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 Acceptance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24초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관계에서 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Resistance and Job Stress between Acceptance and Flourishing in Organizational Change)

  • 이현주;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3호
    • /
    • pp.89-108
    • /
    • 2021
  • 본 연구는 조직의 변화과정 이후 개인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변화수용성, 직무스트레스, 번영에 미치는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변화수용성은 번영감에 정(+)의 영향을,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조직변화저항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번영에 부(-)의 영향을, 직무스트레스는 번영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에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및 변화수용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에 조직변화저항의 완전매개효과를, 조직변화저항과 번영 간 및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에 직무스트레스의 부분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변화수용성과 번영 간 조직변화저항과 직무스트레스는 이중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연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직무특성이 조직신뢰, 조직변화 수용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Trust,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이규용;송정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5-5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trust,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t sample of 241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Ulsan city and Gyeongju city. All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with SPSS 18.0 and AMOS 18.0. This study reports findings as followed: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organizational trust is positively related. 2.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trust and the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is positively related. 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trust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6.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the organizational trust and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조직변화 수용성의 선행변인 및 결과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 양필석;김해룡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247-260
    • /
    • 2022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직변화 수용성의 영향요인과 결과 요인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혁신지원적 조직문화, 분권화된 조직, 조직변화 수용성, 혁신행동, 정서적 변화몰입 간의 관계를 검토하고 그 관계에 있어서 조직변화 수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H자동차 261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혁신지원적 조직문화는 조직변화 수용성 및 정서적 변화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분권화된 조직은 조직변화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분권화된 조직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조직변화 수용성은 정서적 몰입 및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조직변화 수용성은 혁신지원적 조직문화와 정서적 변화몰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변화 수용성은 분권화된 조직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혁신지원적 조직문화와 분권화된 조직은 조직변화 수용성을 통해 정서적 변화몰입과 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방향이 제안되었다.

조직 내 4차 산업혁명의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The Technology Application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ganization)

  • 정병호;주형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95-11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organizational change for a technological applic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utilized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voluntary acceptance. This research method used structural equations, cluste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organizational implement system, organiz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operating system provided a positive effect on the voluntary technology acceptance of organization members. The voluntary technology acceptance provide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task innovation. However,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zation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did not affect voluntary acceptance.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the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z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eanwhile, The three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were classified as new technology apathy, preference, and anxiety groups, and differences appeared among groups in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hange variables. The organizational implement system in the technology apathy group and the organizational operating system in the technology anxiety group have a positive effect on voluntary technology acceptance. The technology preference group shows that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leadership and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institutionalization for voluntary technology acceptance. This study analyzed the technology applic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theory of organizational change. There has been reexamined the organizational change theory based on the new technology acceptance by the change of external environmen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innovation. As a practical implication, firms that are interested in a new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prioritize preparing an implementation system when designing organizational changes.

가사노동 사회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ffect Variables of Decision Making in Attitude for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 이수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9-226
    • /
    • 1991
  •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the measurement of the attitude for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by analysis of the attitude for socialization of houselhold work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the degree of acceptance for living change. This study was composed of the attitude for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was based on time, quality, cost fa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ttitude for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was influenced by sex, age, marriage, sex $\times$ marriage and the degree of acceptance for living change. 2. The variables which affected the attitude for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independently had influence on it in the following order : the degree of acceptance for living change, sex, house type. 3. The result of path analysis had confirmed that sex, age, income marriage, house type variable indirectly influenced the attitude for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through the degree of acceptance for living change. Sex, and marriage variable directly influenced on the attitude for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Through the this study. The attitude for socialization of houselhold work was influnced by the degree of acceptance for living change. Change of household work is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and right attitude to the socialization fof household work is necessary for satisfaction of variouse needs. for saving of time and money through the socialization of household work.

  • PDF

조직구조 개편 시 변화관리활동 지각이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변화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Change Management Activities on Members' Emotional-Organizational Commitment During the Military Restructuring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ange Acceptance -)

  • 서정완;백승령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4호
    • /
    • pp.159-18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조직구조 개편 시 부대의 변화관리활동(인사공정성, 변혁적 리더십) 노력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이 구성원들의 정서적 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들 관계에서 구성원의 변화수용의 정도에 따른 매개효과를 연구하는데 있다. 현재 군은 급변하는 안보상황과 병역자원의 감소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군 구조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조직이 구조조정을 겪을 때 변화관리활동을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면 구성원의 저항에 부딪히고 자칫 성공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성원의 인사공정성 및 변혁적 리더십 지각이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인 직접효과를 가설화 하였다. 또한 인사공정성 지각과 정서적 조직몰입 사이에서 변화수용의 매개효과와 마찬가지로 변혁적 리더십 지각과 정서적 조직몰입 사이에서 변화수용의 매개효과를 위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은 군 구조개혁의 변화를 경험한 부대의 간부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유효 설문응답자는 219명이었다. 분석 결과, 인사공정성과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구성원의 변화수용이 이들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함을 밝혔다. 이론적 시사점으로 변화수용의 매개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의 확대를 가져왔고, 실무적으로는 군 구조개편을 위한 변화관리활동 중 인사공정성과 변혁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식별하였으며 구성원들의 변화수용 향상을 위한 노력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변화대응 및 업무적응에 대한 긍정적 자기관과 모험 수용성의 영향 (Effects of Change Agent\`s Positive Self Image and Risk Tolerance on Change Acceptance and Work Adaptation)

