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s9

검색결과 457건 처리시간 0.024초

추출방법에 따른 섬백리향의 휘발성 향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Thymus Magnus Nakai by Thre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이사은;김성문;임원철;강기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1-17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각 추출방법에 따른 섬백리향(Thymus magnus Nakai)의 향기 성분들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본연의 향에 아주 가까우면서 맡기에 좋은 향으로 재현하고자 초임계유체추출법, 혼합 증류법, 동시증류추출법으로 정유를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먼저 초임계유체추출법의 $40^{\circ}C$ - 400 bar 조건에서 추출한 정유 성분 중 linalool (0.1%), trans-sabinene hydrate (0.9%)가 다른 조건에서 추출한 정유성분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50^{\circ}C$ - 400 bar 조건에서는 borneol (3.82%), terpinen-4-ol (0.3%), caryophyllene oxide (2.2%), $50^{\circ}C$- 300 bar 조건에서는 ${\beta}$-bisabolene (5.88%), 1-octen-3 -ol (0.31%), caryophyllene (2.91%), p-cymene (2.04%), ${\gamma}$-terpinene (0.52%), $50^{\circ}C$ - 200 bar 조건에서는 thymol (77.63%), carvacrol (5.65%)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 증류법으로 추출한 정유 성분 중에는 ${\alpha}$-bisabolol (0.17%), caryophyllene (6.46%), cis-${\alpha}$-bisabolene (1.52%), ${\beta}$-bisabolene (20.65%)이 초임계유체추출법으로 추출한 정유 성분 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 증류추출법을 통해서는 정유를 얻지 못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각각의 추출법을 통해서 확인된 향기 성분들을 모두 취합하여 섬백리향 본연의 향에 좀 더 가깝도록 세밀하게 재현하는데 있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자궁경부암 환자의 예후인자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in the Uterine Cervical Cancer Patients)

