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2 resin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6초

여러가지 수복물의 polishing조건에 따른 치수 온도변화 (TEMPERATURE CHANGE IN THE PULP ACCORDING TO POLISHING CONDITION OF VARIOUS RESTORATIVE MATERIALS)

  • 백병주;박종하;양정숙;이승영;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65-376
    • /
    • 1999
  • 수복물의 연마의 중요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는 수복물의 금속성질의 개선, 변연적합성의 증가 그리고 치태축적의 감소 등을 이유로 시행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수복물에 대한 연마시 열의 발생으로 인하여 치수부위에 손상을 초래하므로 열의 발생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복물의 연마시 회전속도의 차이, 냉각제의 적용 유무, 여러 종류의 수복물의 차이, 간헐적인 연마와 연속적인 연마의 차이 그리고 잔존 상아질의 두께의 정도에 따른 치수내부에서의 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발거된 구치에 5급 와동을 형성한 후 복합레진(Z100, 3M co), resin-modified GIC(Dyract, Fuji II LC) 그리고 아말감(Degussa) 등으로 충전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에서의 연마를 시행, 치수내부에서의 열의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malgam을 건조한 상태에서 연마시 다른 재료에 비해 가장 큰 치수내 온도 상승을 보였다(P<0.05). 그러나, Z100, Dyract Fuji II LC 간에는 간헐적 수복물 연마와 연속적인 수복물 연마 모두 어떤 경우든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같은 조건으로 연마를 시행했을 때, 간헐적인 연마보다 연속적인 연마를 한 경우가 치수내 온도가 더 크게 상승하였다(P<0.01). 3. 아말감과 Dyract 에 있어서는 잔존 상아질의 차이에 따른 치수내 온도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1), Fuji II LC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4. 냉각제의 유무에는 관계없이 어떤 경우든 시간에 따른 온도 상승을 보였다. 그러나, 냉각제를 사용한 경우가 냉각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온도 상승값이 훨씬 작았다(P<0.01).

  • PDF

가변 광도에 따른 복합레진의 기계적 물성 및 변연누출도 변화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MATERIALS CURED BY VARIABLE LIGHT INTENSITIES)

  • 한승렬;민경산;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2호
    • /
    • pp.134-145
    • /
    • 2003
  •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leakage of two composites [conventional hybrid type DenFil (VERICOM Co., Anyang, Korea) / micro matrix hybrid type Esthet X (Dentsply Caulk, Milford, DE, U.S.A.)] were evaluated to assess whether variable light intensity curing is better than conventional curing technique. Curing was done for 40 seconds in two ways of 2 step soft-start technique and 5 step ramping technique. Three kinds of light intensities of 50, 100, $200{\;}mW/\textrm{cm}^2$ were initially used for 10, 20, 30 seconds each and the maximum intensity of $600 {\;}mW/\textrm{cm}^2$ was used for the rest of curing time in a soft-start curing tech nique. In a ramping technique, curing was done with the same initial intensities and the light intensity was increased 5 times with the same rate to the maximum intensity of $600{\;}mW/\textrm{cm}^2$. After determining conditions that showed no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with conventional technique, Esthet X composite was filled in a class V cavity, which dimension was $4{\times}3{\times}1.5{\;}mm$ and cured under those conditions. Microleakage was evaluated in two ways of dye penetration and maximum gap estimation through SEM observation. ANOVA and Spearman's rho test were used to confirm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everal curing conditions of variable light intensities resulted in the similar mechanical properties with a conventional continuous curing technique, except conditions that start curing with an initial light intensity of $50{\;}mW/\textrm{cm}^2$. 2. Conventional and ramping techniques were better than soft-start technique in mechanical properties of microhardness and compressive strength. 3. Soft-start group that started curing with an initial light intensity of $100{\;}mW/\textrm{cm}^2$ for 10 seconds showed the least dye penetration. Soft-start group that started curing with an initial light intensity of $200{\;}mW/\textrm{cm}^2$ for 10 seconds showed the smallest marginal gap, if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groups. 4. Soft-start technique resulted in better dye-proof margin than conventional technique(p=0.014) and ramping technique(p = 0.002). 5. There was a very low relationship(p=0.157) between the methods of dye penetration and marginal gap determination through SEM evalua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ramping technique would be better than conventional technique in mechanical properties, however, soft-start technique might be better than conventional one in microleakage. It was concluded that much endeavor should be made to find out the curing conditions, which have advantages of both aspects or to solve these kinds of problems through a novel idea of polymerization.

