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nee Joint in the Human Fetus

인태아 슬관절 발육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 Kim, Baik-Yoon (Department of Anatom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Joo, Ki-Jung (Department of Anatom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Nam, Kwang-Il (Department of Anatom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 Yoon, Jae-Rhyong (Department of Anatomy, Seonam University Medical College)
  • 김백윤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주기중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남광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윤재룡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he knee joint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in human fetuses ranging from 20 mm to 260 mm crown-rump length ($7\sim30$ weeks of gestational age). The appearance of the primordium of the meniscus and cruciate ligament was conspicuous as the mesenchymal cells , preceeding that of joint space at 30 mm fetus. The primitive joint cavity was first seen in the interzone from the 40 mm fetus and its intermediate layer proceeded developing as a narrow cleft which was closely incorporated with two chondrogenic layers. Poorly differentiated mesenchymal cells of the meniscus at 40 mm fetus containing predominantly free ribosomes differentiated into fibroblasts at 60 mm fetus. By 100 mm fetus, the fibroblast in inner zone of the meniscus presented as oval profiles with a short cell processes, whereas middle and peripheral zones presented as elongated cells. Differentiation of the synovial membrane coincided with clarification of the joint cavity When dilatation of the synovial cavity occurred, the two types of synovial cells were identified at 60 mm fetus. By 100 mm fetus a majority of the intimal cells were B-type. B-type cells were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A-type cells by their content of extensive rough endoplasmic reticula and well developed Golgi complexes. In contrast, A-type cells had numerous filopodia, pinocytotic vesicles, lysosomes and large vacuoles. At 260 mm fetus the B-type cells were also a majority of intimal cells. At 260 mm fetus the inner zone of the meniscus was filled with parallel oriented fascicles of collagenous fibers and oval fibroblasts. The middle zone was constituted of parallel and radially arranged fibers and fibroblasts. The outer zone was populated by elongated fibroblasts encircled by crossed collagenous fibers with the blood vessels. At 30 mm fetus the fibroblasts of the cruciate ligament contained rough endoplasmic reticula and mitochondria. Collagen fibrils were noted within narrow cytoplasmic processes which were continued with the extracellular space. Collagen fibrils of ligament were filled in the bulk of extracellular space at 100 mm fetus. By $150\sim260mm$ fetus, the cruciate ligaments were constituted of longitudinally oriented bundle of collagen fibrils with irregular rows of round cells between.

슬관절은 발생초 중간대에서 관절원판, 관절내인대 및 활액막세포들이 분화, 발육한다. 최근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이때 관절내 구조들의 재생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의 발육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함은 매우 의의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태생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인태아를 대상으로 슬관절의 관절강 발생에서 중간대의 중간층세포의 운명과 활액막, 관절원판 및 관절내인대의 분화, 발육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좌고 30mm(태령 9주)때 십자인대와 관절원판의 원기들이 출현하였고 초기 관절강은 40mm(태령 10주)때 중간대의 중간층이 연골형성층에 결합하여 출현하였다. 반월연골은 60mm(태령 12주)때 간엽세포에서 섬유모세포로 분화하였고 100mm(태령 15주)때 섬유모세포는 내측에서는 난원형을, 중간과 외측에서는 장타원형을 각각 취하였다. 260mm(태령 30주)때 교원섬유의 주행은 내측에서 평행히 달리고 중간에서는 평행 또는 방사상 방향을, 외측에서는 상호교차 방향을 하고 있었다. 십자인대는 30mm때 섬유모세포로 분화하였고 세포질에 조면내형질망과 사립체를 함유하고 있었다. 교원원섬유는 섬유모세포의 돌기내에서 출현하였다. 100mm때는 교원 원세포는 세포의 간격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260mm때 섬유모세포는 난원형 또는 방추상 핵을 가지고 있었고 교원섬유를 싸고 있지 않았으며 교원원섬유는 평행 또는 파상 방향으로 달리고 있었다. 활액막은 관절강의 초기 출현과 동시에 발생하였고 관절강이 확대되는 60mm때는 A와 B세포로 구분되었다. 100 mm때 활액막세포는 B세포가 대다수였고 B세포는 세포질에 다량의 조면내형질망과 잘 발달된 골지복합체를 함유하고 있었고 A세포는 사상위족, 음소포, 용해소체 및 공포를 가지고 있었다. 260mm에도 B세포가 대다수 관찰되었다.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stradiol benzoate를 4일간 매일 일정량을 투여한 흰쥐의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의 면역반응은 estradiol 투여후 1일, 3일 및 5일군에서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2. Estradiol beozoate를 4일간 투여한 후 cia-platin을 투여한 흰쥐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 반응은 cis-platin 투여 1일군과 3일군에서 약한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제 5일군에서는 강한 반응으로 회복되었다. 3. Cis-platin투여한 후 제 1일 및 3일군의 흰쥐 난관 섬모세포내 $\alpha-tubulin$반응은 첨부세포질에서는 감소되었고 기저체, 섬모등에서는 $\alpha-tubulin$반응이 대조군과 비교하면 변동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은 cis-platin투여에 의해 감소되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었다.調節) 작용(作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대부분의 틸라피아는 신장(腎臟)의 보우만 주머니를 가득 채운 신사구체(腎絲球體)를 가지고 있으며, 신사구체(腎絲球體)의 수축은 담수(淡水)에 적응된 개체보다 10%o, 20%o, 30%o에 적응된 개체에서 훨씬 더 많이 발생되었고, 울혈현상(鬱血現象)은 10%o보다 20%o, 30%o에 적응(適應)된 개체의 신장조직(腎臟組織)에서 더많이 발생되었다. 틸라피아의 신사구체(腎絲球體)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신장(腎臟)에서 수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30%o의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틸라피아의 평균 신사구체(腎絲球體)의 면적은 담수(淡水)에 적응된 개체의 면적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