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metery Informa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휴대용 DGPS를 이용한 묘지관리시스템 구축 (Construction of Cemetery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DGPS)

  • 조형식;손홍규;임수봉;김성삼;김상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9-57
    • /
    • 2008
  • 우리나라 전면적의 1% 이상을 점유하는 묘지는 지속적인 증가를 나타내고 있으나 정부예산 및 행정력 부족으로 현황파악을 위한 현지답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가의 휴대용 DGPS 와 모바일GI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GIS 기반의 묘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종래의 RTK GPS 방법과 그 정확도를 비교 평가하여 그 효용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에 의한 자료의 직관적 해석이 가능하여 담당공무원의 묘지관리업무뿐만 아니라 각종 국토개발계획, 부동산거래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묘지위치를 고해상도 위성영상에서 지적도와 중첩되어 표현하는 묘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저비용으로 데이터의 최신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GIS기반 묘지정보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실용성 평가 (Development and Practicability Evaluation of GIS-Based Cemete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이진덕;김명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3-231
    • /
    • 2010
  • 우리나라 장묘문화의 특수성으로 인해 무분별한 묘지 조성으로 인한 산림훼손, 관리 소홀로 인한 무연고묘의 증가 등 문제점들이 대두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정부나 사회단체에서는 화장, 납골 및 공동묘지의 이용을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비전문가인 묘원관리자가 GIS의 기능을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쉽게 구현하고자 묘지정보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묘지관련 법률, 기존의 프로그램 및 묘원 홈페이지 등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을 조사하고, 사용성 평가를 통해 사용자의 GIS기능 인식 경향을 파악하여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아이콘을 사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증진시키도록 하였다. 묘원관리 업무는 사무실에서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이루어지므로 사무실에서는 데스크탑을 활용하여 입력, 수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현장에서는 GPS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PDA를 활용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하면서 정보를 조회, 입력 등 터치스크린을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여러 가지 Open source software들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더 많은 묘원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Observation of behavior of the Ahlat Gravestones (TURKEY) at seismic risk and their recognition by QR code

  • Isik, Ercan;Antep, Baris;Buyuksarac, Aydin;Isik, Mehmet Fatih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2권5호
    • /
    • pp.643-652
    • /
    • 2019
  •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carrying it to the future are at the top of the significant topics of research and implementation in engineering in the 21st century. There are several historical structures in the district of Ahlat located in the east of Turkey on the Lake Van Basin that has harbored many civilizations. Some of such works are the gravestones that are found in the Ahlat Seljuk Cemetery, which is the oldest and largest cemetery in the district. This study firstly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Ahlat Seljuk Cemetery and the gravestones found in it. Observation-based structural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these gravestones that are found in this area that are known to have belonged to different civilizations based on their physical and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These stones were built out of Ahlat stone as single pieces. Information is provided on the damages that have occurred on the gravestones in time and their causes. In general, losses of mass, abrasions, separations, collapses and calcifications due to natural conditions, as well as vegetative formations, were observed in the gravestones. To provide an example of other gravestones within the context of the study, the gravestone that is known to belong to the person named Nureddin Ebu Hasan was selected. As a result of the modeling that was carried out for this gravestone by using the finite elements method, modal analyses were carried out. With these analyses, for the gravestone, period, effective mass participation rates and stress values were calculated. The stress values that were obtain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to the material safety stress values that were obtained in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QR code application was created for the gravestone that was selected as an example in the study, and information on this gravestone was transferred to an electronic environment. The QR code application includes different language options, visuals of the gravestone and information on the gravestone. The QR application was also supported with a video of the cemetery where the gravestone is located. With this application, access to information about gravestones will be possible by using tablets and smartphones. With a QR code to be created for each gravestone, these gravestones will obtain identity cards.

The Provenance of Lapis Lazuli, the Written Sources, and its Distribution as Pigment in the Wall Paintings of Central Asia and the Middle East

  • Claudio, SECCARONI;Michael, JUNG
    • Acta Via Serica
    • /
    • 제7권2호
    • /
    • pp.89-108
    • /
    • 2022
  • Since the most ancient times, lapis lazuli had been used for luxury goods such as jewelry and seals, to embellish sculptures and weapons or the precious objects of tombs, such as the golden mask of Tutankhamon or the famous "Standard" of the royal cemetery of Ur. Much more recent seems to be its frequent use as a pigment in wall paintings or polychrome stucco. In this article, the question of the sources for this extremely rare mineral is briefly discussed and the places proposed by ancient scholars as deposits of the mineral are presented and examined.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medieval Arabic and Persian scientific literature has been considered and compared with the data of our modern geological knowledge. A list of sites in Central Asia, the Middle East, and India with lapis lazuli occurrence on wall paintings illustrate its wide use in different artistic cultures and periods between the 2nd and 10th centuries C.E. These cultures are in fact different in ethnic and linguistic origin and in the religious, economic, and social sphere, but closely interconnected by common pan-regional artistic traditions in style, materials, and techniques employed. A case study investigated by the authors in the Friday Mosque of Iṣfahān gives an example of the use of lapis lazuli pigment in Islamic wall paintings and stuccoes.

