffic Information Image Collection System Using Drones)

  • 이문엽;박제진;진태희;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4호
    • /
    • pp.401-408
    • /
    • 2020
  • 본 연구는 교통정보 수집 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수집장비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에 따른 운영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기존 교통정보 수집방식의 문제점과 오차를 저감시킬 목적으로 드론을 이용한 교통영상정보 수집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현장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고도별, 각도별, 방향별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드론을 이용한 교통영상정보 수집방법에 관한 드론 촬영기준을 제안하였고, 기존의 교통정보 수집방법과 드론을 이용한 교통영상정보 수집방법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장·단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통영상정보 수집 시 드론을 활용하여 공중에서 각종 교통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기존에 설치한 교통정보 수집지점과 더불어 주변의 상황까지 더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각종 돌발상황, 재난상황 등 유고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이용자에게 주변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집지점을 변경·확대하는 등 고정식 장비로 수집되는 교통정보를 보완하여 정확한 교통량 조사 목적을 달성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