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ification of Scheme

검색결과 835건 처리시간 0.026초

Application of the 3D Discrete Wavelet Transformation Scheme to Remotely Sensed Image Classification

  • Yoo, Hee-Young;Lee, Ki-Won;Kwon, Byung-Do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55-363
    • /
    • 2007
  • The 3D DWT(The Three Dimensional Discrete Wavelet Transform) scheme is potentially regarded as useful one on analyzing both spatial and spectral information. Nevertheless, few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process or classified remotely sensed images using the 3D DWT.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3D DWT to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optical and SAR(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Then, their results are evaluated quantitatively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technique. As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3D DWT shows superior classification results to conventional techniques, especially dealing with the high-resolution imagery and SAR imagery. It is thought that the 3D DWT scheme can be extended to multi-temporal or multi-sensor image classification.

텍스트 분석을 통한 제품 분류 체계 수립방안: 관광분야 App을 중심으로 (Building a Hierarchy of Product Categories through Text Analysis of Product Description)

  • 임현아;최재원;이홍주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3호
    • /
    • pp.139-154
    • /
    • 2019
  • With the increasing use of smartphone apps, many apps are coming out in various fields.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apps in a specific fiel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scheme. Various schemes considering users'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of apps have been propose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y apps are released and a fixed classification scheme must be updat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lthoug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any aspects in establishing classification schem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trend of the app through the proposal of a classification sche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app.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 of establishing an app classification scheme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app written by the app developers.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explanations about apps in the tourism field and identified major categories through topic modeling. Using only the apps corresponding to the topic, we construct a network of words contained in the explanatory text and identify subcategories based on the networks of words. Six topics were selected, and Clauset Newman Moore algorithm was applied to each topic to identify subcategories. Four or five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for each topic.

정보통신표준화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분류참조모형 (Reference model for development of work area and classification scheme related to telecommunications standardization)

  • 구경철;손홍;박기식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고려대학교, 서울; 26 Oct. 1996
    • /
    • pp.177-181
    • /
    • 1996
  • Systematic classification system for standardization in telecommunication is essential to the standardization R&D strategy. This paper suggests a new reference model for development of work area and classification scheme related to the telecommunications standardization : Cubic and matrix approach. Standardization Work Areas(SWAs) that are upper level of the reference model are classified by its main role and function reflecting the market trends and user needs. Standardization expertise is lower level scheme,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different possible layers of standardization to be applied to each one of the SWAs grouped under upper level scheme. A new reference model consists of two planes that are SWAs plane and Standardization layer plane. Finally the reference model for classification of SWAs in telecommunication mapping onto matrix table that row and column are defined by SWAs and standardization layer respectively.

  • PDF

여성학분야 인터넷 자원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Internet Resource for Women's Studies)

  • 이란주;성기주;양정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7-417
    • /
    • 2001
  • 인터넷에서 제공되고 있는 검색엔진들은 모든 분야의 정보를 수집하여 분류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검색을 원하는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원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특정분야의 효율적인 정보검색을 위한 체계적인 디렉토리의 구성과 배열로 이용자 편이를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검색엔진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성학 분야 및 전문데이터베이스 분류체계의 특징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여성학분야의 효율적인 분류체계에 관한 지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검색엔진 5개와 여성학 전문데이터베이스 3개를 선정하여 항목상세비교방법과 포괄성과 논리성 측면으로 비교하였으며 여성학분야의 성격인 간학문적(interdisciplinary),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성격을 반영한 분류체계의 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상호운용적 분류체계 관리를 위한 반자동 분류체계 관리방안 (Semi-Automatic Management of Classification Scheme with Interoperability)

  • 이원구;신성호;김광영;정도헌;윤화묵;성원경;이민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66-474
    • /
    • 2011
  • 과학기술의 융 복합현상은 21세기 지식 기반 경제하에서 더욱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과학기술 분야를 적절히 분류해내고, 미래의 신성장 분야까지 포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콘텐츠 관리 서비스 기관이 분류체계 간 상호운용성을 갖을 수 있도록 반자동적인 입수/관리 분류체계 이력관리 및 입수-관리 분류체계 간 매핑 방안을 시스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수작업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관리적 어려움과 비용적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한의학 연구개발과제 분류에 관한 연구 (A Classification for Research Projects in Oriental Medicine Field)

  • 김상균;김철;장현철;예상준;송미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9-326
    • /
    • 2008
  • 국가 R&D 사업관리 시스템에서는 국내의 국가 연구개발과제 정보를 관리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연구개발과제들을 분류하고 다양한 검색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분류체계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하나의 분류체계에 대해 하나의 분류만 입력 가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과제의 성격을 명확히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연구개발과제를 위한 분류체계는 모든 분야에 대한 일반적인 분류를 제공하고 있으나 한의학과 같은 특정 분야에 맞는 분류체계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반면에 한의학 분야에서는 한의학에 대한 분류체계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이 분류체계 또한 한의학 전반에 관한 일반적인 분류이기 때문에 한의학 연구개발과제를 위한 분류로는 적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의학 분야의 연구개발과제들의 성격을 명확히 파악하고 검색 및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분류를 제안한다.

