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truction and Applicability of GIS-Based Grave Management System

GIS기반 분묘관리시스템의 구축 및 적용

  • Lee, Jin-Duk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 Lee, Seong-Hwan (Woosung Engineering Group Inc.)
  • Received : 2011.10.20
  • Accepted : 2011.12.21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Korean traditional practice that gets a gravesite for burial and reckless grave establishment not only obstructs systematic national land management and reasonable urban development, but also causes a serious factor which has a harmful effect on natural environment and residential space in reality that our country is limited in area and national and social bases for use and establishment of graves are still inadequite. Though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have tried to cope with these problems by enacting legislation on funeral and others and so forth, they still have a variety of problems due to the shortage of grave management systems and information of accumulated individual graves. This study describes about the development of a GIS-based grave management system for making administrative management for individual cemeteries the prime object. As a result of application to a pilot area,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ble to be applied for supporting the time-limited burial system and managing cemeteries for those who left no relatives behind by constructing the database with grave-related position/attribute information which are collected by administrative system or direct surve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ystem will be utilized as a systematic management method that can be handed down the present or the future descendants under the tradition of the family-oriented funeral culture.

국토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데다 분묘의 이용 및 설치에 관한 국가적, 사회적 관리 기반이 미비된 현실에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매장 위주의 묘지설치 관행은 체계적인 국토관리와 도시개발을 저해할 뿐 아니라 자연환경 및 주민생활 공간에 영향을 미쳐 심각한 갈등 요인이 되곤 한다.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장사등에관한법률" 등을 제정하여 대응을 하고 있으나, 통일된 지리 공간의 기반 위에서 축적된 개별 분묘들에 대한 정보 부재와 관리시스템의 미비로 인해 많은 문제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할 행정관청에서 개별묘지 관리를 위주로 하는 GIS 기반 분묘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대상지역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행정체계 또는 조사에 의해 수집되는 분묘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본 시스템을 통해 시한부 매장제도, 무연분묘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문중 중심의 장묘문화의 전통 하에서 현세 및 후대의 자손들에게 전승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선산분묘관리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환. 2004. 웹기반 GIS를 이용한 시설물시스템 구축 방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박희섭. 2003. 묘지.납골시설 안내지도 시범사업 최종보고서. 보건복지부 보고서 2003-01.
  3. 이삼식. 2001. 전국묘지실태조사 모형개발 및 관리방안, 보건복지부 정책보고서 2001- 21, 41-127쪽.
  4. 이진덕, 김명현. 2010. GIS기반 묘지정보관리 시스템의 개발 및 실용성 평가. 한국측량학회지 28(2):223-231.
  5. 임수봉. 2007. GIS기반의 묘지관리시스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조형식, 손홍규, 임수봉, 김성삼, 김상민. 2008. 휴대용 DGPS를 이용한 묘지관리시스템 구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6(4):49-57.
  7. 한희, 설아라, 정주상. 2008. 항공사진에 나타난 고속국도 주변 묘지의 입지분석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193-202.
  8. Berry, J.K. 1993. Beyond Mapping : Concepts, Algorithms and Issues in GIS. GIS World Books, Fort Collins, CO, USA.
  9. Batty, M. and Xie, Y. 1994. Modelling inside GIS: Part 1, Model structures,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and aggre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8(4):291-307. https://doi.org/10.1080/02693799408902001
  10. Liu, Y., M. Zhuang, Q, Wang, B. Yu. 2008. UTISP: an urban traffic information portal based on WebGIS.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net and Web Applications and Services. Shanghai, China, Jun. 8-13, 2008. pp.319-324.

Cited by

  1. A Design of Foundation Technology for PLC-based Smart-grave(Tumulus) System vol.18, pp.11, 2015, https://doi.org/10.9717/kmms.2015.18.11.1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