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mortality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2초

소아에서 발생한 A군 연쇄구균에 의한 침습성 질환의 임상적 특성 분석 (Clinical Manifestations of Invasive Infections due to Streptococcus pyogenes in Children)

  • 양누리;이현승;최재홍;조은영;최은화;이환종;이현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2호
    • /
    • pp.129-138
    • /
    • 2014
  • 목적: A군 연쇄구균은 소아에서 인두염, 연조직염을 일으키며 드물게 침습성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균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아에서 A군 연쇄구균 침습성 감염증의 임상 양상 및 예후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3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및 2003년 3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분당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A군 연쇄구균 침습성 감염증으로 치료받은 18세 이하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대상환자들의 임상양상, 검사결과, 치료방법 및 예후와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A군 연쇄구균 침습성 감염증으로 진단 받은 총 36명의 환자 중 30명에 대해 의무기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자가 많았으며(남:여=2.75:1) 환자들의 중앙연령은 4년 2개월(생후 12일부터 15세까지)로 그 중 53.3%가 5세 미만이었다. 질환은 피부 및 연조직감염증(9/30, 30.0%), 국소 감염부위가 없는 균혈증(4/30, 13.3%) 그리고 관절염 및 골수염(6/30, 20.0%)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쇄구균 독소쇼크증후군(3/30, 10.0%), 호흡기, 복부 및 중추신경계 감염증도 확인되었다. 전체기간 중 2012년에 환자발생이 가장 많았으며(9/30, 30.0%), 사망한 사례는 없었다. Erythromycin 및 clindamycin에 대한 항생제 내성률은 각각 3.8% 및 7.5%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소아에서 A군 연쇄구균 침습성 감염증으로 입원치료 받은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로 5세 미만의 어린 연령층에서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난 20년 동안 한국 소아에서 발생한 A군 연쇄구균 침습성 감염증의 임상적 특성 및 예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임상에서 환자를 빠르게 인지하고 적절하게 치료하는데 본 연구결과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소아심장판막치환술 (Valve Replacement in Children)

  • 김재현;이광숙;윤경찬;유영선;박창권;최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41-346
    • /
    • 1999
  • 배경: 소아에서의 심장판막치환술은 성인에서의 심장판막치환술의 제반문제 이외에도 작은 판막의 혈류역학적 문제, 신체발육에 따른 재수술, 출산 및 항응고요법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심장판막치환술에 대하여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의 여러 문제점과 해결책을 규명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2년부터 1997년까지 15세 이하 소아 30명에서 심장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남아가 16명, 여아가 1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3세에서 15세로 평균 연령은 12.1$\pm$3.2세 였다. 판막 부위별로 보면 승모판치환술 15례, 대동맥판치환술 11례, 삼첨판치환술이 3례였으며, 승모판 및 대동맥판치환술이 1례 있었다. 판막질환의 원인을 보면 선천성이 17명, 후천성이 13명이었다. 이용한 판막으로는 조직판막 10례, 기계판막 20례였으며 1985년 이후로는 조직판막은 사용하지 않았다. 기계판막치환 환자에서는 술후 coumadin으로 항응고치료를 지속하였으며, 조직판막치환 환자에서는 술후 3개월간 coumadin을 복용하였다.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는 8명으로 엡스타인씨기형 교정술 2례, 심실중격결손증과 대동맥폐쇄부전의 교정술 2례가 있었으며, 그 외 대동맥판막하협착, 방실중격결손증, 대동맥판협착증 및 심실중격결손증 등의 교정술이 각각 1례씩 있었다. 판막치환시 동시에 시행한 술식으로는 삼첨판륜성형술 3례, 심실중격결손증 교정 2례, 동맥관개존증 결찰 2례, 대동맥판륜확장술 2례, 심실중격결손증과 동맥관개존증 교정 1례, 승모 풉낮첬括珝낵\ulcorner1례등이 있었다. 결과: 수술사망은 2례로 조기사망률은 6.7%였다. 수술생존자 28명중 4명은 장기추적관찰이 불가능하였으며, 총 2091환자.월(평균 74.7$\pm$68.4개월, 최장 187개월)동안 관찰하였다. 이 기간중 판막의 혈전, 혈전색전증 및 항응고치료에 따른 출혈등의 합병증은 없었으나, 조직판막을 이용한 10례중 8례에서 술후 평균 87.1$\pm$23.6개월에 판막기능부전으로 재수술하였으며(이중 2례는 타 병원에서 수술함), 기계판막을 치환한 1례에서 판막주위누출과 감염으로 술후 3개월째 재수술하였다. 재수술시 사망례는 없었다. 만기사망은 1례로 방실중격결손증 교정술후 잔존 승모판폐쇄부전으로 승모판치환술을 받은 7세환아로 판막치환술후 4개월에 확장성심근염으로 사망하였다. 조직판막의 경우 생명표분석에 의한 판막실패가 없는 장기누적률은 6년째 75.0%, 7년째 50.0%, 8년째 12.5%의 기록을 보여 술후 6년에서 8년에 걸쳐 격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사망 2례를 제외한 28명의 장기생존률을 Kaplan-Meiyer법에 의해 분석하였을때 4개월째 생존률이 96.0%로 그 이후로는 사망례가 없었다. 결론:이상의 결과로 보아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술후 적절한 추적관찰이 행해질 경우 항응고요법에 따른 합병증은 거의 없으나, 5세이하 소아나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한 경우는 위험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 선천성 심장병 개심술 후 발생한 조기 부정맥 (Early postoperative arrhythmias after open heart surgery of pediatric congenital heart disease)