문헌적 근거에 기반한 한국십진분류법(KDC) 활용현황에 대한 연구 (A Research on Utilization of KDC Based on Literary Warrant)

  • 김성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5-50
    • /
    • 2021
  • 범용의 문헌분류체계는 모든 주제분야를 포괄한다. 전체적인 분류체계는 문헌정보학 전문가가 구성하더라도, 개별 주제영역의 분류항목 구성과 전개는 해당 주제영역의 그것을 참고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전체 주제를 포괄하는 문헌분류체계가 각 주제분야에서 개발한 분류체계의 단순한 모음이 아닌 실용적인 분류체계가 되기 위해서는 각 항목에 배정되는 문헌량의 다과를 반영한 항목 설정과 세분이 필요하다. 분류항목의 설정에 있어 문헌량의 다과에서 항목 설정의 타당성과 근거를 찾는 것을 문헌적 근거(literary warrant)라 부른다. 본고에서는 한국십진분류법(KDC)에 전개된 각각의 분류항목에 어느 정도의 정보자원이 배정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개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양의 자료분류법의 발달과정 - 고대에서 해리스까지 - (The History of Library Classification before Dewey in Western library)

  • 김명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185-213
    • /
    • 1993
  • This study is on the history of classification in Western library from ancient to Harris(1870), before Dewey. It looks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librarians, bibliographers, booksellers and libraries of that time. One of the earliest was the classification of the clay tablets in the Assyrian library of Assurbanipal. But the earliest recorded system in the papyrus is that which Callimachus(B.C. 310-240) devised for the library at Alexandria. In the medival, the monastry libraries used many classifications. but their libraries were very small. Gesner, Naude, Brunet, Jefferson, Edwards, Harris etc. tried to make a good classification for bibliographies and libraries. Especially Brunet made the scheme based on the French system, and it used on bibliographical classification and shelf classification in the many libraries. In 1859, Edwards made the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public library in the Great Britain. In 1870, Harris made the famous inverted Baconian classification and it strongly influenced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 PDF

학문분류표의 재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 정연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7-66
    • /
    • 2000
  • 본 연구는 지식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및 교육을 분류할 수 있는 분류표의 설계를 통해 학문분류표의 재설정을 모색하였다. 국내외 대학 및 대학원의 전공 명칭, 교과과정, 국내 교수진의 세부 전공 분야의 분석과 다양한 학문분류표의 항목 비교를 바탕으로 분류표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분류표를 다양한 문헌분류표와 대조하고 각 주제별 전문위원들의 검토 및 의견 수렴 과정을 통해 본표, 보조표, 상관색인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학문분류표를 최종적으로 재설정하였다. 이 분류표를 바탕으로 1998년 학술연구조성비 연구과제 목록집에 실린 연구과제를 실제로 분류해 보았으며, 보다 효과적인 학술 정보 조직과 학제간 연구를 도모할 수 있는 실용적 학문분류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자세 부하 측정을 위한 상체에 대한 여성의 자세 분류 체계 (A Postural Classification Scheme of Upper Body for Females for Quantifying Postural Load of Working Postures)

  • 기도형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3-231
    • /
    • 2002
  • Recently,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WMSDs) have rapidly increased and have been a major issue in the field of industrial safety. Of several physical risk factors for WMSDs, which include postures, vibration, repetitive work, speed or acceleration of movements, etc., awkward postures have been known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WMSDs. For reducing the potential for injury as a result of postures, cost effective quantification of the magnitude for physical exposure to poor working postures is important and needed. To do this, several postural classification schem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industrial sites. It is known that perceived discomfort for joint motions and muscle strength for females were much less than those for males. However, the existing postural classification schemes were developed without considering these gender effec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postural classification scheme for female workers, based on the perceived discomfort for joint motion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hemes for female and male. It was also found that when compared with OWAS, RULA and REBA, postural load was quantified more precisely with the developed scheme. It is recommended that different schemes according to gender of workers involved in work be used in order to accurately evaluate postural load of work pos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