금인레이의 치은변연적합도에 관한 주사전자 현미경적 연구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THE JUNCTION BETWEEN GOLD INLAYS AND GINGIVAL CAVOSURFACE MARGINS)

  • 박준일;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6권2호
    • /
    • pp.43-61
    • /
    • 1991
  • Present - day inlay casting procedures have been developed for more than 100 years and experimentation has focused on the perfect adaptation to the cavity preparation. Marginal adaptation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indicator of the acceptability of the cast restotration, especially on the gingival marg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dissecting microscope and burnishing on vertical discrepancies, horizontal discrepancies, and cement thicknesson master die. Extracted premolars were prepared for class II gold inlays and master dies were made with conventional techniques. The experiments consisted of 4 groups. Group 1 : unaided eye, no burnishing on master die. Group 2 : unaided eye, burnishing on master die. Group 3 : microscope, no burnishing on master die. Group 4 : microscope, burnishing on master die. Cemented inlays were embedded in the hard resin and sectioned with microcutter through the gingival margins. The sectioned surfaces were polished with emery paper and finally with aluminum oxide powder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were measured for vertical discrepancies, horizontal discrepancied and cement thickness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pe at the beveled gingival margi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Group 1 showed the vertical discrepancies of $81.6{\mu}m({\pm}48.6{\mu}m)$, horizontal discrepancies of $60.1{\mu}m({\pm}41.1{\mu}m)$, and cement thickness of $59.6{\mu}m({\pm}24.6{\mu}m)$. 2. Group 2 showed the vertical discrepancies of $78.6{\mu}m({\pm}30.9{\mu}m)$, horizontal discrepancies of $36.9{\mu}m({\pm}20.7{\mu}m)$, and cement thickness of $54.0{\mu}m({\pm}21.6{\mu}m)$. 3. Group 3 showed the vertical discrepancies of $57.5{\mu}m({\pm}26.4{\mu}m)$, horizontal discrepancies of $28.4{\mu}m({\pm}17.5{\mu}m)$, and cement thickness of $37.2{\mu}m({\pm}17.4{\mu}m)$. 4. Group 4 showed the vertical discrepancies of $56.7{\mu}m({\pm}35.0{\mu}m)$, horizontal discrepancies of $31.8{\mu}m({\pm}24.2{\mu}m)$, and cement thickness of $45.6{\mu}m({\pm}19.8{\mu}m)$. 5. Vertical discrepanc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any groups(p>.050). 6. Microscope groups(Group 3, 4)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horizontal marginal adaptation (p<.050). 7. Although cement thickness showed the subset of Group 3. 4, 2 and Group 4, 2, 1. Group 3 showed significantly smaller thickness than Group l(p<.050). 8. Finishing and polishing by means of a microscope produced significantly smaller discrepancies than doing so with the unaided eye(p<.050).

  • PDF

복합레진 적용에 따른 광중합형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변연 적합도의 변화 (CHANGES OF MARGINAL ADAPTATION TO THE CAVITY FLOOR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BASE AFTER APPLICATION OF A COMPOSITE RESTORATION)

