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tial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Real Crime and Fear of Crime

도시내 범죄발생과 범죄 두려움 위치의 공간적 차이 분석

  • Heo, Sun-Young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Moon, Tae-Heon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1.10.18
  • Accepted : 2011.12.14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possibility to prevent crime by improving urban spatial enviro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environment property that mutually coincides or differs by comparing the place where crime actually occurs and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The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ontents scope and method of study was established by theoretic investigation of case study related to crime. Second, as crime cannot be prevented by police power only, CPSCP(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 was developed so that all citizen can cooperatively participate in the crime prevention anytime and anywhere. Third, the data on the place where people feel fear in the region was collected by directly indicating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in the space by utilizing CPSCP. Fourth, the place where crime actually occurs and the place where citizen is afraid of crime are redundantly analyz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2 places. The result shows that environmental design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 of urban space is necessary to prevent crime and to eliminate the fear of crime. The CPSCP developed by this study which will be advanced to U-crime preven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making citizen's own neighborhood a smart safety city autonomously.

본 연구는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거나 다르게 나타나는 장소의 공간적 환경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공간의 환경 개선을 통해 범죄예방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범죄관련 사례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내용적 범위와 방법을 정립하였다. 둘째, 방범은 경찰력만으로 대처하기 어려우므로 전 시민이 언제, 어디서나, 협력적으로 범죄예방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으로 작동하는 시민 참여형 방범시스템(Citizen Participation System for Crime Prevention, CPSCP)을 개발하였다. 셋째, CPSCP를 활용하여 시민이 공간상에서 범죄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직접 표시하게 하여 지역 내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넷째, 실제 범죄발생 장소와 범죄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를 중첩 분석하여 두 장소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범죄를 예방하고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시공간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환경설계(environmental design)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PSCP는 향후 시스템을 고도화 하여 U-City의 U-방범시스템으로 활용함으로써 시민이 자기 동네를 자주적으로 스마트 안전도시로 만들어 나가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대경. 2010. CCTV에 대한 인식과 지역적 환경요인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9:13-46.
  2. 고준호. 2009. 범죄와 두려움의 공간적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나영. 2008. 아파트 단지의 범죄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지선. 2004.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 사회적 구성과 결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박정선, 이성식. 2010. 범죄두려움에 관한 다수 준적 접근. 형사정책연구 21(3):173-203.
  6. 박정아. 2010. 단독주택지 외부 공공공간의 범죄불안감 예방을 위한 환경계획에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찰현. 2005. 범죄피해경험, 이웃통합 그리고 범죄의 두려움. 대학생에 대한 심층면적결과 를 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13(1):51-77.
  8. 이성식. 2000. 지역사회 경찰 활동과 범죄 두려움.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0:133-159.
  9. 이윤호. 1993. 범죄에 대한 공포 : 그 원인과 반응. 형사정책연구 13:27-44.
  10. 정경석. 2010. 공간범죄통합분석모형을 이용한 도시범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정경석, 문태헌, 정재희. 2010. 시공간검정통계 량을 이용한 도시범죄의 핫스팟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3):1-10.
  12. 정경석, 문태헌, 정재희, 허선영. 2009.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시․공간적 도시범죄 패턴 및 범죄발생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12-25.
  13. 정경재. 2009. 범죄발생 특성분석을 통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구로구 사례를 중심으로.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정석현. 2003. 깨어진 창이론(Broken Window Theory)을 통한경찰의 대응방안. 행정공안행정학회보 16:177-202.
  15. 정승민. 2007. 범죄두려움에서 지역특성과 경찰활동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14:43-73.
  16. 조은경. 2003.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9(1): 1-21.
  17. 차훈진. 2007.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홍동진. 2008. 범죄불안감 감소를 위한 환경설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Brusik, R.J. and H.G. Grasmick. 1993. Neighborhood and Crime: The Dimensions of Effective Community Control. Lexington Books, New York, USA.
  20. Farrall, S., J. Bannister, J. Ditton and E. Gilchrist. 2000. Social psychology and the fear of crime: re-examining a speculative model.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40:399-413. https://doi.org/10.1093/bjc/40.3.399
  21. Franklin, T.W. Franklin and N.E. Fearn. 2008.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vulnerability and social integration models of crime. Social Justice Research 21:204-227. https://doi.org/10.1007/s11211-008-0069-9
  22. Furstenberg, F.F. 1971. Public reaction to crime in the streets. The American Scholar 40:601-610.
  23. Hale, C. 1996. Fear of crime :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Review of Victimology 4:79-150. https://doi.org/10.1177/026975809600400201
  24. 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Random House. USA.
  25. Lewis, D.A. and M.G. Maxfield. 1980. Fear in the neighbourhood: an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crime.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17:160-189. https://doi.org/10.1177/002242788001700203
  26. Newman, O. 1972. Defensibl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MacMillan, London. U.K.
  27. Rountree, P.W. and K.C. Land. 1996. Burglary victimization, perception of crime risk, and routine activities.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3:147-180. https://doi.org/10.1177/0022427896033002001
  28. Skogan, W. and M.G. Maxfield. 1981. Coping with Crime. Beverly Hills:Sage. USA.
  29. Taylor, R.B and M. Hale. 1986. Testing altemative models of fear of crime. Journal of Criminal Law and Criminogy 77:151-189. https://doi.org/10.2307/1143593
  30. Wilson, J.Q. and G.L. Kelling. 1982. The police and neighborhood safety: broken windows. Atlantic 127:29-38.
  31. 국제범죄방지센터. http://www.crime-preventionintel.org.
  32. 통계청. http://www.kostat.go.kr.

