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education for middle school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1초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성취 목표, 학습 태도 및 학업성취도 실증적 고찰 : 교과연계 진로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Career Maturity, Achievement Goal,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ed on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

  • 함승연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616-62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career maturity, achievement goal,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relation with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used SELS(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Seoul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Institute. Also, analysis as well as descriptive statistics calculation on average,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of variable factor and calculated characteristic item and degree of reliability(Cronbach ${\alpha}$). For goodness of fit test, this study used TLI(Tucker-Lewis index) and RMSEA(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To achieve the ultimate objects, this study used LMA(latent mean analysis) for analysis of difference career maturity, achievement goal,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relation with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erience relation with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 were influenced on career maturity with career cognition. Second, experience relation with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 were influenced on achievement goal, learning attitude, and larger than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ird, experience relation with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 were influenced on middle school students more than inexperienced relation with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

양성평등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직업관련 양성평등의식 및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ender Equality Career Education Program on Vocational Gender Egalitarianism and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성미경;이희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1-12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gender equality career education program on vocational gender egalitarianism and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2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36 students each. Korea Gender Egalitarianism Scale for Adolescents and Career Identity Scale of My Vocational Situation(MVS) were used to measure vocational gender egalitarianism and career ident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vocational gender egalitarianism and higher career identity than the control group.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career guidance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의 진로교육내용 분석 (Content Analysis on Career Education Included in Family Life Area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 박예라;심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7-75
    • /
    • 2022
  • 이 연구는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개정안을 바탕으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 내용을 분석하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에 포함된 진로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5종을 선정하여 한국직업능력연구원(2021)에서 개발한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 개정안을 교과서 분석을 위한 틀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에서 진로교육 내용 반영 수준은 생애 설계와 진로 선택 단원이 87개로 가장 많았고, 청소년의 발달 특성 단원이 36개, 저출산·고령사회와 일·가정양립 단원이 31개 순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가정 교과서에 나타난 진로교육 내용으로는 다양한 직업인의 탐색(24.30%)이 가장 많았고, 미래사회의 변화 탐색(22.74%), 직업세계의 변화 탐색(18.66%) 순으로 많이 반영되고 있었다. 연구 결과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가정생활 분야)에 반영된 진로교육의 수준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가정교과연계 진로교육으로의 적용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중·고등학생의 진로교육 및 체험이 진로계획 인식에 미치는 차이 (Differences in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Plan Recognition)

  • 정지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43-254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진로교육과 체험의 경험과 만족도에 의한 진로계획(인생목표, 자기기준, 미래조망)의 인식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종합실태조사의 '진로·직업 및 직업관 영역'을 활용하여 만 13세~18세의 청소년 2,998명을 중·고등학생 집단(경험무집단, 경험불만족집단, 경험만족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계획의 집단별 차이는 대다수 경험만족집단이 경험무집단과 경험불만족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나 진로교육 및 체험을 경험하고 만족할수록 인생목표, 자기기준, 미래조망에 대한 확신을 나타냈다. 또한 자기기준과 미래조망의 경우 경험불만족집단에 비해 경험무집단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경험에 만족을 할 경우 중학생 집단의 평균치가 고등학생 집단보다 높게 나타나 질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과학에 대한 인식 및 학교 밖 경험이 중학생의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and Out-of-School Experience on Science Career Aspiration)

  • 손지현;송영욱;최혁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447-461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과학성적, 과학에 대한 인식, 학교 밖 경험이 과학 진로 희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18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과학 진로 희망 여부에 따라 과학에 대한 인식과 학교 밖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도출한 8개의 변인과 성별, 과학 성적 등이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선호'와 '일상 도구 사용' 변인만이 과학 진로 희망 여부를 유의미하게 설명할 수 있는 설명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과학 진로를 희망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선호를 높이고 일상생활에서 도구를 사용하는 경험을 늘리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정책연구학교의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Programs of Policy Research School for Free Learning Semester)

  • 강버들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5호
    • /
    • pp.1318-1333
    • /
    • 2015
  • The research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present implications and supplements in policy research middle school which has implemented free learning semester for 3 years from 2013 to now, through identifying and analyzing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needed to generalize career education programs. I was required to make a specialized program which was suitable for a characteristic of school and community rather than department-store-like program. Secondly, in considering career development st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seemed that implement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was suitable for second grades. Thirdly, teacher interns should be used appropriately in order to manage efficiently free learning semester. Lastly, it was needed to develop a specialized program for career education through studying with expert groups.

