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media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3초

동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ti-media Activity based on children's stories on Children's Creativity)

  • 김준모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7-52
    • /
    • 2008
  •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동화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집단간의 차이는 동화 들려주기만 한 통제집단보다 음악을 듣고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정서지능 점수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냈다. 유아 멀티미디어 활동은 유아들에게 감정을 표현하게 함으로써 정서지능을 향상시킨다.

  • PDF

청소년 유해매체 이용이 성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Predicting Adolescent Sexual Behaviors and Attitudes From the Use of Harmful Media)

  • 황명희송;김종민;문인옥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3
    • /
    • 2008
  • Objectives: Literature has show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harmful media and sexual behaviors among adolescents. Laws and regulations of violent and sexual mass media are getting stricter, but young children reported that they were still accessible to these harmful materials. It might be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techniques in media delivery and new trends of game addict among Korean adolescents. Since there were very few studies on recent harmful media available to young children, the authors explore the usability of harmful media and identify related factors that can predict adolescent sexual attitudes and activ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internal data that were drawn from National Youth Committee's survey of adolescent harmful environment in 2007.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3,721 adolesc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based on strata of geography, school, and gender. Results: Adolescents accessed mostly to NC-19(No Children under 19) TV programs(35.8%) and AO(Adult Only) games(35.5%). Most of them reported that they did not have difficulty in the contact of these harmful media. The factors that can predict adolescent sexual intercourse are male adolescents, attending high school, not being satisfied with family life and school, contact with phone-advertising of sex, AO games and other online games, viewing adult videos, or reading adult books. Conclusions: When sex education is designed, an instructor considers not only stu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strategies to deter the use of harmful media especially for game materials.

  • PDF

교사들과 신문 보도를 통해서 본 중국 농촌 학교에서의 유수(留守) 아동(left behind children) (Newspaper and Teacher Constructions of Children of Migrant Parents in Rural China)

  • 김성원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2호
    • /
    • pp.53-75
    • /
    • 2018
  • 본 연구는 중국 장시성 농촌지역 학교 교사들의 면접자료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출간된 중국의 대표적인 3개 신문들에 보도된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일자리를 찾기 위해 도시로 이주한 중국 부모들은 아이를 농촌에 남겨두고 떠나는 경우가 많은데, 언론과 교사들의 공통된 담론에 의하면 농촌에 홀로 남겨진 아이들이 경험하는 여러 문제들의 가장 큰 원인은 부모의 부재와 이로 인한 유수아동(left behind children)의 정서불안이며, 부모의 책임이 크다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해결방안을 탐색하는데 있어 교사들은 구조적, 제도적 측면을 강조하는 반면, 신문보도에서는 봉사자 개인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었다. 교사 면담 내용을 살펴보면 학교 내에서의 활동과 교사의 역할이 유수아동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부각되었지만 대부분의 신문들은 이를 묵인하며 정부관료와 지역대표들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위험한 미디어 vs 든든한 육아 도우미' : 영유아 스마트 미디어 이용 담론에 대한 탐구 ("Dangerous Media vs. Reliable Childcare Helper" : Discursive Analysis of Infants' Smart Media Use)

  • 최이숙;김반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15-525
    • /
    • 2021
  • 이 연구는 영유아들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스마트미디어 노출=위험한 행위'라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아동의 스마트 미디어 과의존은 증가해왔다. 이러한 현상은 영유아들의 미디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을 살펴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 연구는 10개 일간지 및 경제지를 대상으로 2018년-20년에 생산된 기사를 분석했다. 그 결과, 영유아의 미디어 담론 형성의 핵심적인 발화주체는 관련 콘텐츠 생산자 및 플랫폼 운영자들이었다. 학계 및 시민단체, 부모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 미디어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입장이 개진되었지만 산업계는 이러한 위험성 논의를 넘어 영유아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에 긍정적 의미를 부여했다. 스마트 미디어는 자녀의 생활습관형성, 학습과 발달을 돕는 미디어, 자녀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통제권을 확보하도록 도와주는 안전한 미디어로 재정의 되었다. 자녀의 스마트 미디어 과의존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거론되면서 비난과의 대상이자 문제해결의 주체였던 부모는 산업계의 서사 전략 속에서 돌봄 책임자이자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위치 지워졌다. 위험 담론 속에서 불완전한 돌봄의 방식으로 표상되었던 디지털 육아는 이제 최신 기술을 활용한, 부모들이 손쉽게 동원 가능한 육아 방식으로 규정되었다.

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성인용 매체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rental Neglect on Adolescent's Peer Attachment :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Media Immersion)

  • 이동준;맹성준;최상설;김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06-41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또래애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둘 간에 성인용 매체몰입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제6차(2015년) 한국 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중1패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563명을 대상으로 Hayes가 개발한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방임이 증가할수록 또래애착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인용 매체몰입은 부모의 방임과 또래애착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건강한 또래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가정 내에서의 부모의 관심과 애정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들이 성인용 매체몰입을 예방하기 위한 부모교육의 중요성이다. 셋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인용 매체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인터렉티브 에듀테인먼트 기반 유아용 한글 학습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Learning Content for Children based on Interactive Edutainment)

  • 송미영;박수빈;김우연;김효원;최유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55-56
    • /
    • 2019
  • 본 논문은 유아기 언어 발달 시기에 한글의 기초 단계를 학습하기 위해 기존의 교육 방식과는 달리 시각적, 청각적 효과로 몸의 감각을 통해 사물을 배우며 이러한 자극으로 정보를 기억하고 축적할 수 있는 에듀테인먼트 콘텐츠를 개발한다. 유아의 호기심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플랫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재미와 즐거움을 키우며 나아가 지식을 얻을 수 있다.