  • 이계영;이광원;박수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1호
    • /
    • pp.136-14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changes of marginal adaptation to the cavity floor of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base after application of a composite restoration. Eighty non-carious extracted human molars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Circular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center of the exposed dentin surface to 0.5mm, 1.0mm, 1.5mm, 2.0mm in depth and the prepared cavities were pretreated with Dentin conditioner and filled with Fuji II LC(GC Int. Co., Japan). They randomly assign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application of a composite restoration; Group 1(control group): only glass ionomer base, Group 2: The application of a composite restoration surrounded by dentin with class I cavity over glass ionomer base after conventional dentin bonding to the exposed dentin and glass ionomer base, Group 3: The application of composite restoration not-surrounded by dentin over glass ionomer base after conventional dentin bonding to the exposed dentin and glass ionomer base. To examine the interface between cavity floor and light-cured glass ionomer cement base, each groups were sectioned vertically through the center of restorations with diamond saw and the gap size(${\mu}m$) of interface measured by SEM.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One 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ood adaptation between glass ionomer cement base and cavity floor was showed in specimens with 0.5mm, 1.0mm depth base of control group. But in specimens with 1.5mm, 2.0mm depth base of control group, the gap was measured about $15{\mu}m$, $40{\mu}m$ respectively. 2. Gap size in group 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group(P<0.05). 3. Gap size in group 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and group 2(P<0.05). 4.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good adaptation between glass ionomer cement base and dentin which was intermediated with 4-10${\mu}m$ hybrid layer in specimens with 0.5mm, 1.0mm depth base of control group. Cohesive fracture within cement base was observed in all specimens which had the gap between glass ionomer cement base & dentin. 5.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gap formation between cement base and bonding agent and between composite resin and dentin in all specimens of group 2.

  • PDF

타액 오염하에서 수복방법에 따른 컴포머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LEAKAGE ACCORDING TO RESTORATION METHOD OF COMPOMER UNDER SALIVA CONTAMINATION)

  • 공석배;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3-80
    • /
    • 2007
  • 소아 환자의 인접면 우식을 치료할 때 컴포머는 불소를 방출하는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구강내 환경은 항상 습윤한 상태로 타액은 컴포머와 치질 사이의 접착을 방해할 수 있다. 수복시에 타액이 게재하게 되면 미세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그로 인해서 수복의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포머를 수복할 시에 타액의 영향과 수복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하였다. 컴포머로서 Dyract $AP^{(R)}$(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Dentin bonding agent로는 Prime and $Bond^{(R)}$ NT (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고, 광중합을 위해서 Elipar Trilight (3M ESPE, USA)를 사용하였다. 구강내 환경을 재현하기 위해서 saliva pool을 제작하였다. 소구치 2개를 인접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에 2급 와동을 형성하여 수복 환경을 다르게 하여 컴포머를 충전한 후에 500회 thermocycling하였다. 그 후 0.5% methylene blue 용액에 24 시간 동안 담근 후에 실체 현미경을 통해서 교합면과 치은면에서의 미세누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각 군간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면에서의 각 군간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5). 2. 치은면에서 $Oraseal^{(R)}$을 이용하여 수복한 3군이 타액 오염을 시키지 않은 4군과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3. 치은면에서 1군과 2군 사이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4. 치은면에서 $Oraseal^{(R)}$을 이용하여 수복한 3군이 1, 2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더 낮은 미세누출 정도를 보였다(p<0.05).

  • PDF

치근단 역충전와동의 건조방법이 폐쇄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RY METHODS OF RETROCAVITY ON THE APICAL SEAL)

