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Intensity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5초

Lactate consumption mediates repeated high-intensity interval exercise-enhanced executive function in adult males

  • Cho, Hae-Sung;Lee, Won Sang;Yoon, Kyeong Jin;Park, Soo Hong;Shin, Hyung Eun;Kim, Yeon-Soo;Chang, Hyukki;Moon, Hyo Youl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5-23
    • /
    • 2020
  • [Purpose] Lactate is a principal energy substrate for the brain during exercise. A single bout of high-intensity interval exercise (HIIE) can increase the blood lactate level, brain lactate uptake, and executive function (EF). However, repeated HIIE can attenuate exercise-induced increases in lactate level and EF. The lactate levels in the brain and blood are reported to be correlated with exercise-enhanced EF. However, research is yet to explain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lactate and EF. This study examined whether lactate consumption improves the attenuated exercise-enhanced EF caused by repeated HIIE. [Methods] Eleven healthy men performed two sets of HIIE, and after each set, 30 min were given for rest and examination. In the 2nd set, the subjects consumed experimental beverages containing (n = 6) and not containing (n = 5) lactate. Blood, cardiovascular,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measured, and EF was evaluated by the computerized color-word Stroop test. [Results] The lactate group had a higher EF (P < 0.05) and tended to have a higher blood lactate level (P = 0.082)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2nd set of HIIE. Moreover,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interference score (i.e., reverse score of EF) (r = -0.394; P < 0.05).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attenuated exercise-enhanced EF after repeated HIIE can be improved through lactate consumption. However, the role of lactate needs to be elucidated in future studies, as it can be used for improving athletes' performance and also in cognitive decline-related clinical studies.

인지 기능 수행 시 BOLD 신호 크기에 기반 한 영역별 대뇌 편측화 (Cerebrum Lateralization by Area based on the Intensity of BOLD Signal during Cognitive Performance)

  • 정순철;손진훈;김익현;이수열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3-192
    • /
    • 2005
  • This study compared cerebral lateralization index based on the area of neural activation with that based on the intensity of neural activation. For this purpose, 8 right-handed male college students (the mean age - 23.5 years) and 10 right-handed male college students (the mean age - 25.1 years) participated respectively in researches on visuospatial and verbal task brain function. Functional brain images were taken from 3T MRI using the single-shot EPI method. The result of measuring cerebral lateralization index based on the area of neural activation suggested that the right hemisphere is dominant in visuospatial tasks and the left one is in verbal tasks. However, the dominance is not sufficient to locate the exact part of the brain for these tasks. When cerebral lateralization index was computed based on the intensity of neural activation, it was derived that the area of cerebral lateralization closely related to visuospatial tasks is the superior parietal lobe, and the area of cerebral lateralization closely related to verbal tasks is the inferior and middle frontal lobes. Thus, cerebral lateralization index by area based on the intensity of neural activation as proposed by this study can determine the dominance of the cerebrum by area, so is helpful for accurate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erebral lateralization.

디스플레이에서 조도와 대비비에 따른 가독성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Legibility Based on Illumination Intensity and Contrast Ratio in Displays)

  • 홍지영;민장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71-76
    • /
    • 2017
  • 사물을 분석하고 인지하는 분야에 해당하는 시지각은 시각의 생리학적인 측면과 시각체계의 인지적 측면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립된 시지각 이론이 각 분야별로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뉴미디어 시대의 대표적 사례물 중 하나인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강조되는 가운데, 시지각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효용성 있는 시각적 인지 기반의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인식이 본 연구의 기본적인 이해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하여 조도와 배경의 밝기에 따른 가독성 관련 실험을 진행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조건에 해당하는 조도의 환경 조건과 기존 모바일 디스플레이에서 가독성 향상 방안으로 제안되는 두 가지 배경의 밝기 조건을 대상으로 하여 가독성 관련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조도와 배경의 밝기에 따른 가독성에 대해 유의미 여부를 정의하고 가독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제 2형 당뇨 마우스의 운동 형태가 ẞ-Amyloid, BDNF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Type on ẞ-Amyloid, BDNF and Cognitive Function in Type 2 Diabetic Mice)

