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7초

기관지 과민성이 동반된 중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 대한 Salmeterol/Fluticasone Propionate와 Tiotropium Bromide 병합 요법과 단독 요법 치료효과 비교 (Comparison for the Effects of Triple Therapy with Salmeterol/Fluticasone Propionate and Tiotropium Bromide versus Individual Components in Patients of Severe COPD Combined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 손지연;김소리;박성주;이흥범;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6호
    • /
    • pp.536-544
    • /
    • 2009
  • Background: A combination of salmeterol and fluticasone propionate (SFC) and tiotropium bromide (TIO) is commonly prescribed for COPD patients but there is little data on their effectiveness, particularly in COPD patients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his study compared the spirometric improvement based on the change in $FEV_1$, $FEV_1$/FVC, and IC as well as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therapeutic strategies with SFC and TIO versus the individual components in patients with severe COPD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Methods: This study examined the spirometric data and clinical outcomes of 214 patients with COPD and hyperresponsiveness, who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herapeutic regimen (TIO only, SFC only, and a triple therapy regimen). Results: All regimen groups showed early improvement in the $FEV_1$ and IC (at 3- and 6 months after treatment). However, long-term beneficial effects were observed only in the SFC group (at 24 months after treatment). However, these beneficial effects decreased after a 36-month follow up. In all spirometric results, the 12-, 24-, and 36-months data showed a similar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three groups. The triple therapy group showed higher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scores and lower acute exacerbations and hospitalization. Conclusion: SFC can be a more important component in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severe COPD patients with hyperresponsiveness than TIO, particularly in the spirometric and clinical outcomes.

담배연기 응축물과 Lipopolysaccharide의 투여로 유발된 COPD에 대한 백지 추출물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ngelicae Dahuricae Radix Extract on COPD induced by Cigarette Smoke Condensate and Lipopolysaccharide in Mice)

  • 곽호근;임흥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80-387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Angelicae Dahuricae Radix (ADR) extract o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nduced by cigarette smoke condensate (CSC) and lipopolysaccharide (LPS) in mice. COPD was induced by intratracheal instillation of LPS and CSC 5 times for 12 days; this increased airway hyperresoponsiveness (AHR) and inflammatory cel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ADR extract was administered orally at a dose of 50 and 200 mg/kg. The concentration of imperatorin, a major component of ADR and therefore used as a measure of quality control, was $0.098%{\pm}0.018%$. Treatment of the mice with ADR extract (50 and 200 mg/kg) alleviated AHR and reduced inflammatory cell counts. Treatment with cyclosporin A (CSA; 10 mg/kg) also modulated AHR and reduced inflammatory cells effectively. Compared with CSA treatment, treatment with ADR (50 mg/kg) extract reduced neutrophil and $CD4^+/CD3^+$ cell counts by 22.67% and 44.92%, respectively. In addition, compared with CSA treatment, treatment ADR 200 mg/kg reduced neutrophils, $CD4^+/CD3^+$ cells and $CD8^+/CD3^+$ cells, by 32.10%, 83.17% and 82.11%,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R extract may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COPD induced by LPS and CSC in mice.

한국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대상 임상 연구를 위한 온라인 등록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Online Registration System for Clinical Research on Korea COPD Population)

  • 박지숙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89-98
    • /
    • 2021
  • 지역사회획득폐렴은 만성폐쇄성페질환 환자 사망의 중요 원인 질환이며 폐렴구균은 폐렴의 중요 원인균이다.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을 예방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폐렴구균백신과 독감백신의 접종을 들 수 있다. 국내 주요 7개 대학병원에서는 전향적, 다기관, 코호트 연구를 통하여 폐렴으로 입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폐렴구균예방접종과 독감예방접종여부에 따라 폐렴의 중증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기관 연구자들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도록 도움을 주는 온라인 등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오프라인 임상 연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확한 데이터의 입력과 편리한 데이터 완성, 그리고 실시간 데이터 관리 등의 세 가지 기본 전략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온라인 등록 시스템은 다기관 임상 연구에 활용되어 그 성능을 평가받았다.