개인.가족.학교관련 변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Related Variables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 이은정;장윤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355-37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individual-related variables, family-related variables, and school-related variables. The individual-related variables were gender difference, academic year,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The family-related variables wer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parents, parental support, sibling's support, and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The school-related variables included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friends,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0 students who were selected at random from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in Daegu.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survey. It consisted of a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a self-efficacy scale, a communication scale, a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scale, and a social support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mong the individual-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ffected all sub-factors of how mature they were in matters relating to career. Academic achievement affected decisiveness and preparation--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s. And gender difference and academic year affected preparation and goal orienta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family-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s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at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parents affected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s,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and sibling's support affected confidence. And value orientation of the family affected goal orientation and independence. Third, the results of the school-related variables that had an effect on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at communication about career with friends affected preparation-- a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 teacher's support affected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and friend's support affected confidence and independence. Fourth, decisiveness, preparation, and confidence among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sub-factors were affected the most by individual variables. And self-efficacy was the most significant. Goal orientation and independence were affected the most by family-related variables.

패션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패션에 관심 있는 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Fashion career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the career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ase of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Fashion)

  • 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3
    • /
    • 2018
  • 본 연구는 자유학년용 패션관련 진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패션관련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중학생들의 진로자아효능감이 향상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세 곳의 중학교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션관련 활동과 탐색활동으로 구성된 10차시분량의 패션진로교육프로그램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활동보조자료가 개발되었다. 중학교 자율학년 운영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패션진로교육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해결을 통한 성취경험과 롤모델의 수행성공을 통한 대리경험, 성공한 자신의 경험의 되돌아봄, 앞으로도 잘 할 수 있다는 지도교사와 친구들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진로자기 효능감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진로탐색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수행효능감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과 관련된 실습활동과 탐색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이해와 탐색, 직업의 정보의 수집활동, 문제해결, 계획수립 등을 통해 자신의 진로에 대해 계획하고 준비하는 자신감이 생겼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경기도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Real State and Effect of Assistance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by Gyeonggi-do Vocational High Schools)

  • 이찬주;현수;소준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2-9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에게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부합한 직업계고 진학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로교육 체계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관련 정보 획득 방법, 일반고 및 직업계고에 대한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 실태 및 효과(진로 선택 도움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설문지를 개발하여 경기도 소재 중학교 627개교, 3학년 4,4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 중학생의 고등학교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인터넷 검색(42.0%), 2순위 가족 및 친구와 상담(25.5%), 3순위 선생님과 상담(24.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직업계고 진학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1순위 직업계고 운영 학교(학과)설명회(39.4%), 2순위 직업계고 견학(24.9%), 3순위 직업계고 교사와의 상담(15.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경기도 중학생의 진로 희망 유형별 고등학교 이해도(5점 만점)와 정보 필요도(5점 만점)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3.65, 정보 필요도 3.67,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02이고,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의 경우, 이해도 2.92, 정보 필요도 3.25, 이해도와 정보 필요도의 차이는 0.33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기도 중학생의 직업계고 제공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참여 실태는 전체 79.4%가 참여하고 있다. 이 중에서 참여 비율이 높은 활동은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서(책자, 브로셔 등) 90.3%, 중학교 교실로 찾아오는 직업계고 학교설명회 87.8%, 직업계고 홍보 및 안내 동영상 시청 85.9% 등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활동이 중학생에게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는 정도는 3.45이고, 도움을 주는 정도는 일반고 진학 희망 학생보다 직업계고 진학 희망 학생에게 0.13만큼 더 높게 나타났다.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Views in Relation to a Career in Science)

  • 윤진;박승재;명전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5-69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과학진로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의 연구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초, 중, 고 학생들의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다. 검사도구는 두 차례의 예비조사를 거쳐 연구자가 개발하였고, 연구대상은 지역 규모에 따른 계층별 표집을 한 초등학생 1036명, 중학생 1137명, 고등학생 1435명, 총 3608명이다. 과학에 대한 이미지, 과학선호도, 과학학습선호도, 과학성적에 대한 인식, 본인의 진로 희망, 과학 직업에 대한 희망 정도,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 과거 및 현재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 및 그 이유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이미지는 '실험활동으로서의 과학'을 가장 많이 지니고 있었고, 과학선호도와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는 과학성적에 대한 인식보다 긍정적이었다.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21%였으며, 중학생의 경우가 특히 낮게 나타났다. 과학 진로를 선택할 때의 좋은 점으로는 '나라 발전에 도움되므로',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으므로', 나쁜 점에 대해서는 '위험하므로', '공부를 많이 해야 하므로' 등을 많이 들었다.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하는 이유는 '과학 및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과학진로교육의 기본적 방향은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와 흥미를 높이는 것을 바탕으로 과학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미래 사회에서의 과학관련 직업 전망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하며, 대상 학생의 발달 단계와 특성에 맞는 과학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이 더욱 중요하다.