  • 김도연;우진희;신기옥;노희태;이율효;윤병곤;박찬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09-417
    • /
    • 2020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운동유형이 당뇨처치 그룹의 베타 아밀로이드, BDNF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4마리의 C57BL/6 쥐를 당뇨처치를 하지 않은 그룹 6마리(통제그룹: 6)와 당뇨처치 그룹 18마리로 무작위 할당하여, 이를 다시 당뇨처치 그룹의 경우 통제그룹 6마리, 유산소 운동그룹 6마리, 저항운동 그룹 6마리로 나누었고 운동그룹은 8주간 주 5회 저강도로 각각 트레드밀 운동과 사다리 운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베타아밀로이드는 8주 후 당뇨처치 그룹의 통제그룹(DM.G.)이 나머지 세 그룹에 비하여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BDNF의 경우는 당뇨통제그룹이 나머지 세 그룹에 비하여 낮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인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Y-미로 검사에서도 당뇨통제 그룹이 나머지 세그룹에 비하여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후각 바이오 정보 기반 치매 가상증강콘텐츠 기술 동향 (Digital Olfactory Based Dementia Screening and Cognitive Enhancer Content)

  • 최종우;장성준;방준학;이해룡;김진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4호
    • /
    • pp.89-97
    • /
    • 2019
  • The olfactory bio technology is largely based on its corresponding recognition technology and smell stimulus that acquires, analyzes, and process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present in chemical molecules, which are present in the breath or air evoked by an electronic nose artificially imitating the human biological nose. The olfactory bio technology is also based on a scent display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diverges various digital flavors based on aesthetics, concentration, duration, and intensity information required to enhance the sensibility using a computer.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noninvasive screening of dementia by sensing, analyzing, encoding, and transmitting bio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n olfactory interface, both domestically and externally; further, the olfactory medical content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delay or reduce the onset of dementia. In this study, we will focus on early screening of dementia using olfactory biology information and dementia cognitive enhancer content that delays or reduces the onset of dementia.

비전기반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도로 주행 영상 개선 방법 (Road Image Enhancement Method for Vision-based Intelligent Vehicle)

  • 김승규;박대용;최영우
    • 인지과학
    • /
    • 제25권1호
    • /
    • pp.51-7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도로 주행에서 취득한 영상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도로주행 영상은 다양한 조명 환경과 날씨 상태로 인하여 선명하지 못한 영상이 취득되기도 한다. 특히 역광이나 야간에는 품질이 좋은 선명한 영상을 얻기가 더욱 어려우며, 이는 비전기반 지능형 자동차 기술의 응용에 많은 어려움을 준다. 인간의 시각 인지방법은 여러 가지조명 조건을 고려하여 색을 지각한다. 하지만 기존의 영상 개선 방법들은 광원의 위치와 광도, 기하학적 관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완벽한 결과를 얻기가 어려우며, 오히려 영상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1) 주어진 입력 영상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2) 선명도를 추정하여 색채의 대비를 평가하고, 3) 과대 및 과소평가 결과를 전처리된 영상과 혼합하여 사람이 지각하는 색상과 같이 개선된 영상을 얻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시각적으로 개선된 결과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비전기반 지능형 자동차 기술의 한 응용분야인 교통표지판 검출의 전처리 과정으로 적용되어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문통제동통이론과 FISHBEIN의 모델을 이용한 동통표현 예견에 대한 연구 (Prediction of Pain Expression Using the Extended Gate Control Theory of Pain and Fishbein′s Model)

  • 이은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1
    • /
    • 198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a) develop theoretical modifications of the extended gate control theory of pain using Fishbein's model and(b) test the efficacy of these modifications. Attitude, social subjective norm, personal subjective norm, habit and state anxiety were operationalized to represent internal stimuli for the cognitive-evaluative and motivational-affective dimensions of the theory. Pain expression was operationalized as sensory and affective responses to pain, and pain endurance. Sixty-two female nurses from 20 to 50 years of age participated. A semantic differential scale measured attitude and motivations to comply; a Likerty-type scale measured personal and social norms and habit. Spielberger's STAI measured state anxiety, Pain was produced using a modified submaximum effort tourniquet technique. Pair expression was measured using ratio scales of sensory intensity and unpleasantness developed by Gracely and his associates. Pain endurance was measured by subtracting time of pain threshold from pain tolerance. The first hypothesis examining whether pain endurance would be mo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ffective response than to the sensory response was net rejected. Four remaining hypotheses, testing the ability of the five variables to predict the sensory and affective responses were not rejected. However, the habit of pain expression and the attitude toward pain expression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both sensory and affective responses to pa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gnitive-evaluative and the sensory-discriminative dimension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gnitive-evaluative and motivational-affective dimensions were partially supported by the data from these two variabl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tivational-affective and the sensory-discriminative dimensions was also supported by the relationship of sensory to affective responses. The variables which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pain expression appeared to have potential for prediction. Revision and testing of the tools for better reliability, validity, and clinical usuability are needed. The study contributed to theory building. The identification of variables which pre-dict pain behavior must occur before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can be developed.