  • 이주일;이경옥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조사연구의 방법론적 쟁점
    • /
    • pp.59-87
    • /
    • 2000
  • 기업체에서 변화 활동을 담당하는 변화 담당자 30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기관, 모험 수용성과 같은 성격특성이 조직이 추진하는 변화활동 및 담당업무에 대한 적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긍정적인 자기관과 모험 수용성이 높은 사람들은 조직이 추진하고 있는 변화 활동관련 업무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었으며, 담당하는 변화관련 업무에 대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화대응성은 긍정적인 자기관 및 모험 수용성과 업무에 대한 적응간을 매개하는 변수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자기관과 모험 수용성을 보유하는 것이 필요하며, 조직에서 변화 담당자를 선발하고 이들을 교육할 때 이들의 자기관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주고, 모험 수용성을 높여주는 것(또는 이런 성향이 높은 사람을 선발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또한 변화담당자들이 자신들이 담당하는 업무에 쉽게 적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변화대응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변화대응 및 업무적응에 대한 긍정적 자기관과 모험 수용성의 영향 (Effects of Change Agent's Positive Self Image and Risk Tolerance on Change Acceptance and Work Adaptation)

  • 이주일;이경옥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권2호
    • /
    • pp.59-87
    • /
    • 2000
  • 기업체에서 변화 활동을 담당하는 변화 담당자 30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기관, 모험 수용성고 같은 성격특성이 조직이 추진하는 변화활동 및 담당업무에 대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긍정적인 자기관과 모험 수용성이 높은 사람들은 조직이 추진하고 있는 변화활동관련 업무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었으며, 담당하는 변화관련 업무에 대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화대응성은 긍정적인 자기관 및 모험 수영성과 업무에 대한 적응간을 매개하는 변수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변화담당자가 조직에서 추진하는 변화관련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자기관과 모험 수용성을 보유하는 것이 필요하며, 조직에서 변화 담당자를 선발하고 이들을 교육할 때 이들의 자기관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주고, 모험 수용성을 높여주는 것(또는 이런 성향이 높은 사람을 선발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또한 변화담당자들이 자신들이 담당하는 업무에 쉽게 적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변화대응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간호업무개선에 대한 간호사의 변화수용도 (Nurse호s Adoption on a Planned Organizational Change)

  • 이태화;김조자;박정숙;김소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64
    • /
    • 2002
  • With the dynamically changing environment of society, managing change is the vital element of organizations's survival and growth. Health care organizations have expended enormous resources to restructure patient care delivery. Despite the growing literature describing these organizational innovations, there is a paucity of credible data that reflects systematic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uch changes. This study examined the nurses' psychological response toward the work process redesign, newly introduced by the nursing department in a acute care hospital. The aim of the study was to figure out how nurses's general perception of change and perceived attributes of change affected their acceptance of change during the organizational transition. This was descriptive- correlational. The sample for the study included 50 head nurses and 135 staff nurses.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PC+, version 10.0.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the perception of change was 71.2(SD=13.8) with the range of 0-100, which means nurses generally perceived change posi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change by gender and education level. Head nurses perceived change more positively than staff nurses. The higher education level showed the more positive view of change. Second, among the perceived attributes of change, trialability had the highest mean score, which means nurses perceived the change more positively if it is testable on a limited basis. Relative advantage was perceived the most negatively. Finally,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bility of the work-process redesign were perceived comparability, complexity, relative advantage, and observability, which accounted for 43.7% of the variance in the acceptability of change. This study evaluated the preliminary effects of the nursing process for reengineering, focusing on nurses' acceptability towards change. The usefulness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during transitional periods of change and to suggest effective strategies for increasing adoption as well as for decreasing resistance to change.

SCM과 e-SCM이 변화 수용, 정보 공유, 파트너십 관리 능력 그리고 비지니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CM and e-SCM on Change Acceptance Capability, Information Sharing Capability, Partnership Management Capa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

  • 최수호;김동일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SCM(Supply Chain Management)과 e-SCM이 변화 수용 능력, 정보 공유 능력, 파트너십 관리 능력, 그리고 비즈니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수도권 및 지방에서 SCM과 e-SCM을 도입한 기업의 직원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을 통해 SCM의 특징적인 요소인 변화수용능력, 정보공유능력, 파트너십 관리역량, 사업성과 및 성과변수 간의 관계 정도를 분석하였다. 신뢰도, 타당도, 유의성 등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에 의해 지지된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로, 기업의 역량을 변화수용역량, 정보공유역량, 파트너십관리역량이 주요한 변수로 분석하였다. 둘째, 특정 기업의 역량이 아닌 SCM에서 필요한 역량을 4가지로 분류하여 관계 정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SCM 관련 기업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