  • PDF

유아용 영상미디어 프로그램의 질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 (What Do Mothers Consider When Choosing Screen Media Programs for Their Infants?)

  • 김윤경;이동미;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15-130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hat factors the mothers of infants consider to be important when choosing screen media programs for their children, and to investigate whether those features differ according to matern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e.,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income).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948 mothers who were the primary caregivers and had at least one child aged 4-6. They were asked to select three of the following aspects as critical criteria for determining if a given screen media program is appropriate for infants: (a) contents suitable to the child's developmental level, (b) behaviors of characters, (c) appearance of characters, (d) visual aspects of program, (e) duration of screen media program, (f) whether the screen media program includes instructive contents, and (g) whether the program leads to opportunities for conversations among family members and activities with children. Multiple response frequency analysis and multiple response cross-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mothers' respon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mothers reported that 'contents suitable to the child's developmental level' represented the first-ranked criterion for selecting screen media programs for their child, which was followed by 'behaviors of characters,' and 'whether the screen media program includes instructive contents.' However, such criteria for screen media programs for infants differed according to maternal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income. These outcomes suggest that different information needs to be provided based on mater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help mothers determine the quality of screen media programs for their infants.

아동 소비자의 소비생활문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ption Problem for Child Consumer)

  • 송미애;이승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1-9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ren's consumption level and related factors in an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for teaching children to lead rational consumer life and for improving consumer welfare, as it's assumed in this study that children's consumption problems would affect themselves throughout their lives. This study specifically intended to find out (1) child consumer problems, (2) how children's consumption problems were affected by their demographic variables, (3) whether consumer-education experience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onsumption problems at school, home and society, and (4) what types of demographic and consumer-education variables exercised influence on consumption probl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vestigated were found to have middle level of consumption problems. Purchasing goods scored the lowest, and using goods scored the highest among consumption problems. Second, it turned out that boys suffered more consumption problems than girls. The reason seemed that as boys generally have lower experience in consumption attitude. Third, as to the correlation of the children's consumption problems to their consumer-education experience, money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e to learn at school how to manage and save allowances. Also, the experience of consumer education by parent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children's consumer consciousness and attitude varied with their experience to receive consumer education from mass media.

Association Between Screen Overuse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Choi, Yeonkyu;Lee, Dong Yun;Lee, Sangha;Park, Eun-Jin;Yoo, Hee Jeong;Shin, Yunm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2권4호
    • /
    • pp.154-160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association between excessive exposure to screen media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A total of 331 parents of children aged 7-10 years were recruited from "The Kids Cohort for Understanding of Internet Addiction Risk Factors in Early Childhood (K-CURE)" study. Children's demographics, household media ownership, screen time, and behavioral/emotional problems were assessed using a parental questionnaire. Children's behavior/emotional problem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the of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score. Results: The total K-CBCL score in the screen overuse group was 51.18±9.55, significantly higher than 47.28±10.09 in the control group (t=2.14, p=0.05). For each subscale, the externalization score (51.65±10.14, 48.33±8.97, respectively; t=2.02, p<0.05), social problem score (55.41±6.11, 53.24±5.19, respectively; t=2.27, p<0.05), and rule breaking behavior score (55.71±6.11, 53.24±5.19, respectively; t=2.27,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creen overu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creen overuse group also had a significantly higher usage rate than the control group, even if limited to smartphones, not only on weekdays (3.56±2.08, 1.87±2.02, respectively; t=-4.597, p<0.001) but also weekends (1.62±0.74, 1.19±0.83, respectively; t=-3.14, p=0.003).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at screen media overuse patterns in children in Korea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and are related to higher risk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미디어 환경과 사용에 관한 아동의 심성모형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f Children's Mental Model on Media Environment and the Use)

  • 이란;현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01-61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환경과 미디어 사용에 대한 아동의 심성모형을 분석하여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0명의 초등 4-5학년 연령대 아동과의 인터뷰, 그림 그리기, 연상 단어 제시하기, 문장 완성하기의 네 가지 활동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연구자 2인에 의해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문장 완성활동과 연상 단어 활동을 통해 도출된 의미 구성요소는 미디어 기기, 소통성(소외감), 유능함(공급원), 오락성, 역기능, 양면성의 총 6개 요소였다. 두 번째로, 참여자들의 그림에서 추출된 미디어 심성모형의 구성요소는 기능성/유능함, 오락성, 책(종이)과의 갈등/공유, 해악/양면성 등의 4개 요소였다. 세 번째로, 인터뷰를 통해 나타난 심성모형의 의미요소는 갈등(종이책과 전자 미디어), 소통 중심성, 두려움(중독), 그리고 사용자의 자격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이버 소통에 대한 관찰과 인식 강화, 중독예방 교육의 필요성, 학습 미디어와 책 미디어의 적극적 개발과 균형있는 활용, 건강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비판적 사고의 강화 등을 교육적 함축으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