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 일본, 미국 임상병리사 전문자격 (Professional Certification of Medical Technologists in Korea, Japan, and United States of America)

  • 구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14
    • /
    • 2019
  • 우리나라, 일본, 미국의 임상병리사 명칭은 의료체계, 교육제도, 업무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전통적으로 medical technologist (별칭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 medical laboratory technologist,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 medical laboratory scientist)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직종은 histotechnologist, cytotechnologist, genetic technologist이다. Extracorporeal technologist, medical electrophysiology technologist, medical sonographer는 medical technologist를 포함한 다른 보건의료인도 자격을 취득할 수 있는 직종이다. 임상병리사의 업무영역은 임상병리기술학, 병리기술학, 임상유전기술학, 핵의학기술학, 임상생리기술학으로 분류하였다. 새로운 전문임상병리사 종별은 CLMJ, CMAJ, ASCP, IAC, ABRET, ARMDS 등의 자격인정제도를 참고하였다. 현재 전문임상병리사 종별은 전문과목학회의 협조 하에 기존의 8종으로 혈액학, 수혈학, 화학, 면역학, 미생물학, 조직학, 세포학, 핵의학분야가 있으며 앞으로 미세질량분석, 감염관리, Pathologists' Assistant, 유세포분석, HLA, 세포유전학, 분자유전학, 심폐생리학, 신경생리학(뇌파/근전도/수면다원 등), 심장초음파학, 신경초음파학(뇌혈류/경동맥), 기기품질관리사 등 업무영역별로 20종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Factors Affecting the Job Performance of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 심문정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40-144
    • /
    • 2009
  • Clinical laboratory testing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tec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sease.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evaluate test results, develop and modify procedures, and establish and monitor programs, to ensure the accuracy of tests. It is clear that over the past decade the role of the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has expanded and this process will be continued into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performance of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and aim to provide the role and duties of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To examine the frequency of work context and the importance of task,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168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used 10 score by Likert scal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job performance was "Analyze laboratory findings to check the accuracy of the results", and the next factors were "Establish and monitor quality assurance programs", "Enter data from analyzer into computer", "Calibrate and maintain equipment". And the factors of "repeating same tasks" and "spend time making repetitive motions" were answered the highest. This study will provide strategies for improving work environment, developing education curriculum and method, and role of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We must continually upgrade our knowledge, and identify the new trends in technology and science and accept changes.

  • PDF

임상병리사 업무 범위와 법률적 고찰 (Study on Legal Issues and Scope of Medical Technologist's Practice)

  • 심문정;구본경;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55-68
    • /
    • 2017
  • 최근 과학과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의료행위에 있어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환자의 치료에 있어 그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임상병리사의 경우, 역할과 중요성이 의료과학 분야가 발달함에 따라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책임감 역시 증가하고 있다. 임상병리사의 전문성과 독립성의 증가로 더 이상 의사의 보조로만 여기지 않고, 의사의 진료와 의료기사 등의 의료 보조행위에 기초하여 현대 의료서비스는 보다 조직화되고 복잡화, 전문화 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의료기사는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도하에서만 면허범위 내의 행위가 가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각종 의료행위에 있어서 임상병리사를 중심으로 하여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중에서도 의료업무, 의료지도에 관한 부분 등에 관해 살펴보았다. 결론으로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의사의 지도에 대한 명확한 해석이 필요하며, 국가면허시험의 자격과 역할을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명시하고, 임상병리사의 역할에 대해 보건의료인들과의 소통 또한 필요하며, 독립된 법제정으로 임상병리사들의 영역 확대와 전문성을 확대 강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북한 임상검사인력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Clinical Laboratory Personnel in North Korea)

  • 구본경;주세익;김대중;장인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3-89
    • /
    • 2020
  • 북한과 남한은 임상검사실 인력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북한에서는 남한의 '임상병리사'에 해당하는 유사인력을 '실험의사(검사의사)'라고 호칭한다. 본 연구자들은 탈북 보건의료인의 증언을 바탕으로 한 선행연구를 고찰해 보면, 검사의사(laboratory doctor)의 신분은 의사(physician)와 준의(feldsher, physician assistant)일 것이라고 사료된다. 의사와 준의는 5.5년제 의학대학 및 3년제 의학전문학교에서 양성되고 있다. 북한의 보건의료인력체계는 남한의 경우처럼 보건전문가들의 전문영역별 업무나 교육, 자격 및 법률이 세분화되어 있지 않다. 대한임상병리사협회는 한반도 통일을 대비하여 유관 단체와 함께 정책연구를 통해서 북한 임상검사인력에 대한 직제 전문화 구축과 발전 방향을 상호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병리사 명칭 변경을 위한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of Changing the Job Title of Medical Technologist)

