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gger mite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18초

강화도와 영종도의 털진드기 계절 분포 (Seasonal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in the Kanghwa Island and Yongiong Island)

  • 이인용;윤상선;이한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41-346
    • /
    • 1993
  • 1992년 10월부터 1993년 8월에 걸쳐 경기도 강화도와 인천직할시 영종도 2개 섬에서 털진드기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포획한 42마리의 들쥐로부터 1,290개체의 털진드기를 채집하여 4속 8종을 동정하였다. 강화도에서는 전 계절을 통하여 Leptotrombidium pallidum이 93.0%를 차지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영종도에서는 L. palpale가 38.4%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고, L. pallidum은 한 마리도 채집되지 않았다.

  • PDF

한반도 중남부 내륙지방에서의 쭈쭈가무시병 혈청형과 매개종의 지리적 분포상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vectors and sero-strains of tsutsugamushi disease at mid-south inland of Korea)

  • 이한일;이인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3호
    • /
    • pp.171-180
    • /
    • 1997
  • 쭈쭈가무시병을 매개하는 털진드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의 중부지방과 전 북. 전남 및 경남 등 남부지방에서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저자들은 지금까지 전혀 연구된 바 없는 중남부 내륙지t:1 12개 지역에서 들쥐와 털진드기를 채집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채집된 총 177개체의 들쥐 중 등줄쥐(Aponemwosrulif)가 154(87.0%)였다. 들쥐에 기생 고 있던 털진드기 25.707개체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14종이 확인되었는데 대잎털진드기 (Leptotrombidium pallidum)가 79.8%로 우점종이었고. 다음이 수염털진드기(1.pohole)로 8.9% 였다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대잎털진드기가 12개 조사지역 중 11개 지역에서 우점종이었고 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인 상주시 초오 2동의 chigger index는 201.8이었고 가장 낮은 지역인 충주시 단월동은 40.7이었다 또 활순털진드기(L. scueuaye)의 경우 김천시 운수리에서만 chigger index 61.6으로 높은 개체군 밀토를 보였고 금릉군 여배리와 미평리에서는 각각 1.4와 1.2였으며 기타 지역에서는 극소수 채집되었거나 전혀 채집되지 않았다 활순털진드기 서식 북방 한계선은 전북 익산군 - 충남 공주군 - 경북 김천시 - 경북 경주시 - 경북 영덕군으로 연평균기온이 $10.0^{\circ}C$ 이상인 지역과 일치하였다. 등줄쥐 157개체의 혈청을 간접형광항체법으로 검사한 결과 60 개체가 양성으로 항체양성률 38.2%였고 가장 높은 지역은 금릉군 여배리로 85.7%였고 가장 낮은 지역은 문경시 고요리의 7. l%였으며 김천시 운수리에서는 양성률 0으로 나타났다 혈청형은 Karp 48.3% william 1.7% 및 Kuroki 3.3%였으며. 나머지 46.7%(28개체)는 2개 혈청형 이상이 같 은 항체가를 보여 혈청형을 확인할 수 없었다.

  • PDF

전라남도에서 쯔쯔가무시병 매개체인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관한 조사 (Population density of chigger mites, the vector of tsutsugamushi disease in Chollanam-do, Korea)

  • 송현제;김개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27-34
    • /
    • 1996
  • 쯔쯔가무시병 환자가 집중 발생하는 10월부터 12월에 걸쳐 전라남도 6개 지역에서 들쥐와 들쥐에 기생하는 털진드기의 지리적 분포상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hemla식 wooden trap 814개를 사용하여 총 142마리의 들쉬를 포획하였는데 등줄쥐(Aponemr agrarius)가 131마리(92.3%)를 차지하여 절대 우점종이었고, 땃쥐(Crocidurarnwa)가 11마리로 7.7%였다 털진드기의 기생률은 들쥐 142마리 중 92마리에 털진드기가 기생하고 있어 69.0%이었고 총 10.532따리의 털진드기가 채집되어 74.2개체의 chi껄erindeu를 보였다. 이 중 등줄쥐는 73.3%의 기생률과 80.깊개체의 chiggor index를 땃쥐는 18.2%의 기생률과 05개체의 chiggor index를 보였다. 총 10.532개체 채집된 털찐드기는 4속 11종으로 동정되었는데 쯔쯔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eptotrombidium pallidum과 L. scutellgre가 각각 8.038개체(76.3%)와 1.359개체 (12.9%)가 채집되어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대한 지리적 분포상이 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여 각 조사지역마다 우점종이 다르게 나타났다. 장흥군 장흥읍과 보성군 복내면에서는 L. sueuwe가 8.9개체(100%)와 13.7개체(41.5%)로 절대 우점종이었고, 화순군 능주면과 곡성군 삼기면은 L. pallidum이 각각 191.9개페(88.8%). 46.0개페(59.2%)로 우점종이 었으며 함평군 월야면은 L. zetum이 5.1개체(77.3%) 담양군 담양읍은 L. pdpole가 2.6개체 (63.4%)로 우점종이었다. 지역별 털진드기의 밀도 비교에서 화순군 능주면이 216.2개체(62.4%) 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곡성군 삼기면의 77.7개체(22.4%)로 많았다.