  • 양대식;윤원섭;김태현;김철용;최명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300-308
    • /
    • 2000
  • 목적 :자궁경부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가장 많은 발생을 보이는 악성종양으로 비교적 완치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경부암의 치료는 병원 마다 매우 다양해졌으나 방사선에 의한 치료가 주이며 높은 완치율을 얻고있다. 치료의 실패는 대부분 3년이내에 일어나며, 국소재발시에는 자궁방 결합조직에서 더 많이 재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치료성적과 재발여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생존률과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81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970명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방사선 단독치료군과 수술후 방사선치료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환자에 대하여 나이, 임상적 병기, 세포병리학적 소견, 재발유무 등이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특히 치료 후 자궁경부질세포진검사(Papanicolaou smear; Pap smear), 배아성항원(carcinoembryogenic antigen; CEA)와 편평상피 암종항원(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antigen) 수치가 생존률과 국소재발에 유의한 인자인가를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환자의 평균나이는 51.3세(방사선 단독치료존 53.1세, 수술 후 치료곰 48.3세)였고,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38.6개월(방사선 단독치료군: 38.8개월, 수술후 치료군: 38.4개월)이었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의 경우 대상환자는 521명이었고, 임상병기는 CIS; 5명, IA; 3명, IB; 36명, IIA; 77명, IIB; 284명, IIIA; 31명, IIIB; 47명, IVA; 21명, IVB; 3명, 재발암 14명이었다. 세포병리학적 소견상 편평상피암 495명, 선세포암 23명이었고 완치상태로 추적관찰된 환자는 314명(60.3$\%$), 국소재발: 47명(9$\%$), 대동맥 림프절전이; 28명(5$\%$), 폐전이: 19명(4$\%$), 골전이: 12명(2$\%$)이었다. 수술 후 치료군은 326명이었고 임상병기는 CIS; 6명, IA: 50명, IB: 181명, IIA; 46명, IIB; 43명이었다. 세포병리학적 소견상 편평상피암: 291명, 선세포앓 32명이었고, 완치상태로 추적관찰된 환자는 276명(85$\%$), 국소재발 8명(2$\%$), 대동맥 림프절전이: 7명(2$\%$), 폐전이: 10명(3$\%$), 골전이; 10(3$\%$)이었다. 전체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은 71.2$\%$(방사선 단독치료군: 55.8$\%$, 수술 후 치료군: 88.1$\%$)였고 생존율에 있어서는 단변량분석상 임상병기(p=0.0001), 재발유무(p=0.0001), 방사선치료 후 자궁경부질세포진검(p=0.0329), CEA수치($\geq$5 ng/ml, p=0.00001), SCC수치$\geq$2 ng/ml, p=0.0001)가 의미있는 인자로 나타났고, 재발율에 있어서는 CEA가 $\geq$5 ng/ml인 경우, SCC는 $\geq$2 ng/ml인 경우가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방사선치료 후 Pap smear, CEA, SCC는 생존율과 재발율에 모두 비교적 의미있게 작용하는 예후인자로 나타나 앞으로 방사선치료 후 환자의 추적관찰시 자궁경부암의 국소재발과 전이 그리고 생존률을 미리 예견할 수 있는 지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두충잎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 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9-366
    • /
    • 2001
  • 신선한 두충잎을 연속수중기증류추출 장치로 증류하여 얻어진 정유성분을 GC 및 GC-MS로 분석하였다. 수확시기가 7월인 신선한 두충잎에서는 총 51가지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는데 10종의 hydrocarbon류, 15종의 alcohol류, 12종의 aldehyde류, 4종의 ketone류, 4종의 ester류 및 6종의 acid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9월 시료에는 hydrocarbon류 15종, alcohol류 10종, aldehyde류 5종, ketone류 4종, ester류 4종 및 acid류 3종을 합하여 총 41종이 확인되었다. 향기성분의 함량은 7월 시료가 55.52ppm으로 9월의 20.97ppm 보다 많았으며 7월 시료는 tran-2-hexenal, 2-hexen-1-ol 및 3-methyl-1-pentene이 주요 성분이며 aldehyde류가 전체 휘발성 향기성분의 39.34%를 차지하였다. 9월 시료는 benzyl alcohol, cis-3-hexenol 및 ethyl acetate가 주성분이며 alcohol류가 가장 많은 33.99%이었다. 자연건조 두충잎의 7월 시료에서 21종의 hydrocarbon류, 12종의 alcohol류, 12종의 aldehyde류, 9종의 ketone류, 5종의 ester류, 8종의 acid류 및 4종의 기타성분을 합하여 총 71가지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9월 시료에는 34종의 휘발성 향기성분, 즉 hydrocarbon류 10종, alcohol류 9종, aldehyde류 3종, ketone류 3종, ester류 4종, acid류 4종 및 기타 1종이 확인되었다. Hydrocarbon류가 가장 많아 7월 시료의 경우 전체 향기성분의 25.40%, 9월 시료는 61.69%를 차지하였다. 동결건조된 두충잎 가운데 7월 시료에는 13종의 hydrocarbon류, 9종의 alcohol류, 5종의 aldehyde류, 3종의 ketone류, 6종의 ester류 및 5종의 acid류의 총 41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8월에 채취한 시료에서는 41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인 hydrocarbon류 10종, alcohol류 10종, aldehyde류 4종, ketone류 4종, ester류 7종, acid류 3종 및 기타 3종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구월시료에서는 hydrocarbon류 13종, alcohol류 3종, aldehyde류 2종, ketone류 3종, ester류 2종, acid류 2종 및 기타 1종의 26가지 휘발성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7월 시료에는 ethane, ethyl formate, trans-2-hexenal의 순서로 그 함량이 많았으며, hydrocarbon류가 전체성분의 30.42%를 차지하였다. 8월 시료는 benzyl alcohol, ethyl formate 및 trans-2-hexenal의 순서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ester류가 35.60%를 차지하였다. 또한 9월 시료에도 ester류가 32.92%를 차지하였으며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ethane 및 trans-2-hexenal의 순서로 함량이 높았다.