  • 구본경;김원식;박선구;박종오;윤성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05-121
    • /
    • 2021
  • 임상병리사 명칭 변경과 관련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사단법인 대한임상병리사협회에서는 정회원으로 등록된 총 22,638명에게 온라인을 통해 제시된 명칭에서 2개를 선택하는 설문 답변을 요구하였으며 이 중 3,999명(17.66%)이 설문조사에 회신답변하였다. 명칭 선호도는 회원 1인당 2개를 선택하는 답변을 통해서 6,958건이 산출되었으며 그 중 5,555건(79.83%)가 '분석사' 레벨을 선호하였다. 명칭에 대한 조사결과는 진단검사분석사가 2,417건(34.73%)으로 가장 많았고, 임상검사분석사는 1,710건(24.57%), 의생명병리사는 758건(10.89%), 의생명분석사는 730건(10.49%), 의생명검사분석사는 730건(10.03%), 임상검사과학사는 646건(9.26%) 순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조사된 회원들의 요구도, 자문, 문헌고찰, 표준직업분류, 주요대상국 현황을 기반으로 "진단검사분석사(Diagnostic Laboratory Analyst), 의생명검사분석사(Biomedical Laboratory Analyst), 의생명분석사(Biomedical Analyst)"를 명칭 정립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임상병리사의 채혈 업무량 평가에 따른 적정 인력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 Manpower Estimation according to the Evaluation of the Blood Collection Workload of Medical Technologists)

  • 최세묵;양병선;김윤식;임용;오연숙;배도희;최병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95-503
    • /
    • 2019
  • 본 연구는 채혈실의 적정인력에 대한 표준산출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임상병리사의 채혈 업무량 평가에 따른 적정인력 규모를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 600에서 2,000병상 사이의 11개 대학병원을 선정하였다. 표준산출모형을 위한 채혈 관련 주요 인자를 선정하고 국내현황조사, 인자의 병원 간 분석, 표준채혈시간을 제시하여 채혈 적정인력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으로 600에서 2,000병상 사이의 11개 대학병원을 선정하였다. 소아와 노인을 제외한 20세 이상~60세 미만의 성인 외래채혈환자를 대상으로 측정한 14단계 표준채혈시간은 4분 8초이었다. 하루 8시간 기계적 채혈을 한다고 가정할 경우 1명의 임상병리사가 채혈 할 수 있는 최대건수는 100건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채혈에 종사하는 임상병리사의 1일 적정채혈 환자 건수는 100건 이하로 하는 것이 적정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채혈적정인력은(채혈업무 100% 비중)=연간적정건수/((1일 근로시간/건당 소요시간)×연간 근무일수)이므로 채혈 적정인력(채혈업무 100%비중)=연간적정건수/(100×연간 근무일수)라 할 수 있다.

OC Sensor PLEDIA를 이용한 LX Detergent Cleaning Solution과 OC Detergent Cleaning Solution의 동등성 평가 (Analysis of a Comparability Test between LX Detergent Cleaning Solution and OC Detergent Cleaning Solution Using OC Sensor PLEDIA)

  • 차경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9-31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기능적, 정량적 분석을 바탕으로 수입 LX 세정액(LX-CS)과 자가제조 OC 세정액(OC-CS)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기능적 분석은 ADC값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위해 CLSI 지침에 따라 정도 관리 물질을 이용하여 정밀도, 직선성 및 오염률을 평가하였다. OC-Sensor PLEDIA(Eiken Chemical, Japan)를 이용한 모든 cuvette의 ADC값은 허용기준을 만족하였다. 정량적 분석의 경우 두 제품의 정밀도는 5.0% 미만이었고, 오염율은 ±1.00% 이하였다. 직선성 기울기와 r2 값은 LX-CS에서 각각 1.0017와 0.9982였으며, OC-CS에서 0.9924와 0.9996이였다. 상관계수(r)는 0.9997이였다. 또한 40개의 가변을 이용한 % difference는 10% 미만, P값은 0.1 미만이였다. 각 각 차이: 표준 편차 비(D: ±1 SD 비)에 기초한 두 제품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두 제품의 기능적, 정량적 분석을 비교한 결과 유사하였다. 향후 자가제조한 OC세정액은 수입 LX세정액보다 훨씬 더 안정적이고 빠른 공급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