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 단일대상연구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Attention to Autism Spectrum Disorder Children: Single Case Study)

  • 조선영;주유미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4호
    • /
    • pp.57-66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이하 IM)훈련이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주의집중력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 1명을 대상으로 ABA' 설계를 통한 단일대상연구이다. 회기 별 구성은 기초선(A) 3회기, 중재기(B) 14회기, 기초선 2(A') 3회로로 총 20회기 실시하였다. 중재기(B)동안에는 IM 훈련을 하였으며, 기초선(A), 중재기(B), 기초선 2(A') 기간 모두 종속변인으로 부주의 행동과 주의집중 행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기초선과 비교하여 IM 훈련 중재기에 대상자의 부주의 행동은 감소하였고, 주의 집중 행동은 증가하였다. 기초선 2 기간에도 중재 효과는 유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IM 훈련이 주의력 결핍 증상이 있는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중재로써 IM 훈련의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음악제작 앱 기반 상호적 음악만들기 사례 (A Music Technology-Based Interactive Music-Making for Improving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윤솔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8권2호
    • /
    • pp.19-43
    • /
    • 2021
  • 본 연구는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제작 앱 기반 상호적 음악만들기 활동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된 사례연구이다. 음악만들기 중재는 타인의 음악패턴을 모방하여 주고받는 음악적 모방 단계(1단계), 타인의 음악 패턴을 반영하는 음악적 표현과 조정 단계(2단계), 타인과 공동 음악만들기를 시도하는 음악적 상호작용의 확장 단계(3단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가 다양한 수준의 음악을 완성하고 조정하는 기회를 통해 대상자가 의견을 개시하고 조율하는 행동을 촉진하고자 물리적 악기가 아닌 음악제작 앱과 GarageBand를 활용했다. 연구대상자는 ASD로 진단받은 만 8세, 만 11세의 남아이고, 중재는 회기별 40분씩, 주 2회, 총 8회기 진행되었다. 음악적 상호작용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음악 활동 시 대상자의 의견 개시 및 조율 행동을 관찰하여 분석했고, 대상자의 부모에게 사전·사후 사회적 반응성 척도(SRS-2) 검사를 평정하도록 했다. 연구 결과, 중재에 참여한 대상자 모두 의견 개시 및 조율 행동과 음악적 상호작용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사회적 반응성 척도 점수에서 전반적인 감소가 나타나 본 연구가 대상자의 사회적 의사소통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음악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상호적 음악만들기 활동이 ASD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연하재활치료 : 체계적 고찰 (Dysphagia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Children With Feeding Disorder : A Systemic Review)

  • 전주영;박혜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9-53
    • /
    • 2021
  • 목적 :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에 따른 연하장애를 증상별로 세분화하고 증상에 따른 치료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INAHL을 통해 검색하였다. PRISMA, PICOS를 이용하여 연구를 선정하고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에 사용한 문헌은 총 13개로 연구의 질적수준, 질환군, 평가도구, 중재방법, 중재 후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3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군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6편(46.15%), 뇌성마비(Cerebral Palsy; CP)는 7편(53.85%)으로 나타났다. 섭식장애 중재를 받은 아동의 연령대는 ASD는 2-8세, CP는 12개월-18세까지로 확인하였다. 평가영역에서 ASD는 행동평가, CP는 구강과 삼킴기능 평가영역이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에서 ASD는 행동수정이 가장 많았고, CP는 구강감각운동, 음식질감조절, 전기자극치료가 각각 동일한 빈도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후 치료효과에서는 모두 효과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섭식장애가 있는 아동의 질환군, 적용되는 평가도구, 중재방법을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가 질환에 따른 평가와 중재 선택 시 임상가들이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고 효율적인 섭식장애 중재를 적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 개발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isperidone Monotherap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A Naturalistic Study