  • PDF

Relative Abundance of Vectors of Scrub Typhus in Jeonnam Province, Korea

  • 송현제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7-370
    • /
    • 2011
  • Studies on the relative abundance of potential vectors of scrub typhus was conducted from April to October 2009 at the Jangseong of Jeonnam Province, Korea. Among the total 62 field rodents collected by the Sherman collapsible traps, 56 rodents were $Apodemus$ $agrarius$ (90.3%), 4 were $Crocidura$ $lasiura$ (6.4%) and 2 were $Cricetulus$ $triton$ $nester$ (3.2%). Out of the 62 field rodents, 39 were parasitized by chiggers, showing 62.9% of the infestation rate and 80.0 of the chigger index. Chigger index of $A.$ $agrarius$ and $C.$ $triton$ $nester$ were 79.9, 82.0, respectively. But chigger mite was not collected from $C.$ $lasiura$. From the trapped field rodents, 3,120 chigger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with 6 species of 2 genera. $Leptotrombidium$ $scutellare$, the vector species of tsutsugamushi disease, was the dominant species, showing 2,276 chiggers (72.9%). $L.$ $pallidum$ was the second dominant species showing 346 chiggers (11.0%). The distribution of chigger mites was showed the different dominant species according to seasons. $L.$ $pallidum$ was the predominant chigger collected in April (34.8%), May (77.8%) and Jun (39.3%), whereas $L.$ $scutellare$ was the predominant chigger collected in September (78.78%) and October (76.8%).

한국의 털진드기상 및 검색표 (진드기 목 : 털진드기 과 와 Leeuwenhoekiidae) (Fauna and Key to the Chigger Mites of Korea (Acarina ; Trombiculidae and Leeuwenhoekiidae))

  • 이한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6권1호
    • /
    • pp.57-70
    • /
    • 1990
  • 한국산 털진드기 종을 다룬 모든 문헌을 조사 정리한 결과 총 43종이 보고되었는데, 그중 Salchia brennani ventralis 는 오동정한 것으로 W. comataxila 이었고 Shunsennia gracilis 는 S. hertigi 의 동종이명일 가능성이있으나 문헌상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Leptotromibidium intermedium 의 경우 문헌상의 근거가 전혀 없어 국내 서식종으로 인정할 수 없었다. 필자가 직접 표본을 조사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종은 모두 17 종이었는데 그 가운데 Leptotromibidium akamushi 는 L.zutum 의 , L.miyajimai 는 L.orientale 의 오동정이었다. 결국 한국산 털진드기류는 모두 2과 , 12속, 39종이 된다. 이 중 2 종은 조류에 , 7종은 박쥐에, 그리고 29종은 설치류에 각각 기생하는 종이고 1종은 조류와 포유류에 공동기생하는 종이다. 현재 한국산 털진드기를 동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검색표로는 29종을 아룬 Southwick (1968) 의것이 있을 뿐이고, 우리나라와 동물상이 유사하나 일본 종에 대한 검색표도 우리나라 토착종 21종이 들어 있지 않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기존 검색표는 다리의 강모식(leg setal formula) 이나 촉수의 강모식( palpal setal formula)등 관찰하기 어려운 형질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서 동정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필자는 현재까지 한국 종으로 정리된 총 39종에 대한 검색표를 만들었는데, 관찰이 용이하면서도 변이가 적은 형질을 최대한 사용하였고 특히 종 특징을 잘 나타내는 배판(scutum)의 형질을 주로 사용하였다. 실용성이 보다 큰 도식형 검색표( pictorial key)도 함께 만들었는데 원저자들의 도표에서 배판(scutum)을 그대로 전사하여 종 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였다.

