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uster Policy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7초

독일의 지역 혁신클러스터 정책: 바덴-뷔르템베르크주를 중심으로 (Regional Innovation Clusters Policy in Germany: Focusing on the State Baden-Württemberg)

  • 안영진;구지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1-407
    • /
    • 2023
  • 바덴-뷔르템베르크주는 독일에서 가장 강력한 지역경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독일과 유럽에서 가장 혁신적인 지역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클러스터는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혁신 전략에서 중추적 역할을 해 왔다. 이 논문은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현대 클러스터 정책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클러스터 정책은 클러스터의 형성뿐만 아니라, 혁신 네트워크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왔다. 클러스터 정책은 특히 다양한 산업 및 기술 간의 협력 장려와 국제화를 위한 조치를 추진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클러스터 정책의 주요 목표는 클러스터 관리를 전문화하고, 클러스터의 품질을 제고하는 것이었다.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클러스터 정책은 상향식 접근방법을 채택하여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조치와 수단을 활용해 왔다. 또한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클러스터 정책은 산업 클러스터 육성 전략을 개발하고 다양한 조치를 시행하는데 책임을 맡은 전담 클러스터 관리기관을 설치하여 운영해 오고 있다.

EU Cluster의 특징 및 정책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Features and Policies of EU Cluster)

  • 김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40-4444
    • /
    • 2012
  • 본 논문은 EU권의 Cluster를 통해서 한국정부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장에서는 Cluster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제 3장에서는 연구방법을 그리고 제 4장에서는 본 논문의 핵심인 EU의 Cluster정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제 5장에서는 결론 분야로서 정부에 주는 시사점 및 참여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EU Cluster를 학문적으로 처음으로 다루었다는 것에 본 연구의 기여도를 들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서 살펴본 EU정부의 CLuster정책은 특히 중소기업 기술혁신력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항만클러스터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ort Cluster in Korea)

  • 한철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2
    • /
    • 2003
  • Recently, the cluster-based industrial policy has become a powerful policy tool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s, industries and firms. The concept of cluster develops as firms choose to locate in each others proximity. Cluster concept can be usefully applied to analyze cluster of port-related activities. Port cluster can be used as a systematic foundation for providing one-stop value added logistics service to its customer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way for establishing the port cluster in Korean seaport. For this aim, the paper defines a concept of port cluster and examines the its necessity. And the procedure for establishment of port cluster in Korea is proposed. In addition, the paper analyzed the port cluster structure-conduit-performance. Especially, the role of port cluster's participant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universities and related R&D institutes, and private companies, are suggested respectively. As a conclusion, policy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port cluster in Korea are suggested.

  • PDF

The Strategic Transformation from Innovation Cluster to Digital Innovation Cluster during and after COVID-19

  • Yim, Deok Soon;Kim, Wangdong;Nam, Young-h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9권2호
    • /
    • pp.164-186
    • /
    • 2020
  • It is generally known that a Science and Technology Park -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n Innovation Cluster - produces network synergy among industry,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and other innovation actors in a specific area, so that it has a competitive edge over other region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However, as the novel Coronavirus (COVID-19) pandemic unfolds, it has become necessary to reduce face-to-face contacts and this could lead to lesser network synergy being produced in an Innovation Cluster. With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 was designed and conducted to evaluate how COVID-19 has changed the activities in Innovation Clusters and explore future development scenarios. In order to find out the changes occurring in an Innovation Cluster,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people in Science and Technology Parks.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people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upport activities, and face-to-face contacts have been reduced in the Innovation Cluster. A scenario planning sought to explore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Innovation Cluster. It suggests that the transformation into a Digital Innovation Cluster, which is less affected by physical distance, but can still maintain the effectiveness of the networks, can be the key strategy for the future Innovation Cluster.

Regional Innovation Policy and Venturing Clusters in Japan

  • Kendo Masayuki
    • 기술혁신연구
    • /
    • 제14권2호
    • /
    • pp.167-181
    • /
    • 2006
  • This paper reviews regional innovation policy in Japan. 'Technopolis' policy, the first technology-base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n the world, was implemented in Japan. Nonetheless, technology-based regional endogenous development did not occur. Then, regional technology transfer was pursued. In order to make use of universitie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s in a region for development,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nd cross-over, such as university spin-offs, were promoted. Within this background, new technology-based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have been introduced based on a cluster approach. These policies are the knowledge cluster Initiative and the industrial cluster program. However, existing companies have difficulty in carrying out innovation. This paper argues that a cluster to create new start-ups that carry out innovation is also needed and explains a new concept of venturing cluster. Based on this new cluster concept, this paper analyzes the situation of Sapporo in Japan, where many university spin-offs are being created in the biotechnology field.