  • Won, Eun-Kyung;Park, Jin-Park;Lee, Young-Ryul;Nam, Yoon-Young;Min, He-Ji;Kim, Yen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4호
    • /
    • pp.273-278
    • /
    • 2015
  • Objectives :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risperidone monotherapy in subjec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 addition, we did mixed effect mod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risperidone in patients with ASDs naturalistically treated in a routine clinical setting to determine whether the clinical effects were maintained and the side effects were tolerable. Methods : This retrospective study assesse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D, who were on risperidone monotherapy from July 2010 to July 2011 at the Child and Adolescent ASD Clinic at Seoul National Hospital. Outcome measures included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of Illness (CGI-S) and the CGI-Improvement (CGI-I) scales along with other clinical indices: dosage, target symptoms, and side effects. Results : The mean dose of risperidone in 47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D (40 males, 7 females; age range 5-19 years) who were on risperidone monotherapy was $1.6{\pm}0.8mg/day$, and the mean duration of the treatment period was $20.2{\pm}17.3months$. Aggressive behavior, stereotypic behavior, irritability, and self-injurious behavior were the most frequent target symptoms of risperidone. The most common side effects were weight gain followed by somnolence and extrapyramidal symptoms. In a mixed effects model analysis of CGI-I scores, the mean CGI-I score at the 1 month follow-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ean CGI-I score of the 3-month follow-up (p=.046), and the CGI-I scores were equally maintained over 3 to 48 months [F(6, 28.9)=4.393, p=.003]. Of the 47 patients, 33 patients (70.2%) were identified as the response group, showing an end point CGI-I rating of 3 or under and having continued risperidone treatment for at least 6 months. The baseline CGI-S score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linical response to risperidone (p=.005), the mean baseline CGI-S was higher in the response group compared to the non-response group. Conclusion : In this study, clinical improvement of risperidone stabilized around 3 months and was equally maintained up to 48 months with tolerable side effects, supporting maintenance of risperidone trea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Ds.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효능감 및 부모-아동 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 주도 가정 기반 음악프로그램의 실행 가능성 (Feasibility of a Parent-Led Home-Based Music Program to Enhance Parental Competence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SD)

  • 양혜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2호
    • /
    • pp.89-11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ASD 아동 부모가 자녀와 함께 가정에서 음악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하는 것이 양육효능감과 부모-아동 관계 증진에 도움이 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만 3세-9세 사이의 ASD 아동의 부모 10명이 참여하였고, 각 부모는 주 1회, 30분씩 개별로 이루어진 사전 교육에 참여한 후 총 5주간 가정 기반 음악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가정 기반 음악 프로그램은 부모가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악을 적용한 활동을 구성하고, 아동과의 상호작용이나 부모가 활동에 관하여 결정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수준을 수용적인 수준에서부터 능동적, 자율적 수준까지 총 3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ASD 아동 부모가 한 주간 음악 활동을 실행한 평균 횟수는 2.5회, 평균 진행 시간 9.2분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가 지각하는 '편안함'과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도움이 된 정도'의 인식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효능감, 부모-아동의 '친밀감' 영역에서도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대상자들은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SD 아동의 가족을 지원할 때, 가족의 고유한 특성과 필요를 고려하는 중요성과 다양한 음악 활용 방안을 지원하는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 및 부모의 보고 내용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추후 가정 기반 음악 활동 및 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한 수준과 범위, 고려 사항을 제안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pp-기반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스펙트럼 아동의 대화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Novel App-based Listener Responsiveness Conversation Training Program on Enhancing Conversa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 조희정;김소연
    • 감성과학
    • /
    • 제26권3호
    • /
    • pp.115-128
    • /
    • 2023
  •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App-기반 청자 대화기술 훈련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6명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전반적 발달장애로 진단된 초등학생으로, 연령과 IQ, SCQ, ASSQ 점수를 사용하여 중재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짝지어 분배하였다. 중재 집단은 9주 동안 교사와의 비대면 학습을 주 1회 실시하고, 가정에서도 부모 또는 아동이 앱(App)을 활용하여 대화훈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다른 특별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그리고 훈련 전과 후에 평가자와 아동 간의 1:1 대화를 수행하여 대화 자료를 수집하고,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주제 운용능력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집단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중재 집단은 청자 조건에서 적절한 청자 언어 반응이 유지되었고, 통제 집단은 적절한 청자 언어 반응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화자 조건의 대화 차례 주고받기에서는 개시율과 유지율이 증가하고, 주제 운용능력에서는 적절한 주제 개시율이 증가하고, 부적절한 주제 개시율은 감소하였다. 논의에서는 청자 반응 대화훈련 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대화 양상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눈맞춤과 얼굴표정읽기 기능향상을 위한 행동 중재용 로봇시스템 (A Robotic System with Behavioral Intervention facilitating Eye Contact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윤상석;김혁수;최종석;박성기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61-69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robot-assisted behavioral intervention system so as to strengthen positive response of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for learning social skills. Based on well-known behavioral treatment protocols, the robot offers therapeutic training elements of eye contact and emotion reading respectively in child-robot interaction, and it subsequently accomplishes pre-allocated meaningful acts by estimating the level of children's reactivity from reliable recognition modules, as a coping strategy. Furthermore, for the purpose of labor saving and attracting children's interest, we implemented the robotic stimulation configuration with semi-autonomous actions capable of inducing intimacy and tension to children in instructional trials. From these configurations, by evaluating the ability of recognizing human activity as well as by showing improved reactivity for social training, we verified that the proposed system has some positive effects on social development, targeted for preschoolers who have a high functioning leve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Quantitative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A Preliminary Study