  • 최희정;김여향;조준용;현명철;이상범;김규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4호
    • /
    • pp.532-537
    • /
    • 2010
  • 목 적 : 선천성 심장병의 개심술 직후에 발생하는 부정맥은 술 후 조기 사망의 주된 원인의 하나인데, 이는 심폐 우회술 및 심근보호법의 발달, 술 후 집중치료와 적절한 약물 치료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선천성 심장병의 개심술 후 조기에 발생한 부정맥의 빈도와 종류, 그 위험 인자들을 조사하여 보았다. 방 법: 2002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선천성 심장병으로 경북대학교병원에서 개심술을 시행받은 5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진단명, 수술방법, 수술 후 부정맥이 발생한 시기와 기간, 부정맥의 종류와 치료방법, 부정맥으로 동반된 합병증 및 사망률, 부정맥 발생 당시 혈액 전해질 수치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소아 개심술 후 조기 부정맥의 빈도는 7.3% (42/578 개심술)로 남아 23명, 여아 18명이었으며, 개심술을 시행 받은 나이는 평균 $8.7{\pm}19.8$개월, 몸무게는 평균 $5.8{\pm}4.0kg$이었다. 발생한 부정맥 종류는 방실 접합부 이소성 빈맥이 17례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속 심실고유 율동이 13례였으며, 또한 대혈관 전위에 대한 동맥 전환술에서 가장 많은 빈도의 부정맥을 보였다(36.4%). 대부분의 부정맥은 치료에 반응이 좋았다. 개심술 후 조기 부정맥의 위험 인자로는 수술 당시 작은 몸무게, 어린 나이, 긴 인공 심폐기 시간과 긴 대동맥 차단 시간이었다($P$<0.05). 부정맥이 발생한 환자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인공호흡기 사용시간과 집중치료실 입원기간이 의미있게 길었으나($P$<0.05), 사망률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선천성 심장병의 개심술 후 발생하는 조기 부정맥은 주의깊은 감시와 적극적인 치료로 치명적인 결과를 줄일 수 있다. 최근 개심술의 나이가 낮아짐에 따라 술 후 조기 부정맥에 대한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olymorphisms of XRCC1 and ADPRT Genes and Risk of Noncardia Gastric Cancer in a Chinese Population: a Case-control Study