  • PDF

지역산업클러스터 사례연구 : 클러스터 평가지표와 정책과제 (A Case Study of Regional Industry Clusters : Clusters Estimate Index and Policy)

  • 원구현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2호
    • /
    • pp.197-223
    • /
    • 2005
  • 21세기 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 수단으로 부상하면서 정책 대상으로서의 클러스터 도출(identification) 및 확인(mapping)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단위의 클러스터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클러스터 지향적 정책과제(focused cluster policy)의 도출하고,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네트워크를 파악함에 있어서 타 클러스터와의 비교 및 시계열별 비교, 정책목표의 달성정도 평가를 위하여 클러스터 평가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클러스터 사례분석은 클러스터 유형화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요약하면, 클러스터를 개발하려는 시도는 다른 지역에서 성공한 클러스터를 모방하기보다는 경쟁우위와 전문성을 토대로 추진되어야 하고, 산업정책과 다른 산업클러스터 정책을 개발해야하고, 시장지향적인 클러스터 생태계를 구축해야 하며, 각 지역 여건 및 산업특성에 적합한 혁신체제를 구축과 혁신창출의 인프라를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 PDF

지역 유치형 클러스터 비교분석 연구 - 대구 테크노폴리스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중심으로 - (The Comparative Study of Local Recruit Type Clusters)

  • 윤진효;하정봉
    • 통상정보연구
    • /
    • 제9권4호
    • /
    • pp.217-239
    • /
    • 2007
  • We want to know the key factors which are important to make any cluster grow up. First, we make four cluster types which are national policy type, local recruit type, local network type, and existing industry transforming type. Second, We selected Austin case and Kyushu case as two local recruit type clusters. Third, this paper looks into the dynamics of two clusters. Forth, we arrive at the conclusion including the policy implication for Daegu technopolis.

  • PDF

광역클러스터 개념의 도입과 정책과제 (The Concept of Extended Industrial Cluster and Its Policy Directions)

  • 주성재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27-338
    • /
    • 2003
  • 산업클러스터는 원래 소규모 지역범위에서 기업, 대학, 연구소 등이 밀접한 네트워킹을 가지면서 집적의 경제를 발생시키는 곳이라는 개념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행정구역을 초월한 협력 또는 클러스터간의 협력이 이루어지면서 광역클러스터의 개념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를 육성하기 위한 정책수단이 마련되기에 이르렀다. 이 연구에서는 광역클러스터 개념 도입의 필요성을 지리적 범위의 유연성, 기능의 상호보완가능성 및 지역간 협력, 비용절감 및 생산성 확대의 효율성, 클러스터의 발전단계의 각 측면에서 살펴보고, 광역클러스터의 개념을 어떻게 정립하고 한국적 맥락에서 광역클러스터 정책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논의한다.

  • PDF

스마트전문화 전략 및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와 클러스터 정책의 연계를 통한 대안적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In Search of an Alternative Regional Industrial Policy by Linking Cluster Policy with 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and the Triple Helix Innovation System)

  • 이종호;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99-811
    • /
    • 2016
  • 참여정부 이후에 명시적 및 암묵적 형태의 다양한 클러스터 정책들이 추진되어 왔으나, 산업집적지 경쟁력의 근본적 강화를 위해서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대안적인 지역산업정책 도구로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스마트전문화 전략과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 이론이 기존의 클러스터 정책과 어떠한 이론적 및 정책적 연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안적 클러스터 정책 수립을 위해 어떠한 함의를 제공하는 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대안적 클러스터 정책은 지역특수성에 토대를 두고 산 학 관의 자발적 협력에 기초한 혁신의 합의공간(consensus space) 구축을 통해 추진되어야 하며,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실질적인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투자와 집적지의 관련 다각화 기반을 활용한 신산업의 육성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혁신클러스터의 진화 :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The Evolution of Innovation Cluster : Focusing on the Daedeok Innopolis)

  • 황두희;정영철;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07-1236
    • /
    • 2018
  • 본 논문은 혁신클러스터의 수명주기에 관한 논의를 심화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적인 혁신클러스터인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성장과 발전 과정의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혁신클러스터 정책의 특징을 살펴보고 혁신클러스터 수명주기 이론에 기반하여 특정한 혁신클러스터가 성장 단계별로 어떠한 정책을 통해 구축되고 활성화되었는지의 현상과 각 주기별 유형적 특성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특히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성장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와 발전과정에서 제도 및 정책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대덕연구개발클러스터는 진화적 관점에서 잠재기, 출현기, 성장기, 성숙기의 단계(dimensions)적 특성을 가진다. 둘째, 대덕연구개발특구는 기본적으로 정부주도적 하향식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상당히 포괄적이며 유연한 우산정책적 특성을 가진 혁신클러스터 정책 구조(governance), 조치(measurements), 도구(tools)가 적용되고 있다. 셋째, 이와 같은 수명주기의 각 분면과 단계에서 혁신장애로 인식되는 점을 대상으로 정책적 기조를 재조정하면서 적응적 발전하는 것이 포착된다. 이성에서 혁신클러스터의 성장측면에서 구조적 접근보다 미세하게 정책이 적용되어야 하고 발전과정에서 변형(transformation)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혁신클러스터의 진화론적 관점에서 각 단계별 유형적 특징 및 진화의 방향을 고찰하여 정부의 혁신클러스터 정책개입의 효과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