  • Park, Subin;Won, Eun-Kyung;Lee, Ji Hyun;Yoon, Soyoung;Park, Eun Jin;Kim, Yen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9권2호
    • /
    • pp.80-85
    • /
    • 2018
  • Objectives: We aimed to assess the test-retest reliability, internal consistenc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Quantitative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Q-CHAT). Methods: The Korean version of the Q-CHAT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1.5-5 were completed by parents of 24 toddlers and preschoo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80 unselected toddlers and preschoolers. Parents of the ASD group also completed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SCQ), and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score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Results: The ASD group scored higher on the Q-CHAT than the unselected group.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Q-CHAT was 0.658,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calculated to be 0.836. The estimated area under the curve was 0.793. The total scores of the Q-CHAT in the ASD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findings regarding pervasive development problems in the CBCL, SCQ, and CARS. A total score of 33.5 may be a useful cutoff point to use when identifying toddlers at risk of ASD.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the Q-CHAT has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can be used as a screening tool in order to identify toddlers and preschool children at risk of ASD.

감각통합 기반의 가족중심코칭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amily-Centered Coaching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on the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김윤성;김경미;장문영;홍소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25
    • /
    • 2021
  • 목적 : 감각통합기반의 가족중심코칭이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아동의 작업수행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4월 16일~ 2020년 8월 6일까지 기준에 부합하는 3-6세 ASD 아동 10명과 보호자 10명이 참여하였다. 캐나다 작업수행 평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로 아동의 작업 수행도와 만족도를 평가하였고,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ing; GAS)로 아동의 작업수행을 평가하였다. 실험군은 기존에 받고 있는 감각통합치료와 함께 주 1회 60분, 4주간 가정방문 및 영상통화로 시행되는 목표활동에 대한 개별화된 가족중심코칭을 받았다. 통제군은 기존에 받고있는 감각통합치료와 함께 목표활동에 대한 감각통합기반의 일반적인 상담으로 진행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집단별 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 GAS 점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사용하였고, 중재 전후 집단 간의 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 GAS의 점수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다. 두 집단 간의 효과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Cohen's d를 사용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중재 전과 후에 COPM 수행도와 만족도, GAS의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집단 간의 중재 전과 후의 COPM 수행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Cohen's d 값의 결과 COPM 수행도(d=.913)에서 큰 효과를 보였다. COPM 만족도와 GAS 점수는 모두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Cohen's d 값의 결과 COPM 만족도(d=2.768), GAS 점수(d=2.786) 모두 큰 효과를 보였다. 결론 : 감각통합기반의 가족중심코칭이 감각통합기반의 일반적인 상담보다 ASD 아동의 작업 수행도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의학적 치료를 받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 환아 63례에 대한 후향적 차트리뷰 (A Retrospective Study of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ren Treated by Korean Medicine)

  • 박소현;김예지;박슬기;이선행;이지홍;박용석;김재현;장규태;이진용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3-52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63 pati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who received Korean medicine treatment. Methods This study identified and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first visit record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ll of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and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at Gangdong in South Korea with ASD as their chief complaints. The herbal medicines that were prescribed according to the patient's symptoms were analyzed by separating them into categories. Results The data of 83 children with ASD were collected. Among them, the primary medical record charts of 63 patients were reviewed. Addi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56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Through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the patient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endency of the prescribed herbal medicine was identified. Conclus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hat proposes Korean medicine as a new alternative medical treatment. Our study is meaningful as it used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records of 63 patients with ASD in Korea who visited an Korean medicine hospital in the last 11 years to identify tendencies and analyzed the prescriptions of two or more Korean medicine pediatric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