  • PDF

인태아 슬관절 발육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An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nee Joint in the Human Fetus)

  • 김백윤;주기중;남광일;윤재룡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2호
    • /
    • pp.213-232
    • /
    • 2000
  • 슬관절은 발생초 중간대에서 관절원판, 관절내인대 및 활액막세포들이 분화, 발육한다. 최근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이때 관절내 구조들의 재생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의 발육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함은 매우 의의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태생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인태아를 대상으로 슬관절의 관절강 발생에서 중간대의 중간층세포의 운명과 활액막, 관절원판 및 관절내인대의 분화, 발육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좌고 30mm(태령 9주)때 십자인대와 관절원판의 원기들이 출현하였고 초기 관절강은 40mm(태령 10주)때 중간대의 중간층이 연골형성층에 결합하여 출현하였다. 반월연골은 60mm(태령 12주)때 간엽세포에서 섬유모세포로 분화하였고 100mm(태령 15주)때 섬유모세포는 내측에서는 난원형을, 중간과 외측에서는 장타원형을 각각 취하였다. 260mm(태령 30주)때 교원섬유의 주행은 내측에서 평행히 달리고 중간에서는 평행 또는 방사상 방향을, 외측에서는 상호교차 방향을 하고 있었다. 십자인대는 30mm때 섬유모세포로 분화하였고 세포질에 조면내형질망과 사립체를 함유하고 있었다. 교원원섬유는 섬유모세포의 돌기내에서 출현하였다. 100mm때는 교원 원세포는 세포의 간격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260mm때 섬유모세포는 난원형 또는 방추상 핵을 가지고 있었고 교원섬유를 싸고 있지 않았으며 교원원섬유는 평행 또는 파상 방향으로 달리고 있었다. 활액막은 관절강의 초기 출현과 동시에 발생하였고 관절강이 확대되는 60mm때는 A와 B세포로 구분되었다. 100 mm때 활액막세포는 B세포가 대다수였고 B세포는 세포질에 다량의 조면내형질망과 잘 발달된 골지복합체를 함유하고 있었고 A세포는 사상위족, 음소포, 용해소체 및 공포를 가지고 있었다. 260mm에도 B세포가 대다수 관찰되었다.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stradiol benzoate를 4일간 매일 일정량을 투여한 흰쥐의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의 면역반응은 estradiol 투여후 1일, 3일 및 5일군에서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2. Estradiol beozoate를 4일간 투여한 후 cia-platin을 투여한 흰쥐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 반응은 cis-platin 투여 1일군과 3일군에서 약한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제 5일군에서는 강한 반응으로 회복되었다. 3. Cis-platin투여한 후 제 1일 및 3일군의 흰쥐 난관 섬모세포내 $\alpha-tubulin$반응은 첨부세포질에서는 감소되었고 기저체, 섬모등에서는 $\alpha-tubulin$반응이 대조군과 비교하면 변동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은 cis-platin투여에 의해 감소되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었다.調節) 작용(作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대부분의 틸라피아는 신장(腎臟)의 보우만 주머니를 가득 채운 신사구체(腎絲球體)를 가지고 있으며, 신사구체(腎絲球體)의 수축은 담수(淡水)에 적응된 개체보다 10%o, 20%o, 30%o에 적응된 개체에서 훨씬 더 많이 발생되었고, 울혈현상(鬱血現象)은 10%o보다 20%o, 30%o에 적응(適應)된 개체의 신장조직(腎臟組織)에서 더많이 발생되었다. 틸라피아의 신사구체(腎絲球體)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신장(腎臟)에서 수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30%o의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틸라피아의 평균 신사구체(腎絲球體)의 면적은 담수(淡水)에 적응된 개체의 면적보다

  • PDF

Variation in Milk Fatty Acid Composition with Body Condition in Dairy Buffaloes (Bubalus bubalis)