  • PDF

강화 교동면 주민과 들쥐의 쯔쯔가무시병 및 발진열에 대한 혈청역학 조사 (A Seroepidemiological survey of scrub typhus and murine typhus among residents and rodents in Kyodongmyeon, Kanghwagun)

  • 최은정;허명제;오보영;박진수;이미연;이제만;고종명;김용희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3-214
    • /
    • 2003
  • Scrub typhus and murine typhus are common endemic febrile illness in the fall in Korea. Scrub typhus is caused by Orientia tsutsugomushi, murine typhus is caused by Rickettsia typhi. Trombiculid mites are known as both the vector and the reservoir host of O tsutsugamushi, the mites which transmit O tsutsugomushi have been reported to be Leptotrombidium pallidum and L scutellare. The author carried out an epidemiological study of scrub typhus and murine typhus in Kyodong-Myeon, Kanghwa-Gun, Incheon in relation to the residents and the host rodents, such as their distribution, seroepidemiology, and population density of chigger mites. 1. Out of 900 residents, 33(3.7%) showed positive reaction to O tsutsugamushi, 24(2.7%) to R typhi. 2. In the seropositives to O tsutsugamushi or R typhi, between the sixties and the seventies of the age were dominant. 3. In the seropositives to O tsutsugamushi serotypically Gilliam was dominant. 4. Among the total 42 field rodents trapped by the sherman traps, 18 rodents were Apodemus agrarius(42.9%), 13 rodents were Crocidura lasiura(31.0%), 5 rodents were Musmusculus(11.9%), 2 rodents(4.8%) were Crocidura suaveolens, Rattus norvegicus, Tscherskia triton, respectively. 5. Out of 42 field rodents, 25 were parasitized by 4,419 chigger mites, showing 59.5% of the infestation rate and 98.8 of the chigger index. L pallidum parasitized in A agrarius, C lasiura, M musculus, R norvegicus and T triton, and L scutellare parasitized only C lasiura. 6. Antibodies in the sera of field rodents against O tsutsugamushi and R typhi were investigated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antibody technique. Positive rate of antibody against O tsutsugamushi were 11.9(5 of 42) and all of the positive is A agrarius. Antibody against R typhi was not detected. These results might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management of scrub typhus and murine typhus in Kyodong-myeon, where the epidemiological studies on scrub typhus and murine typhus was not carried out enough.

쭈쭈가부시병의 매개체로 알려진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에 관한 조사 (Study on the Population Density of Chigger Mites, the Vector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 이한일;이명철;이인용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57-264
    • /
    • 1991
  • 과거의 국내 털진드기에 관한 연구는 종 동정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근래에 와서 지역적 분포상을 조사한 몇개의 보고 예가 있을 뿐, 털진드기의 계절적 소장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것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1989년 7월부터 1990년 10월에 걸쳐 털진드기 개체군에 대한 지역적 분포상과 계절적 소장에 관한 조사를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eptotrombidium pallidum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Sherman식 live trap을 사용하여 포힉한 총 111마리의 들쥐로부터 4,498 개체의 털진드기를 채집하여 4속 12종을 동종하였는데, 쭈쭈가무시병의 매개종인 L. paflidum이 2,951 개체로 전체의 65.6%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다. 일본에서 매개종으로 알려진L. scutellare는 1개체만 채집되었다. 털진드기의 개체군 밀도의 지리적 분포상이 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여 각 조사 지역마다 우점종이 다르게 나타났다. 9개 조사지역 가운데 L. paflidum 개체군 밀도가 특히 높은 지역은 경기도 고양군 도래 5리와 경기도 부천시 부곡동의 2개 지역이었고, 다른 3개 지역에서는 타 종에 비해 극히 낮은 밀도를 보였다. 매개종 L. paflidum 개체군의 계절적 소장을 보면 9월(9.8%)에 출현하기 시작하여 10월(45.4%)과 11월(30.6%)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고, 그 후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가 4월(12.7%)에 일시적 증가를 보인 후 9월까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L. palpale는 겨울과 봄에만 주로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Relative Abundance of Vectors of Scrub Typhus in the Republic of Korea