  • Pan, Xiong-Fei;Xie, Yao;Loh, Marie;Yang, Shu-Juan;Wen, Yuan-Yuan;Tian, Zhi;Huang, He;Lan, Hui;Chen, Feng;Soong, Richie;Yang, Chun-Xi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637-5642
    • /
    • 2012
  • Objective: Gastric cancer (GC)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cies and its mortality ranks third among all cancers in China. We previously noted that XRCC1 Arg194Trp was associated with GC risk in Western China in a study on XRCC1 Arg194Trp and ADPRT Val762Ala. We aimed to further explore the association of these polymorphisms with risk of the noncardia subtype. Methods: We enrolled 176 noncardia GC patients and 308 controls from four hospitals and a community between October 2010 and August 2011. Genotyping was performed in a 384-well plate format on the Sequenom MassARRAY platform. A self-designed questionnaire was utilized to collect epidemiological data from the subjects regarding demographic factors and potential risk factors. Results: Subjects were aged $56.8{\pm}11.8$ (mean ${\pm}$ standard deviation) and $57.6{\pm}11.1$ years in the case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Individuals carrying the XRCC1 Trp/Trp or Arg/Trp variant genotype were at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noncardia GC (adjusted OR, 1.48; 95% CI, 1.00-2.17), after adjustment for family history of cancer, drinking, and smoking. The increased risk of XRCC1 Arg194Trp variant genotype was more pronounced among subjects below 60 years old (adjusted OR, 1.78; 95% CI, 1.07-2.96), compared to older individuals. ADPRT Val762Ala variants (Ala/Ala or Val/Ala) were not associated with noncardia GC (adjusted OR, 1.03; 95% CI, 0.69-1.54). Conclusions: Our study suggests that XRCC1 Arg194Trp is a genetic susceptibility factor for developing noncardia GC in Han Chinese in Western China. In particular, individuals with the XRCC1 Arg194Trp variant genotype are at increased risk for GC below 60 years old.

A Consensus Plan for Action to Improve Access to Cancer Care in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Region

  • Woodward, Mar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9호
    • /
    • pp.8521-8526
    • /
    • 2014
  • In many countries of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cancer is an increasing problem due to ageing and a transition to Western lifestyles. Governments have been slow to react to the health consequences of these socioeconomic changes, leading to the risk of a cancer epidemic overwhelming the region. A major limitation to motivating change is the paucity of high-quality data on cancer, and its socioeconomic repercussions, in ASEAN. Two initiatives have been launched to address these issues. First, a study of over 9000 new cancer patients in ASEAN - the ACTION study - which records information on financial difficulties, as well as clinical outcomes, subsequent to the diagnosis. Second, a series of roundtable meetings of key stakeholders and experts, with the broad aim of producing advice for governments in ASEAN to take appropriate account of issues relating to cancer, as well as to generate knowledge and interest through engagement with the media. An important product of these roundtables has been the Jakarta Call to Action on Cancer Control. The growth and ageing of populations is a global challenge for cancer services. In the less developed parts of Asia, and elsewhere, these problems are compounded by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to Western lifestyles and lack of awareness of cancer at the government level. For many years, health services in less developed countries have concentrated on infectious diseases and mother-and-child health; despite a recent wake-up call (United Nations, 2010), these health services have so far failed to allow for the huge increase in cancer cases to come. It has been estimated that, in Asia, the number of new cancer cases per year will grow from 6.1 million in 2008 to 10.6 million in 2030 (Sankaranarayanan et al., 2014). In the countries of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corresponding figures are 770 thousand in 2012 (Figure 1), rising to 1.3 million in 2030 (Ferlay et al., 2012). ASEAN consists of Brunei Darussalam, Cambodia, Indonesia, Lao, Malaysia, Myanmar, the Philippines, Singapore, Thailand and Viet Nam. It, thus, includes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where the double whammy of infectious and chronic diseases will pose an enormous challenge in allocating limited resources to competing health issues. Cancer statistics, even at the sub-national level, only tell part of the story. Many individuals who contract cancer in poor countries have no medical insurance and no, or limited, expectation of public assistance. Whilst any person who has a family member with cancer can expect to bear some consequential burden of care or expense, in a poor family in a poor environment the burden will surely be greater. This additional burden from cancer is rarely considered, and even more rarely quantified, even in developed nations.