  • Qureshi, Muhammad Subhan;Mushtaq, Anila;Khan, Sarzamin;Habib, Ghulam;Swati, Zahoor Ahma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3호
    • /
    • pp.340-346
    • /
    • 2010
  • Buffaloes usually maintain higher body condition and do not produce milk at the cost of their own body reserves under tropical conditions. The mobilization of body reserves for fulfilling the demands of lactation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in dairy cows while limited work is available on this aspect in dairy buffalo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variations in milk fatty acid profiles with body condition in Nili-Ravi buffaloes. A total of 24 Nili-Ravi buffaloes within 60 days after parturition, were selected from a private dairy farm in the district of Peshawar. All animals consumed the same die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 total of 576 raw milk samples were collected for laboratory analysis. The study continued up to 6 months during 2008. Body condition score (BCS), milk yield and composition were recorded once a week. Means for milk fatty acid profile were compared for various levels of BCS. The mean milk yield and fat content were 9.28 kg/d and 5.36%, respectively. The total saturated fatty acids (SFA) were 64.22 g/100 g and the unsaturated fatty acids (UFA) were 35.79 g/100 g. Of the SFA the highest amount was recorded for $C_{16:0}$, followed by $C_{18:0}$, and $C_{14:0}$. The total sum of hypercholesterolemic fatty acids (HCFA, $C_{12:0}$, $C_{14:0}$ and $C_{16:0}$) was 43.33 g/100 g. The concentrations of UFA were greater for moderate BCS followed by poor and highest BCS while SFA showed the opposite tren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milk yield was negatively affected by BCS and milk fat positively affected, though non-significant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Nili-Ravi dairy buffaloes produce similar milk to dairy cows regarding availability of cardioprotective fatty acids,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C_{18:1\;cis-9}$. Two HCFA ($C_{12:0}$ and $C_{14:0}$) were associated with higher body condition. Buffaloes with moderate body condition yielded milk containing healthier fatty acids.

미세조류 Dunaliella bardawil에서 오존과 과산화수소에 의한 ${\beta}$-carotene의 축적과 식용기름을 이용한 추출 (Induction of ${\beta}$-carotene by Ozone and Hydrogen Peroxide and Extraction Using Vegetable Oil from Microalga Dunaliella bardawil)

  • 유경원;정욱진;정병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9-295
    • /
    • 1999
  • Dunaliella bardawil의 적절한 생장과${\beta}$-carotene의 효과적인 축적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염 농도, pH, 광량, 교반속도, 오존처리, 과산화수소 첨가 등의 영향을 비교하였고, 식용 식물성 기름을 이용한 ${\beta}$-carotene의 추출조건을 비교하였다. D. bardawil의 비생장 속도는 1N NaCl, pH 8.0 광량 80${\mu}$$E/\m^2/s$ , 70rpm 으로 배양 시에 0.168/hr로 최대를 나타냈다. 흰색 형광등을 250${\mu}$$E/\m^2/s$ 로 조사한 경우 ${\beta}$-carotene isomer 축적은 cis isomer가 trans isomer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beta}$-carotene의 축적을 위하여 50${\mu}$M 과산화수소를 배양 2일 경과 후에 첨가한 경우 대조군의 축적율이 150${\mu}$g/ml인데 비해 324${\mu}$g/ml로, 200ppb로 2시간 오존 처리했을 때 약 1.8배 증가한 270${\mu}$g/ml이었다. 식용기름에 의한 37${\circ}C$에서의 추출효율은 올리브유, 참기름, 미강유, 옥수수유, 대두유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올리브유를 수층 부피의 9배로 첨가하고 50${\circ}C$에서 1시간 동안 sonication한 결과 96.95의 추출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Association Between Pancreatitis and Subsequent Risk of Pancreatic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Epidemiological Studies