COMPARISON OF EMETIC POTENTIAL INDUCED BY PDE IV INHIBITORS IN THE FERRET

  • Park, Jae-Mook;Lee, Sung-Hak;Kim, Il-Hwan;Yeon, Kyu-Jeong;Kim, Dal-Hyun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2년도 Current Trends in Toxicological Sciences
    • /
    • pp.114-114
    • /
    • 2002
  • Inhibitors of type IV phosphodiesterase (PDE IV)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s new therapeutic agents for asthma,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and arthritis. Unfortunately,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DE IV inhibitors has been considered to be associated to some extent with vomiting as adverse effect. The first generation PDE IV inhibitor, rolipram, was known to induce emesis at clinical trials. (omitted)

  • PDF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치료 (Manage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정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6호
    • /
    • pp.587-596
    • /
    • 1994
  • COPD의 치료에 대해 약술하였다.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적으로는 금연, 국가사회적으로는 공해의 해결이 필요하며 진행된 질병에서는 진행을 막기 위한 감염의 예방 및 감염시 즉각적인 항균제 치료, 필요에 따라서 항염증제, 그리고 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각종 재활요법이 필요하다. 원활한 재활요법을 위해서는 필요한 기구 장비의 구입이 쉬워야 하고 치료진에서는 호흡기 전문의사, 호흡치료사, 의료기사, 병원 및 가정간호사, 사회사업가(social worker), 정신과의사, 영양사 등의 팀으로의 접근이 필요하고 제도적으로 보험적용이 되도록 해야 하겠다. 불구가 심한 예에서는 폐이식이 시도되며 기술적인 문제는 다소 해결된듯하나 장기공여자 등의 문제로 보편화되지는 않고 있다.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의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에 대한 연구 (The Polyneuropathy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백종철;명재일;강헌석;김용록;염형렬;류형산;이승;김완;노진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806-814
    • /
    • 1997
  • 연구배경 :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의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은 상지보다는 하지, 운동 신경 보다는 감각 신경을 주로 침범하며, 병리학적으로 주로 수초탈락을 보인다는 것은 많은 연구에서 일치하는 소견을 보이나, 그 발생 빈도는 보고자마다 서로 다른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정확한 원인인자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임상신경학적 검사와 전기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의 발생빈도와 침범부위 및 원인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방 법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여러 증상을 보이면서 폐기능 검사상 FEV1과 FEV1/FVC이 70% 이하이고 provocation test 상 가역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어떠한 대사성 질환도 지니지 않으며, 신경에 독성을 야기하는 약물 복용의 과거력이 없는 44명을 대상으로 하여 임상 소견으로 팔 다리 저림, 신체검사상 심부건 반사감소, 진동 및 위치감각 저하, 내적근 위축을 조사하였고, 전기 신경학적 검사로서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의 전도검사 및 침근전도를 시행하여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을 진단하였다. 각 환자는 연령, 흡연력, 동맥혈 개스 분석, 폐기능검사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 과 : 44명의 대상 환자 중 22명이 전기 신경학적 검사상 진단되어 50%의 발생빈도를 보였으며, 임상 신경학적 검사상 20%인 9명이 양성을 보였다. 전기 신경학적 검사상 양성을 보인 22명 중 임상 신경학적 검사상 양성을 보인 군은 9명이었으며, 13명은 음성을 보여 무증상의 잠재성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이 많았다. 전기 신경학적 검사상 상지보다는 하지, 운동신경보다 감각신경 이상이 많았으며, 신경 손상 변성이 수초탈락보다 많았다. 유발 인자에 대한 검사로서 연령, 흡연력, 동맥혈 개스 분석, 폐기능 검사 의미 있는 인자는 찾을 수 없었다. 결 론 :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다발성 말초신경병변이 비교적 높은 발생빈도를 보여, 이에 대한 조기 발견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향후 대단위 검사로서 보다 정확한 유병율과 함께 원인과 조직 병리학적인 조사가 더 이루어져야 되리라 여겨진다.

  • PDF

Elastase 매개성 폐조직 손상에 대한 맥문동탕(麥門冬湯)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Maekmundong-tang on Elastase-induced Lung Injury)

  • 김형원;양수영;김민희;남궁욱;박양춘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3-78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Maekmundong-tang (MMDT) on an elastase-induced COPD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he extract of MMDT was treated to A549 cells and elastase-induced COPD mice model. Then, various parameters such as cell-based cytoprotective activity and histopathological findings were analyzed. Results: MMDT showed a protective effect on elastase-induced cytotoxicity in A549 cells. This effect was correlated with analysis for caspase 3 levels, collagen and elastin contents, protein level of Cdk1, and gene expression of TNF-${\alpha}$ and IL-$1{\beta}$ in A549 cells. MMDT treatment also revealed a protective effect on the elastase-induced COPD mice model. This effect was evidenced via histopathological finding including immunofluorescence stains against elastin, collagen, and caspase 3, and protein level of Cdc2 in lung tissue.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MMDT has pharmaceutical properties on COPD. This study can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the efficacy of MMDT for clinical application to patients with COPD.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Hospice & Palliative Care Policy in Korea)

