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산화 인지재활 치료(COMCOG) 효과 (Effect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 정원미;황윤정;윤종철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127-140
    • /
    • 2010
  • 본 연구는 시-지각 이론에 근거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가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작업수행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치매환자를 위한 독립적인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을 위한 인지재활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2009년 2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용인시 치매예방관리센터에 내원한 경증 치매환자 14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주 2회, 총 10회 가정 방문하여 전산화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전산화인지재활치료는 시-지각이론의 틀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알쯔하이머치매군과 비알쯔하이머치매군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작업수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써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산화인재활치료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에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수준판별검사 등의 인지기능과 작업수행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둘째, 비알쯔하이머치매군에 비하여 알쯔하이머치매에서 인지기능의 변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p<.05). 따라서 시-지각 이론의 틀에 근거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보인다. 또한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독립성의 증가로 인하여 작업수행에 대한 만족감도 증가에도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의 기능향상을 위한 보다 다양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수공예 작업치료 프로그램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eutic Craft Activity on improvement cognitive function and hand function in acute patients with stroke)

  • 장태용;박보라;양영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355-36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수공예 작업치료 프로그램 활동을 시행하였을 때 인지기능과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추후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중재방법에 대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진행은 서울 경기도에 위치한 A종합병원, B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두 그룹을 무작위 할당한 후 실험군에는 수공예 프로그램 활동을 4주 동안 주 2회, 30분간 적용하고 그룹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치료 전 후에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한 평가도구는 Box & Block Test,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Trail-Making Test이다. 결론적으로 중재 전 후 비교에서 수공예 프로그램 활동군의 손 기능 평가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 인지기능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수공예 프로그램 활동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손 기능 향상에 더 효과적임을 파악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니며, 향후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시 기초자료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클라이언트 중심 가정방문 일상생활훈련이 인지지원등급, 노인의 인지기능, 작업수행, 일상생활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Training through Client-Centered Home Visitation on Cognitive Functions,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among Elderly at the Cognitive Support Grade)

  • 손보영;방요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3-154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training through client-centered home visitation on the cognitive functions,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of elderly at the cognitive support grade(Grade6). Methods :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66-year-old woman living in G Metropolitan City, who has been diagnosed with Alzheimer's and mild dementia. The study period was from March 17, 2020 through June 12, 2020, and the A-B-A' design, among the individual case experiments, was adopted as the study design.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d visual analysis using graph were used for th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s,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Results : The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provided through client-centered home visitation improved the subject's cognitive functions, occupational performance(performance, satisfaction) and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daily life training through client-centered home visitation can help elderly people at the cognitive support grade select for themselves the problems of daily life caused by cognitive decline and practice specific action plans, thereby enabling them to maintain and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s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such as comprehension, memory, and thinking skills.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e activities based on the subject's preferences, performance, and sense of importance assured the subject of feelings of motivation and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s performance speed and rate. With the above in mind, Instrument-activities daily living client-centered home visitation is proposed as a potential practical intervention program for individuals. It can help elderly people at cognitive support grade to maintain and improve their functions, thereby delaying the progress of their condition to severe dementia.

Effects of a Brain Fitness Exercise on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dementia

  • Koo, Jung-Wan;Ryu, Jeon-Nam;Oh, Yong-Seop
    • 대한치료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20
    • /
    • 2018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brain fitness exercise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patients with dementia. Method: Forty-six elderly adults diagnosed with dementia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study or control group (n=23 per group). The study and control groups performed a brain fitness and regular exercise, respectively, for 40 minutes a day,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We examined cognitive capacity using MMSE-K, cognitive strength, judgment time, and mental workload score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ults: The study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variables. In addition,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brain stress. We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udy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all variabl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brain fitness exercise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s of dementia patients.