  • 이정태;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1호
    • /
    • pp.166-179
    • /
    • 1999
  • 외과적 근관치료에서 근단부의 폐쇄성은 성공에 필수적이다. 그리고 외과적 근관치료시 근단부 역충전와동은 습기나 혈액에 의해 오염되기 쉬우며 와동을 이상적으로 건조하기가 항상 용이하지는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 치근단 수술법에서 치근단 역충전와동의 건조 방법이 폐쇄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치근단 폐쇄성은 근단 누출 및 충전물-와벽 적합성으로 평가하였다. 치근단 역충전와동 건조방법에 따른 치근단 누출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최근에 발거된 상악 대구치 구개측치근 125개를 와동건조 방법 및 혈액오염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각 시편치아에서 근관을 형성하고 측방가압법으로 충전한 후 각 군에 따라 저속 다이아몬드 절단기를 이용하여 치근단 3 mm를 절제하였으며 초음파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를 이용하여 깊이 3mm의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고 IRM, Super EBA 또는 복합레진으로 역충전하였다. 시편을 2% methylene blue 용액에 7일간 침잠시킨 후 35% 질산 용액에서 용해시킨 다음,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비색계를 이용하여 누출 색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치는 이원변량분석법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역충전 와동 건조방법에 따른 충전물-와벽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상악 제 1대구치의 구개측 치근 12개를 상기와 같이 4개 군으로 분류하여 근관충전, 역충전와동 형성, 와동 건조 및 역충전을 실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압축공기나 paper point로 와동을 건조한 군이, 역충전 와동을 IRM 간이충전재, Super EBA 시멘트 및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경우 공히, cottton pellet 만으로 와동을 건조한 군에 비해 적은 치큰단 누출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Super EBA 시멘트 충전군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그러나 충전재료에 관계없이 paper point로 와동을 건조한 군과 압축공기로 건조한 군 사이에는 유의한 누출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압축공기로 와동을 건조한 경우에는,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군이 IRM이나 Super EBA로 충전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치근단 누출을 나타내었다(p<0.05). 3. 와동을 혈액으로 오염시킨 경우에는, 역충전 와동을 IRM, Super EBA 및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군 공히, 압축공기로 와동내부를 건조한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많은 치큰단 누출을 나타내었다(p<0.05). 4. IRM 간이충전재나 Super EBA 시멘트로 역충전와동을 충전한 경우, 와동측벽의 외측 1/2이 내측 1/2에 비해 넓은 충전물-치질 사이 틈을 나타내었다. 5. IRM 간이충전재, Super EBA 시멘트 및 복합레진으로 역충전와동을 충전한 경우 공히, 와동이 혈액에 의해 오염되었거나 와동을 cotton pellet으로만 건조한 경우가 paper point나 압축공기로 와동을 건조한 경우에 비해 와동기저부에 큰 틈을 나타내는 양상을 보였다.

  • PDF

Fuji VII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 OF FUJI VII GLASS IONOMER CEMENT)

  • 김영진;이주현;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53-660
    • /
    • 2006
  • Fuji VII은 제 1, 2대구치의 조기보호를 목적으로 소개되었으며 기존의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보다 많은 양의 불소를 유리하면서도 점도가 낮아 흐름성이 우수하고 부가적인 산부식 과정이 필요 없는 특징 때문에 치은판개가 일부 덮인 제 1, 2대구치의 교합면이나 일부만 노출된 대구치 협면구의 우식 예방과 재광화에 유용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Fuji VII의 재광화 효과를 알아보고 기존의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레진 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콤포머와 복합레진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에 인공적으로 형성한 우식을 가진 42개의 치아에 Fuji VII, Fuji II, Fuji II LC improved F2000, $Filtek^{TM}$ Z250의 재료를 충전하고 편광현미경 상에서 충전 직후와 4주 후 탈회 면적을 측정하였으며 두 면적의 차이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재광화 정도는 Fuji VII, Fuji II, Fuji II LC improved, F2000, 대조군, $Filtek^{TM}$ Z250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글래스 아이오노머 계통의 Fuji VII, Fuji II, Fuji II LC improved에서 F2000, $Filtek^{TM}$ Z250,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재광화가 나타났다(p<0.05). 2. Fuji VII과 Fuji II Fuji II LC improved 간에는 유의한 재광화 정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 PDF

구치부 수복물의 재수복에 관한 연구 (REPLACEMENT OF POSTERIOR RESTORATIONS)

  • 김지영;최경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60-469
    • /
    • 2006
  • 본 연구는 환자의 성별, 치료 부위 , 와동 형태 , 기존 수복물의 재료에 따른 구치부 재수복에 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2003년 12월 1일부터 2004년 10월 31일까지 구치부의 재수복을 위해 보존과를 내원한 824명의 환자의 1206개의 치아를 실험재료로 택하였으며 영구치로 제한하였다. 환자의 성별 및 연령, 치료 부위, 와동 형태, 기존 수복물의 재료와 기존 수복물의 내원 당시 상태를 변연 적합성, 해부학적 형태, 이차 우식에 대해 modified Ryge criteria system으로 기록하였다. 환자 및 치아 요소에 따른 재수복율은 카이 제곱 검정으로, 각 재료별 기존 수복물의 상태는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구치부 수복물의 재수복은 환자의 성별, 연령 , 치아 위치, 기존 수복 재료에 따른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아말감과 복합레진의 수복 과정과 수복 후 발생하는 상아세관액 흐름의 실시간 측정 (REAL-TIME MEASUREMENT OF DENTINAL TUBULAR FLUID FLOW DURING AND AFTER AMALGAM AND COMPOSITE RESTORATIONS)