Cited by

  1. Exploring the effects of CCTV upon fear of crime: A multi-level approach in Seoul vol.49, 2017, https://doi.org/10.1016/j.ijlcj.2017.01.005
  2. Road Networks and Crime Occurrence Multi-Agent Simulation for Smart Safe City vol.18, pp.2, 2015,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2.120
  3. Development of GIS-based Regional Crime Prevention Index to Support Crime Prevention Activities in Urban Environments vol.22, pp.1, 2017, https://doi.org/10.9708/jksci.2017.22.01.041
  4. Crime Mapping Based on Experts' and Residents' Assessment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vol.35, pp.4, 2011, https://doi.org/10.7848/ksgpc.2017.35.4.213
  5. GWR을 이용한 센서스 기반 도시범죄 특성 분석 및 예측모델 구축 vol.20, pp.4, 2011, https://doi.org/10.11108/kagis.2017.20.4.065
  6.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골목정원 구성요소의 만족도 분석 - 대구광역시 비산 2·3동을 대상으로 - vol.45, pp.6, 2011, https://doi.org/10.9715/kila.2017.45.6.137
  7. CPTED 요소로써 서울시 공원·녹지의 효과와 계획적 함의 vol.46, pp.3, 2018, https://doi.org/10.9715/kila.2018.46.3.027
  8. Analysis of Residential Environment Affecting on the Perceived Fear of Crime of a Single Person’s Households in the University Town vol.31, pp.1, 2020, https://doi.org/10.6107/jkha.2020.31.1.095
  9. The Influenc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Place Attachment and Settlement Consciousness : Focused on Urban Vitality Development Project in Daegu vol.55, pp.2, 2011, https://doi.org/10.17208/jkpa.2020.04.55.2.58
  10.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범죄두려움 영향 요인 분석 - 범죄취약계층인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 vol.36, pp.5, 2011, https://doi.org/10.5659/jaik_pd.2020.36.5.23
  11.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rime-prone Areas an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Decline : Focusing on Crime Risk Indicators Using GIS-based Spatial Statistics vol.21, pp.6, 2021, https://doi.org/10.12813/kieae.2021.21.6.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