  • Tong, Gui-Xian;Geng, Qing-Qing;Chai, Jing;Cheng, Jing;Chen, Peng-Lai;Liang, Han;Shen, Xing-Rong;Wang, De-B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5029-5034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summarize published epidemiological evide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ancreatitis and subsequent risk of pancreatic cancer (PC). We searched Medline and Embase for epidemiological studies published by February $5^{th}$, 2014 examining the risk of PC in pancreatitis patients using highly inclusive algorithms. Information about first author, year of publication, country of study, recruitment period, type of pancreatitis, study design, sample size, source of controls and attained age of subjects were extracted by two researchers and Stata 11.0 was used to perform the statistical analyses and examine publication bias.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with the random effects model. A total of 17 articles documenting 3 cohort and 14 case-control studies containing 14,667 PC cases and 17,587 pancreatitis cas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ooled OR between pancreatitis and PC risk was 7.05 (95%CI: 6.42-7.75). Howeever, the pooled ORs of case-control and cohort studies were 4.62 (95%CI: 4.08-5.22) and 16.3 (95%CI: 14.3-18.6) respectively. The risk of PC was the highest in patients with chronic pancreatitis (pooled OR=10.35; 95%CI: 9.13-11.75), followed by unspecified type of pancreatitis (pooled OR=6.41; 95%CI: 4.93-8.34), both acute and chronic pancreatitis (pooled OR=6.13; 95%CI: 5.00-7.52), and acute pancreatitis (pooled OR=2.12; 95%CI: 1.59-2.83). The pooled OR of PC in pancreatitis cases diagnosed within 1 year was the highest (pooled OR=23.3; 95%CI: 14.0-38.9); and the risk in subjects diagnosed with pancreatitis for no less than 2, 5 and 10 years were 3.03 (95%CI: 2.41-3.81), 2.82 (95%CI: 2.12-3.76) and 2.25 (95%CI: 1.59-3.19) respectively. Pancreatitis, especially chronic pancreatitis, was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PC; and the risk decreased with increasing duration since diagnosis of pancreatitis.

Prognostic Value of PLCE1 Expression in Upper Gastrointestin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Cui, Xiao-Bin;Peng, Hao;Li, Su;Li, Ting-Ting;Liu, Chun-Xia;Zhang, Shu-Mao;Jin, Ting-Ting;Hu, Jian-Ming;Jiang, Jin-Fang;Liang, Wei-Hua;Li, Na;Li, Li;Chen, Yun-Zhao;Li, F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661-9666
    • /
    • 2014
  • Background: A number of studies have identified a shared susceptibility locus in phospholipase C epsilon 1 (PLCE1)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and gastric cardia adenocarcinomas (GCA). However, the results of PLCE1 expression in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remain inconsistent and controversial. Moreover, the effects on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remain undetermined.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precise quantific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PLCE1 expression and the risk of ESCC and GCA through meta-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Eligible studies were identified from PubMed, Wanfang Data, ISI Web of Science, and the Chinese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databases. Using RevMan5.2 software, pooled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employed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PLCE1 expression wit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relative to ESCC or GCA. Results: Seven articles were identified, including 761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cases and 457 controls. Overall, we determined that PLCE1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tumor progression in both esophageal cancers (pooled OR=5.93; 95%CI=3.86 to 9.11) and gastric cancers (pooled OR=9.73; 95%CI=6.46 to 14.7). Moreover, invasion depth (pooled OR=3.62; 95%CI=2.30 to 5.70) and lymph node metastasis (pooled OR=4.21; 95%CI=2.69 to 6.59) were linked with PLCE1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determined between PLCE1 overexpression and the histologic grade, invasion depth, and lymph node metastasis in esophageal cancer. Conclusions: Our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upregulated PLCE1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umor progression in ESCC and GCA. Therefore, PLCE1 expression can be appropriately regarded as a promising biomarker for ESCC and GCA patients.

Tumor Necrosis Factor-α Gene Polymorphisms and Risk of Oral Cancer: Evidence from a Meta-analysis