온라인 예약서비스를 통한 e하늘장사정보시스템의 화장 이용 유형에 대한 분석 : 서울특별시 공설화장시설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ypes of Cremation Usage in Ehaneul Funer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Online Reservation Service : Focused on the Public Cremation Facilities of Seoul Metropolitan City)

  • 최재실;김정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33-139
    • /
    • 2018
  • 온라인 예약서비스를 통한 e하늘장사정보시스템의 2011년도 이용건수는 37,784구이었으나, 2017년도는 56,945구로 50.7%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용 증가로 관련한 서울특별시의 공설화장시설 운영개선이 다음과 같은 정책들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현재 공설화장시설의 입지 지역주민과의 원만한 협상을 통한 화장로 추가 설치, 둘째, 서울특별시와 인접한 경기도 관내 지방자치단체와 공동으로 공설화장시설 건립을 위한 협력사업추진, 셋째, 서울시립묘지 내 개장 전용 화장시설의 설치를 통한 화장수요의 분산, 끝으로 서울특별시 관내 주민을 제외한 기타 지역주민에 대한 공설화장시설 이용시간대 차별 운영 확대 및 화장요금 인상 등을 통한 화장수요를 억제하는 방안에 대한 시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실시간 대중교통 경로안내를 위한 Space Time Point 모델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ce Time Point for Real-tim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 김수호;주용진;박수홍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83-93
    • /
    • 2012
  • 최근 환경문제로 인해 보행, 자전거, 대중교통과 같은 친 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보행과 자전거는 경우에 따라 장거리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용범위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대중교통은 교통체증이라는 사회적 문제점까지 해결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이러한 대중교통은 시간에 따라 운행여부가 달라진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현재 웹상에서 서비스중인 대중교통정보 안내 서비스는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고 대중교통의 운행정보를 고려한 정보제공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STP(Space Time Point)데이터 모델을 제안하였다. STP데이터 모델은 객체의 최하위 개념을 포인트 단위로 인식하고 이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객체를 표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시공간 데이터 모델과는 달리 시간에 따라 객체정보가 변하는 다양한 동적 공간객체의 구현이 가능하다. 대전지역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운행정보로 버스 및 지하철에 대한 STP모델을 설계 및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적 경로 안내 기능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경로안내 기능을 통해 대전국립현충원에서 한남대학교로 가는 경로를 시간대별로 탐색해 본 결과 대중교통의 운행에 제한이 발생하는 심야시간에는 운행이 제한되는 노선을 우회하는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 데이터 모델에서는 제공할 수 없는 결과로 실시간 운행정보를 고려한 경로안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능은 실시간 교통정보나 통행이력정보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모델의 적용을 통해 추가적인 기능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Assessing the Parasitic Burden in a Late Antique Florentine Emergency Burial Site

  • Roche, Kevin;Pacciani, Elsa;Bianucci, Raffaella;Bailly, Matthieu L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587-593
    • /
    • 2019
  • Excavation (2008-2014) carried out under the Uffizi Gallery (Florence, Italy) led to the discovery of 75 individuals, mostly buried in multiple graves. Based on Roman minted coins, the graves were preliminarily dated between the second half of the 4th and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ies CE. Taphonomy showed that this was an emergency burial site associated with a catastrophic event, possibly an epidemic of unknown etiology with high mortality rates. In this perspective, paleoparasitological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on 18 individuals exhumed from 9 multiple graves to assess the burden of gastrointestinal parasitism. Five out of eighteen individuals (27.7%) tested positive for ascarid-type remains; these are considered as "decorticated" Ascaris eggs, which have lost their outer mammillated coat. Roundworms (genus Ascaris) commonly infest human populations under dire sanitary conditions.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Florentia suffered a period of economic crisis between the end of 4th and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ies CE, and that the aqueduct was severely damaged at the beginning of the 4th century CE, possibly during the siege of the Goths (406 CE). It is more than plausible that the epidemic, possibly coupled with the disruption of the aqueduct, deeply affected the living conditions of these individuals. A 27.7% frequency suggests that ascariasis was widespread in this population. This investigation exemplifies how paleoparasitological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from the analysis of sediments sampled in cemeteries, thus allowing a better assessment of the varying frequency of parasitic infections among ancient populations.