폐동맥 고혈압 환자의 치과치료에서 세보플루란 흡입 진정의 사용 : 증례보고 (Sevoflurane Insufflation Sedation for the Dental Treatment of a Patient with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 A Case Report)

  • 지성인;김승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5-79
    • /
    • 2015
  • 폐동맥 고혈압은 좌우단락을 가진 선천성 심장질환의 흔한 합병증으로 폐동맥 고혈압 환자에서 높아진 폐혈관 저항은 생명에 위협을 초래한다. 전신마취시의 양압환기는 폐동맥압을 높이고, 폐혈류량은 감소시키므로 저산소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폐동맥 고혈압 환자에게서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폐동맥 고혈압 환자에서는 양압환기보다는 자발호흡이 보다 안전할 것으로 생각된다. 만 5세 남환이 심한 저체중으로 본원으로 의뢰되었으며, 내원 당시 환아의 몸무게는 11 kg이었고, 209년 팔로사징후로 완전 교정 수술을 받은 의과적 병력이 있었으며, 2007년부터 현재까지 고혈압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하였다. 환아는 다발성 우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치료는 경비캐눌라를 사용한 세보플루란 흡입 진정 하에 진행하엿다. 치료 내내 환아는 정상적인 생징후와 자발호흡을 유지하였으며, 이후에도 폐동맥 고혈압과 연관된 다른 합병증은 보이지 않았다. 폐동맥 고혈압 환자에서의 세보플루란 흡입 진정의 안전한 사용 증례를 통해서, 세보플루란 흡입 진정이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서 전신마취의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중증 외상환자에서 mesh를 이용한 일시적 수술창 봉합의 경험 (Temporary Abdominal Coverage with Malex Mesh Prosthesis in Cases of Severely Injured Abdominal Trauma Patients)

  • 김연우;정용식;김욱환;민영기;김기운;이국종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8권1호
    • /
    • pp.70-79
    • /
    • 2005
  • Background: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has multiple etiologies that are not only related to trauma but also any problem condition in the absence of abdominal injury. To determine whether prevention of the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after celiotomy for trauma victims justifies the use of temporary abdominal coverage with monofilament knitted polypropylene mesh (Malex mesh) in severely injured patients. Method: Medical records at the Ajou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reviewed for a 32-month period from May 1st, 2002 to December 31st, 2004. Twenty-nine consecutive patients requiring celiotomy who were survived until at the end of celiotomy received temporary abdominal coverage and staged abdominal repairs with Malex mesh. One of them was dissecting aortic aneurysm patient and the others were all trauma victims. Malex mesh prosthesis coverage was used in cases of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due to excessive fascial tension, severe bowel edema and retroperitoneal hemorrhage or edema followed by staged abdominal repairs. Result: Eighteen of twenty-nine patients were surviv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jury severity number of abdominal-pelvic bone injuries, mortality rate, complications, number of operations for permanent closure, required time for permanent closur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man and women or child and adult. Except one dissecting aortic aneurysm patient, trauma cases showed $3.24{\pm}0.98$ injury sites. All cases that received temporary abdominal coverage and staged abdominal repairs did not show abdominal compartment syndrome. $10.08{\pm}5.85$ days and $2.27{\pm}0.82$ times of operation required making permanent abdominal closure after temporary abdominal coverage followed by staged abdominal repairs. Most of surviving patients have shown antibiotic-resistant organism and fungus infection. Patients who received permanent closure recovered from infectious problem completely. Conclusion: The use of Malex mesh for temporary abdominal coverage in severely injured patients undergoing celiotomy was effective treatment method.