  • 김창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1호
    • /
    • pp.8-17
    • /
    • 2017
  • 종합적인 보건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완화의료정책의 개발과 강화가 세계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암정복 10개년 계획과 국가암관리종합계획의 기틀 하에 암정책의 일환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이 시행되어왔고, 2003년 암관리법(Cancer Control Act)을 제정하여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최근 호스피스 완화 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을 제정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의 대상은 최근 관련법의 제정에 따라, 말기암환자에서 암(Cancer),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만성 폐쇄성 호흡기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만성간경화(Chronic Liver Disease/Live Cirrhosis) 등으로 확대되었고, 급여체계는 2015년에 모든 의료기관에 일당 정액수가와 행위별 수가의 복합지불방식으로 완화의료 건강보험제도가 시행되었다. 전달체계관련 건강보험제도는 입원형과 자문형, 그리고 가정형으로 구분되고, 완화의료전문기관의 지정 평가 지원제도가 운영되고 있으며, 재원체계는 건강보험기금과 국가지원금으로 조달되고 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 관련법의 시행에 앞서, 정책대상의 사회적 합의가 요구되며, 낮은 급여체계의 현실화, 민관협력을 통한 호스피스완화의료 표준설정과 전문요원양성, 질 관리 및 평가체계정립, 그리고 장기요양보험과 호스피스기금 등을 활용한 안정적인 재정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Tobacco-Related Chronic Illnesses: A Public Health Concern for Jamaica

  • Crawford, Tazhmoye V.;McGrowder, Donovan A.;Barnett, Jasper D.;McGaw, Barbara A.;McKenzie, Irving F.;James, Leslie 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733-4738
    • /
    • 2012
  • Background: Tobacco use is a leading cause of preventable morbidity and mortality from non-communicable disease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determine the percentage of annual income used to purchase tobacco-related products and treat tobacco-related illnesses, and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smokers and their awareness of the health-related risks of smoking. Method: Stratified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were used to obtain information (via a 17-item, close-ended questionnaire) from 85 adult respondents (49 males and 36 females). The instrument compris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moking behavioural/lifestyle, health, and micro socio-economic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who were affected by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 (COPD) (14.1%) and cardiovascular disease (18.8%). It was found that respondents spend 30-39% of their annual income on tobacco-related products. Forty percent (40.0%) and 41.7% of respondents with lung cancer and COPD respectively spend more than 50% of their annual income to treat these diseases. The majority (80%) of those who continues to consume tobacco-related products were uncertain as to why they were doing it. Not all the smokers were aware of the dangers of tobacco consumption despite their level of education. Conclusion: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ho had tobacco-related illnesses such as lung cancer and COPD spend a significant amount of their income on their health care. Not all the smokers were aware of the dangers of tobacco consumption despite their level of education. This suggests the need for increase public awareness where both smokers and non smokers are being fully or adequately informed about the dangers or health risks of tobacco consumption.

Does Home Oxygen Therapy Slow Down the Progress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s?

  • Han, Kyu-Tae;Kim, Sun Jung;Park, Eun-Cheol;Yoo, Ki-Bong;Kwon, Jeoung A;Kim, Tae Hyu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2호
    • /
    • pp.128-135
    • /
    • 2015
  • 목적: 2006년부터 가정산소치료 서비스에 대해 보장을 시작함에 따라, 기준에 부합하는 사람들은 가정산소 서비스이용에 대해 20%의 본인부담만을 지출하게 되었다. 이 같은 제도의 도입은 환자의 가정산소치료 서비스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게 됨에 따라 주요 이용자인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제도 도입 후 가정산소치료 서비스 제도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고, 실증적 근거자료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도 도입 후, 가정산소치료 서비스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의 상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만성폐쇄성 폐질환으로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병원을 방문한 사람(N=10,798)의 청구데이터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가정산소치료 서비스 제도 적용의 기준인 호흡기장애등급에 따라 분포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chi}^2$ test을 하였다. 또한, 가정산소치료 서비스 이용에 대한 요인을 알아보고자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으며, 가정산소치료 서비스 이용이 호흡기장애등급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아보고자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분석을 하였다. 결과: 분석대상 중 호흡기장애등급 1등급에 속하는 대상은 2,490명이었으며, 2/3등급에 속하는 대상은 8,308명이었다. 가정산소치료 서비스 이용에 대해서는 호흡기 장애등급 3등급이 1 또는 2등급에 비해 적게 이용하였다(OR: 0.33, 95% CI: 0.30~0.37). 또한, 가정산소치료를 이용함에 따라 환자의 상태의 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가정산소치료 이용자는 미이용자에 비해 상태의 완화 또는 유지에 대해 높은 값을 보였다(OR: 1.41, 95% CI: 1.23~1.61). 결론: 가정산소치료 서비스 이용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상태 악화방지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