전산화 인지재활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효과: 단일대상연구 (Effects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on the Atten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Single-Subject Study)

  • 김만제;김수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1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을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재활이 주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개별대상자 실험연구 방법 중 다중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총 15회기를 주 3회씩 1회기 당 30분 동안 진행하였다.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주의력 영역에서 유지 주의력과 선택적 주의력 검사를 매 회기가 끝난 직후에 평가하였다. 선택적 주의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에 별 지우기 검사(star cancellation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전산화 인지재활 중재 후 유지 주의력과 선택적 주의력의 검사에서 정확도는 대상자 모두 향상되었다. 2표준편차 구간을 이용한 분석방법에서 대상자 1, 2가 유의한 증진이 나타났고 대상자 3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평균값이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사용한 인지재활은 ASD 아동의 주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gnitive factor Affecting Elderly in Community

  • Lee, Hye-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1호
    • /
    • pp.150-15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gnition the elderly in communit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and visual perceptual skills of the elderly. The subject's cognitive skill was statistically higher for males by gender, for lower age group, and for higher level of education.

Effects of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 Yeong-Ae Yang;Na-Yun Lee
    • PNF and Movement
    • /
    • 제21권2호
    • /
    • pp.193-202
    • /
    • 2023
  •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on upper extremity and cognitive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A total of 30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T) and task-oriented training groups (TO). The TT group performed 30 min 5 times a week for 4 weeks in task-oriented training combined with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he TO group performed 30 min 5 times a week for 4 weeks in task-oriented training. To measure upper extremity function, the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Manual Function Test, and Cognitive Function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troop Test and the Trail Making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before and after training in both groups, and the T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group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transcranial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i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s.

노인의 인지기능과 낙상유발 행동요인과의 상관분석 (Correl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Fall-risk Related Behavioral Factors)

  • 주유미;이헌주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2호
    • /
    • pp.41-50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수준이 낙상을 유발하는 위험 행동요인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간 4개의 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인지장애가 있는 노인 및 인지장애가 없는 노인 43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평가(K-MoCA) 및 낙상행동요인척도(FaB)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두 평가의 총점 결과간의 상관관계를 SPSS 2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각각의 낙상행동요인과 인지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노인의 인지수준과 낙상행동요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노인 낙상행동요인 척도의 총 30개의 문항 중 9개의 문항이 K-MoCA의 총점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노인의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낙상위험 행동요인이 적고, 인지수준이 낮을수록 낙상위험 행동요인을 인식하지 못하고 낙상관련 위험행동을 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일부 낙상위험 행동요인은 인지수준과 상관관계가 있어 관련 중재를 제공할 시 고려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노년기의 인지 저하가 활동참여와 사회적 관계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gnitive Decline of Elderly on Activity Participation and Social Network)

  • 최유임;우희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4
    • /
    • 2019
  • 목적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인지수준이 여가나 일상생활활동 뿐만 아니라 활동에 대한 참여와 사회적 관계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에 거주중인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MMSE-K의 점수가 15점 이상 23점 이하인 경도인지장애노인들을 대상으로 선별하였다. 대상자들의 영역별 인지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MoCA-K를, 활동참여 수준 및 사회관계망 지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K-ACS와 LSNS-18을 각각 적용하였다. 결과 : 인지와 활동 참여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지의 다양한 하위 능력(시공간능력, 어휘능력, 주의력, 추상력, 지남력)이 수단적 일상생활, 여가활동, 사회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또한 인지의 모든 하위 능력이 사회적 관계망의 하위 요소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인지의 전반적 요소들이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다양한 영역의 활동참여 및 사회적 관계망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들을 통하여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의 활동 참여와 사회적 참여를 높이는 방안들이 마련되기를 제언하는 바이다.

작업치료 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Program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

  • 이민재;이선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8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program and clinical competence scale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 Methods : The development of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program used the delphi technique method, which had a total of five steps. Based o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job analysis, the first stage assessed the importance of 21 experts, and the second stage examined the importance of 19 new specialists to derive constitutive factors. In the third stag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experts based on the derived factors, and in the fourth stage, the final clinical practice education program was derived. In the final stage, the details of the clinical training program were drawn up based on the themes and were reviewed by two experts. Structured and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3 job experts. Results : The expert survey through the delphi technique was conducted three times, and content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responses. The final 11 educational program topics and contents were derived. Topics are confirmation of client inform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cognitive therapy, spinal cord injury, brain injury, musculoskeletal disorders,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driving rehabilit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safety training and management. Conclusion :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program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clinical edu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 Occupational therapy helps college student understand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linical education. Through more research and supplementation of clinical practice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hat clinical practice education be successfully operated in various practice institutions and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ing and evaluating useful educational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