GIS기반 분묘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적용 (Construction and Applicability of GIS-Based Grave Management System)

  • 이진덕;이승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08-220
    • /
    • 2011
  • 국토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데다 분묘의 이용 및 설치에 관한 국가적, 사회적 관리 기반이 미비된 현실에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매장 위주의 묘지설치 관행은 체계적인 국토관리와 도시개발을 저해할 뿐 아니라 자연환경 및 주민생활 공간에 영향을 미쳐 심각한 갈등 요인이 되곤 한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장사등에관한법률" 등을 제정하여 대응을 하고 있으나, 통일된 지리 공간의 기반 위에서 축적된 개별 분묘들에 대한 정보 부재와 관리시스템의 미비로 인해 많은 문제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할 행정관청에서 개별묘지 관리를 위주로 하는 GIS 기반 분묘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대상지역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행정체계 또는 조사에 의해 수집되는 분묘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본 시스템을 통해 시한부 매장제도, 무연분묘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문중 중심의 장묘문화의 전통 하에서 현세 및 후대의 자손들에게 전승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선산분묘관리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의 식생활 양상 (Isotopic dietary history of Neolithic people from Janghang site at Gadeok Island, Busan)

  • 신지영;강다영;김상현;정의도
    • 분석과학
    • /
    • 제26권6호
    • /
    • pp.387-394
    • /
    • 2013
  • 인골에서 추출된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정보는 당시 사람들의 식생활과 영양 상태, 생계 경제를 복원하는데 구체적인 가능성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신석기시대 유적에서는 인골이 많이 발견되지 않아 직접적인 식생활 양상 추적이 어려웠는데, 부산 가덕도 장항유적에서 출토된 인골 48개체의 확인은 매우 주목할 만한 성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골에서 추출된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평균값은 각각 다음과 같다(${\delta}^{13}$C=$-14.5{\pm}1.3$‰, ${\delta}^{15}$N=$-17.4{\pm}1.7$‰, n=10). 뼈의 조직 분석 결과 보존 상태는 매우 안좋은 HI (조직학 지수) 0을 나타냈으나, 뼈 콜라겐의 경우 질 평가지수에 합격한 값만을 사용하여 생존 시 식생활을 반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당시의 고고학적인 정황을 고려할 때 장항 유적 피장자들은 해양성 식료를 주로 섭취하였고, 육상 동물 및 야생 식물의 섭취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는데, 본 연구에서는 식료 섭취의 직접적인 증거가 되는 인골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이러한 가정을 입증하였다. 이 외에도 펴묻기와 굽혀묻기 등 장법이나 토기 등 부장품에 따른 안정동위원소값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신석기시대 최대 집단 묘역인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 출토 인골 콜라겐의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은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 생활상을 복원하는 데 매우 핵심적인 증거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종교 및 융복합적 특성이 사망양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Mortality Patterns by Religiou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pulation)

  • 임종민;장주동;김현수;이무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13-223
    • /
    • 2015
  • 목적 : 재림교인들은 건강에 대한 신념이 매우 강하고, 실천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강조하고 있다. 한국의 재림교인들 역시 음주와 흡연을 피할 뿐만 아니라 음식을 가려 먹고 육식을 금하는 기독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재림교인들의 사망양상과 일반 인구집단간의 사망양상을 파악하고 그 관련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간의 재림교회와 일반 인구집단의 사망자의 사망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재림교회의 사망자를 분석하기 위해서 수도권 지역의 재림교인이 주로 이용하는 재림묘지의 사망자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일반인구집단은 통계청 사망자료를 이용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의 평균 사망 연령에서 재림교인은 70.45세이었으며, 일반 인구집단은 65.63세로 재림교인이 높게 타났다. 사망원인에서 재림교인이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등 신생물에 의한 사망이 일반 인구집단 보다 높게 타났으며, 일반 인구에서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 뇌혈관질환과 외인사가 재림교인에서 보다 높았다. 특히, 50세 이상 신앙기간 10년 이상의 재림교인의 사망원인은 위암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남자에서 폐암 사망률도 유의하게 낮아 건강한 생활습관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