  • Chen, Fang-Chun;Zhang, Fan;Zhang, Zhi-Jiao;Meng, Si-Ying;Wang, Yang;Xiang, Xue-Rong;Wang, Chun;Tang, Yu-Y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243-7249
    • /
    • 2013
  •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association between TNF-${\alpha}$ and oral cancer risk, but the results remain controversial. The present meta-analysis is performed to acquire a more precise estimation of relationships. Databases of Pubmed, the Cochrane library and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ternet (CNKI) were retrieved until August 10, 2013. Pooled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95% CIs) were calculated with fixed- or random-effect models. The heterogeneity assumption was assessed by I-squared test. Among the eight included case-control studies, all were focused on TNF-${\alpha}$-308G>A and four also concerned the TNF-${\alpha}$-238G>A polymorphism. It was found that oral cancer risk were significant decreased with the TNF-${\alpha}$-308G>A polymorphism in the additive genetic model (GG vs. AA, OR=0.19, 95% CI: [0.04, 1.00], P=0.05, I2=68.9%) and the dominant genetic model (GG+GA vs. AA, OR=0.22, 95% CI: [0.06, 0.82], P=0.03, I2=52.4%);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in allele contrast (G vs. A, OR=0.70, 95% CI: [0.23, 2.16], P=0.54, I2=95.9%) and recessive genetic models (GG vs. GA+AA, OR=0.72, 95% CI: [0.33, 1.57], P=0.41, I2=93.1%). For the TNF-${\alpha}$-238G>A polymorphism,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oral cancer risk were found in the allele contrast (G vs. A, OR=2.75, 95% CI: [1.25, 6.04], P=0.01, I2=0.0%) and recessive genetic models (GG vs. GA+AA, OR=2.23, 95%CI: [1.18, 4.23], P=0.01, I2=0.0%). Conclusively, this meta-analysis indicates that TNF-${\alpha}$ polymorphisms may contribute to the risk of oral cancer. Allele G and the GG+GA genotype of TNF-${\alpha}$-308G>A may decrease the risk of oral cancer, while allele G and the GG genotype of TNF-${\alpha}$-238G>A may cause an increase.

p16 - a Possible Surrogate Marker for High-Risk Human Papillomaviruses in Oral Cancer?

  • Sritippho, Thanun;Pongsiriwet, Surawut;Lertprasertsuke, Nirush;Buddhachat, Kittisak;Sastraruji, Thanapat;Iamaroon, Ana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8호
    • /
    • pp.4049-4057
    • /
    • 2016
  • Background: High-risk human papillomaviruses (HR-HPV), particularly types 16 and 18, have been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head and neck cancer, including or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OPSCC) and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p16, a cell cycle inhibitor, has been postulated as a surrogate marker for HR-HPV, since p16 is aberrantly overexpressed in such lesions, especially in HR-HPV-positive OPSCC. However, p16 as a surrogate marker for HR-HPV infection in cancers of the oral cavity remains controversial. Objecti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p16 and the presence of HR-HPV in OSCC and oral verrucous carcinoma (VC) and to determine if p16 could be used as a surrogate marker for HR-HPV. Materials and Methods: Forty one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s of OSCC (n=37) or VC (n=4) with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data of each case were collected. Expression of p16 was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stry, focusing on both staining intensity and numbers of positive cells. The presence of HPV types 16 and 18 was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describe the demographic,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parameters. Associations between p16 overexpression, HR-HPV and all variables were determined by Fisher's exact test, odds ratios (ORs) and corresponding 95% confidence intervals (CIs). In addition, the use of p16 as a surrogate marker for HR-HPV was analyzed b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ests. Results: p16 was overexpressed in 8/37 cases (21.6%) of OSCC and 2/4 cases (50%) of VC. HPV-16 was detected in 4/34 OSCC cases (11.8%) and HPV-18 was detected in 1/34 OSCC cases (2.9%). Co-infection of HPV-16/18 was detected in 1/4 VC cases (25%). Both p16 overexpression and HR-HPV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young patients with both OSCC and VC (p<0.05, OR 20, 95% CI 1.9-211.8; p<0.05, OR 23.3, 95% CI 2.4-229.7, respectively). p16 was able to predict the presence of HPV-16/18 in OSCC with 40% sensitivity and 79.3% specificity and in VC with 100% sensitivity and 66.7% specificity, respectively. Conclusions: p16 overexpression was found in 24.4% of both OSCC and VC. HR-HPV, regardless of type, was detected in 15.8% in cases of OSCC and VC combined. The result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ests suggest that p16 can be used as a surrogate marker for HR-HPV in OSCC and V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