Effects of total body irradiation-based conditioning on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pediatric acute leukemia: a single-institution study

  • Park, Jongmoo;Choi, Eun Kyung;Kim, Jong Hoon;Lee, Sang-Wook;Song, Si Yeol;Yoon, Sang Min;Kim, Young Seok;Kim, Su Ssan;Park, Jin-Hong;Park, Jaehyeon;Ahn, Seung Do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198-207
    • /
    • 2014
  •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total body irradiation (TBI), as a conditioning regimen prior to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llo-SCT), in pediatric acute leukemia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11, 28 patients, aged less than 18 years, were treated with TBI-based conditioning for allo-SCT in our institution. Of the 28 patients, 21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75%) and 7 were diagnosed with acute myeloid leukemia (AML, 25%). TBI was completed 4 days or 1 day before stem cell infusion. Patients underwent radiation therapy with bilateral parallel opposing fields and 6-MV X-rays. The Kaplan-Meier method was used to calculate survival outcomes. Results: The 2-year event-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rates were 66% and 56%, respectively (71.4% and 60.0% in AML patients vs. 64.3% and 52.4% in ALL patients, respectively). Treatment related mortality rate were 25%. Acute and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was a major complication; other complications included endocrine dysfunction and pulmonary complications. Common complications from TBI were nausea (89%) and cataracts (7.1%). Conclusion: The efficacy and toxicity data in this study of TBI-based conditioning to pediatric acute leukemia patients were comparable with previous studies. However, clinicians need to focus on the acute and chronic complications related to allo-SCT.

중국 조선족의 저출산력 - 한족과의 비교 (Low Fertility of Koreans in China: A Comparison to Hans)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19권1호
    • /
    • pp.45-72
    • /
    • 1996
  • 이 논문은 중국내 조선족의 출산력 수준을 한족과 비교하고, 이에 관련되는 주요 결정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조선족이 19세기 중엽부터 중국의 동북지방으로 이주하게 된 역사와 배경을 기술하고, 지난 반세기 동안 조선족인구의 성장과정과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족의 출산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1990년 중국인구센서스의 자료 중에서 길림성과 연변 조선족자치주의 표본자료를 활용하였다. 중국내 조선족인구는 다른 민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령화된 연령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교육수준이 뚜렷하게 높다는 특징을 지닌다. 출산력 수준은 한족이나 다른 소수민보다 현저하게 낮은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경향은 조선족이 밀집되어 거주하는 지역일수록 강하게 나타난다. 조선족의 저출산력은 개인이나 가구의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력을 배제하더라도 그대로 유의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난 1980년대 후반 이래 중국에서 남아선호관으로 인하여 출생시의 성비가 높아지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족의 경우에는 출생시의 성비불균형현상이 그다지 심각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한족이나 다른 민족보다 오히려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조선족의 자녀사망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 PDF

Outcome of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second complete remission: a single institution study

  • Lee, Eun-Jung;Han, Ji-Yoon;Lee, Jae-Wook;Jang, Pil-Sang;Chung, Nack-Gyun;Jeong, Dae-Chul;Cho, Bin;Kim, Hack-K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3호
    • /
    • pp.100-106
    • /
    • 2012
  • Purpose: The survival rate for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has improved significantly. However, overall prognosis for the 20 to 25% of patients who relapse is poor, and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offers the best chance for cur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significant prognostic variables by analyzing the outcomes of allogeneic HSCT in ALL patients in second complete remission (CR). Methods: Fifty-three ALL patients (42 men, 79%) who received HSCT in second CR from August 1991 to February 2009 were included (26 sibling donor HSCTs, 49%; 42 bone marrow transplantations, 79%). Study endpoints included cumulative incidence of acute and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relapse, 1-year transplant-related mortality (TRM),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Results: Cumulative incidences of acute GVHD (grade 2 or above) and chronic GVHD were 45.3% and 28.5%, respectively. The estimated 5-year DFS and OS for the cohort was $45.2{\pm}6.8%$ and $48.3{\pm}7%$, respectively. Only donor type, i.e., sibling versus unrelate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FS in multivariate analysis ($p$=0.010). The rates of relapse and 1 year TRM were $28.9{\pm}6.4%$ and $26.4{\pm}6.1%$, respectively, and unrelated donor HSCT ($p$=0.002) and HLA mismatch ($p$=0.022)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creased TRM in univariate analysis. Conclusion: In this single institution study spanning more than 17 years, sibling donor HSCT was the only factor predicting a favorable result in multivariate analysis, possibly due to increased TRM resulting from unrelated donor HS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