  • Lee, In-Yong;Kim, Heung-Chul;Lee, Young-Sun;Seo, Jang-Hoon;Lim, Jae-Won;Yong, Tae-Soon;Klein, Terry A.;Lee, Won-J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7권4호
    • /
    • pp.381-386
    • /
    • 2009
  • A survey to determin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relative abundance of potential vectors of scrub typhus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6 at 13 localities throughout the Republic of Korea. Apodemus agrarius accounted for 97.6% (80/82) of all rodents, while only 2 Myodes regulus (2/82) were collected. A total of 10,860 chiggers were collected from A. agrarius belonging to 4 genera and 8 species, while only Walehia fragilis (40) was collected from Myodes regulus. Leptotrombidium pallidum (8,137; 74.9%), a vector of scrub typhus, was the predominant species collected from A. agrarius followed by Leptotrombidium scutellare (2,057, 18.9%), Leptotrombidium palpale (279; 2.7%), Leptotrombidium orientale (232; 2.1%), and Leptotrombidium zetum (79; 0.7%), Neotrombicula tamiyai (58; 0.5%), Euschoengastica koreaensis (16; 0.1%), and Cheladonta ikaoensis (2; < 0.1 %). L. pallidum was the predominant chigger collected at collection sites in Gangwon (100%), Gyeonggi (87.2%), Chungnam (100%), Chungbuk (100%), Jeonbuk (73.9%), Jeonnam (77.0%), and Gyeongbuk (66.1%) provinces, whereas L. scutellare was the predominant chigger collected in Gyeongnam province (77.9%) and Jeju Island (62.3%). Data suggest a correlation between chigger population abundance and human cases of scrub typhus in Korea.

예당지 주변의 털진드기류 군집 조사 (Studies on Community and Seasonal Occurrence of chigger Mites around Yedang lake)

  • 강병찬;김명해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1호
    • /
    • pp.97-103
    • /
    • 1998
  • Yedang lake has so plentiful pondage and many species of fresh-walter-fish that a large number of people crowd around there all the year round. Most of them are not used to prevent tsutsugamushi disease spreading by chigger(T-mite). According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btain basic materials for prevention of this disease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number of wild rat that captured in surveyed areas was sixty five(apodemus agrarius: 63, Rattus norvegicus: 2) during the period of a year and ration of captured rats to trap was about 8%. The dominant species of T-mite in all the surveyed areas were Leptotrombidium pallidum and L. palpale and the total number collected was 5782.9 with one family, two genra, eight species. The density of T-mites that collected from rats in three areas(Nodongri, Hatanbangri, Kyochonri) appeared $743.3{\pm}80.4,\;847.2{\pm}86.2\;and\;869.6{\pm}86.4,\;and\;in\;soil\;149.5{\pm}13.9,;154.7{\pm}14.7\;and\;182.4{\pm}20.8$ respectively. On the whole, the number of T-mite that collected from the rats was about three times as much as it in soil. The comparison of individual number of T-mite per a rat collected in three surveyed sites(A,B and C) showed 126.7, 243.1, 258.6 and per $2,000cm^3$ of soil 12.7, 12.7, 54.6, 103.5 respectively. In other word, the number of T-mite at site A and B is smaller than that at area C, thus comparing habitats of three sites each other, C is better living environment of rat and mite than that of A or B. Seasonl occuarance of t-mite that is from rat gradually was increased toward winter and showed the peak to January, and decreased since March but it in soil was inverse proportion to it from rats, because the larvae of T-mite that was hatched in soil was transmited to host in order to suck the body fluid.

  • PDF

Disease vector occurrenc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ggers on the chestnut white-bellied rat Niviventer fulvescens in Southwest China between 2001 and 2019

  • Yan-Ling Chen;Xian-Guo Guo;Wen-Yu Song;Tian-Guang Ren;Lei Zhang;Rong Fan;Cheng-Fu Zhao;Zhi-Wei Zhang;Wen-Ge Dong;Xiao-Bin Huang;Dao-Chao J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1권3호
    • /
    • pp.272-281
    • /
    • 2023
  • Chigger mites are the vector of scrub typhus. This study estimates the infestation statu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ggers on the chestnut white-bellied rat Niviventer fulvescens in Southwest China between 2001 and 2019. Chiggers were identified under the microscope, and infestation indices were calculated. The Preston's log-normal model was used to fit the curve of species abundance distribution. A total of 6,557 chiggers were collected in 136 of 342 N. fulvescens rats, showing high overall infestation indices (prevalence=39.8%, mean abundance=19.2, mean intensity=48.2) and high species diversity (S=100, H'=3.0). Leptotrombidium cangjiangense, Neotrombicula japonica, and Ascoschoengastia sifanga were the three dominant chigger species (constituent ratio=42.9%; 2,736/6,384) and exhibited an aggregated distribution among different rat individuals. We identified 100 chigger species, with 3 of them (Leptotrombidium scutellare, Leptotrombidium wenense, and Leptotrombidium deliense) as the main vectors of scrub typhus in China and nine species as potential vectors of this disease. Disease vector occurrence on N. fulvescens may increase the risk of spreading scrub typhus from rats to humans. Chigger infestation on N. fulvescens varied significantly in different environments. The species abundance distribution showed a log-normal distribution pattern. The estimated number of chigger species on N. fulvescens was 126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