  • 김선영;조병훈;백승호;임범순;이인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6호
    • /
    • pp.467-47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말감과 복합레진의 수복 과정과 수복 후 상아세관액의 흐름(dentinal fluid flow, DFF)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치근을 절제한 제 3 대구치를 자체 제작한 미세 유체 흐름 측정장치에 연결한 후 1급 와동을 형성하여 아말감과 복합레진 수복을 시행하였다. DFF의 측정은 와동 형성부터 수복 후 30분까지 연속적으로 이루어졌고, 수복 후 3, 7일에 재 측정하였다. 주수 하에 와동 형성 시 DFF는 inward로, 끝난 후에는 outward로 바뀌었다. 아말감 충전 시 DFF는 inward로 바뀌었고 충전 완료 후 미약한 outward DFF를 보였다. 복합레진 수복의 경우, 산 처리 후 수세와 건조 시 각각 inward와 outward DFF를 보였고 primer도포 후 공기 분사는 급격한 outward, 소수성 본딩제를 적용하는 단계에서는 outward 였던 DFF가 감소하여 0에 가까워지거나 약간 inward 흐름을 보였다. 접착제와 복합레진의 광중합은 급격한 inward의 DFF를 일으켰다. 수복 후 30분, 3일, 7일째 수복 재료에 따른 DFF의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Sealed amalgam restoration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LEAKAGE OF SEALED AMALGAM RESTORATION)

  • 이상헌;이재천;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4-61
    • /
    • 2000
  • 아말감은 널리 사용되어 온 대표적 치과재료이지만 치질과의 접착성이 없어 와동의 형태에 의해 유지되는 단점을 가진다. 아말감 수복물은 산화물에 의한 변연봉쇄가 일어나기 전까지 초기에 큰 미세누출을 보이며 수복초기에 이를 적절하게 예방하지 않으면 타액이나 미생물이 와동내에 침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수복 후의 과민반응, 충전물의 용해 및 파괴, 변연 변색과 2차 우식이 유발되어, 결과적으로 수복물의 수명이 단축되며 치수 병변이 발생될 수도 있다. 최근 기존 아말감 수복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치질삭제를 줄이고 변연을 봉쇄하며 소와열구에 예방적 처치를 함께 할 수 있는 수복법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이른바 sealed amalgam이라 한다. 이 술식은 예방적 확대 없이 병소만을 제거한 뒤 수복물 변연과 인접 소와열구에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함으로서 소와열구의 예방적 충전은 물론 수복물 변연과 치질사이의 틈을 봉쇄하여 미세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저자는 아말감 수복후 수복물의 마무리 처리와 전색재 적용시점을 달리 하여 sealed amalgam 수복과 기존의 아말감 수복과의 미세누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30개의 상, 하악 소구치를 준비하여 V급 와동을 소구치의 협, 설측에 형성하고 통상적 아말감 수복을 시행한 후 다음의 각 군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제 1 군 : 24시간 후 연마 (대조군) 제 2 군 : 연마하지 않음, 즉시 전색재 적용 제 3 군 : 연마하지 않음, 열순환(thermocycling) 500회 후 전색재 적용 위의 처리 후 각 군을 $5^{\circ}C$$55^{\circ}C$의 온도변화를 30초씩 번갈아 주며 총 500회의 열순환을 실시한 후 1% methylene blue 용액에 침윤시켜서 100% 습도가 유지된 $37^{\circ}C$ 항온기에 24시간 보관하였다. 치아를 레진에 매몰한 후 협설측으로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절단하여 stereomicroscope를 사용해 색소침투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균 미세누출은 연마하지 않고 바로 치면열구전색재를 도포한 2군이 가장 낮았고, 연마만 시행한 1군이 가장 높았다. 2. 실험군간의 미세누출 비교에서 연마만 시행한 1군은 2군에 비해 미세누출이 켰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군은 1군보다 평균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군은 3군보다 평균 미세누출이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