  • PDF

인지 무선 시스템에서 웨이블릿 패킷 분해를 이용한 서포트 벡터 머신 기반 스펙트럼 센싱 (Spectrum Sensing based on Support Vector Machine using Wavelet Packet Decomposition in Cognitive Radio Systems)

  • 이규형;이영두;구인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81-88
    • /
    • 2018
  • 부사용자가 주사용자의 주파수 사용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인지 무선 시스템의 핵심 기술인 스펙트럼 센싱을 사용한다. 스펙트럼 센싱 기법 중 에너지 검출법은 할당 된 채널 신호의 강도에 따라서 주사용자의 주파수 사용 유무를 판별한다. 이 기법은 단순히 신호의 크기를 이용해 스펙트럼 센싱하기 때문에 SNR 대역이 낮아질수록 주사용자의 신호를 검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낮은 SNR 대역에서의 성능 열화를 극복하기 위해 웨이블릿 패킷 분해를 사용한 서포트 벡터 머신을 스펙트럼 센싱과 융합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 방식은 센싱 신호를 웨이블릿 패킷 분해를 기반으로 특징 추출하여 Support Vector Machine의 훈련과 실험용 데이터로 사용한다. 제안한 방식의 실험 결과를 SNR대역에 대해 정확도와 ROC 커브 그래프의 AUC를 이용하여 에너지 검출법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시스템은 낮은 SNR대역에서 에너지 검출법 보다 더 향상된 판별 성능을 보였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운동 행위 예측 요인 (Prediction Model of Exercise Behavior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이은옥;김인자;김종임;강현숙;배상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81-691
    • /
    • 2001
  • Purpose: The exercise status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ssociations between exercise behavior and personal factors, and associations between exercise behavior and exercise-specific cognitions and their effects were assessed. Method: Four hundred thirty nine out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were studied. The exercise status was measured by a single item. The intensity was multiplied by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each exercise. The product of these intensity values for all exercises was defined as exercise behavior. Based on the Pender's revised health promotion model, exercise benefit, barrier, self-efficacy, enjoyment and social support were chosen as exercise 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variables. Path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exercise behavior. Results: Compared to the duration before being diagnosed, the number of subjects who exercised regularly increased after being diagnosed. However over half of the subjects refrain from any sort of exercise and the type of exercise is very limited. Among the variables, exercise barrie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exercise behavior, and only previous exercise experi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all behavior specific cognitions and affect variabl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ies should explore exercise behaviors and strategies to emphasize the cognitive-motivational messages to promote exercise behaviors.

  • PDF

가정교과의 소비자교육이 중학생의 소비자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consumer education through Home Economics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sumer competency)

  • 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교과의 소비자교육이 중학생의 소비자역량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단일집단 사전·사후 유사 실험 설계를 사용하여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 1학년 7개 학급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가정교과에서 소비자교육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 대응표본 t검증, 다중회귀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신입생의 인지적 소비자역량은 100점 만점에 37.66으로 중간보다 낮았고, 실천적 소비자역량은 5점 만점에 3.26으로 중간보다 높았다. 인지적 소비자역량은 시민역량(M=39.97)이 거래역량(M=36.15)보다 높았고, 실천적 소비자역량은 거래역량(M=3.32)이 시민역량(M=3.16)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은 가정교과에서 소비자교육을 받고 난 후에, 인지적·실천적 소비자역량(거래, 시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가정과수업을 통한 소비자교육은 인지적인 측면에서는 구매의사 결정력과 소비자권리 주장력을 향상시키고,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정보이해·활용력과 소비자권리 주장력을 크게 향상시키며, 가정과교육의 도움 정도에 대한 인식과 생활만족도도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중학생의 실천적 소비자역량(거래, 시민)은 가정과교육내용이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할수록, 인지적 소비자 시민역량이 높을수록, 소비자 거래 또는 시민 영역이 중요하다고 인식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과 생활만족도, 인지적 소비자 거래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가정과수업을 통한 소비자교육은 중학생의 인지적 소비자역량과 실천적 소비자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후속 연구를 위해 소비자역량 척도, 소비자역량 연구, 가정과교육의 소비자역량 강화 측면에서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